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법학계열 > 기타 법률/법규
· ISBN : 9788918015972
· 쪽수 : 274쪽
· 출판일 : 2009-06-10
책 소개
목차
[1] 기초이론
Ⅰ. 의료의 의의 1
1. 의료 개념의 세 요소 2
2. 의료의 본질: ‘치료적 대화’ 7
Ⅱ. 의료생활세계와 의료체계 8
1. 의료생활세계 8
2. 의료체계 10
3. 의료체계의 합리화: 의료생활세계의 대화적 재생산 14
Ⅲ. 의료법의 정당성 18
1. 의료법규범의 정당성 18
2. 좁은 의미의 의료법의 역할 19
[2] 의료인
Ⅰ. 의료인 24
1. 의료인의 의의 24
2. 의료인 면허제도 26
3. 국가시험 33
4. 의료인 결격사유 36
Ⅱ. 의료인 단체 41
1. 법정의료인단체의 의의 41
2. 법정의료인단체의 권한과 의무 42
[3] 무면허의료행위
Ⅰ. 의 의 44
1. 무면허의료행위 44
2. 부정의료업행위: ‘영리적’, ‘영업적’ 무면허의료행위 46
Ⅱ. 무면허의료행위죄의 불법구조 48
1. 보호법익과 보호정도 48
2. 불법구조 48
Ⅲ. 무면허의료행위죄의 적용 50
1. 무면허의료행위의 요건 50
2. 면허범위의 구체적 판단 55
3. 위법성 조각의 가능성 61
4. 공범성립과 죄수결정 63
Ⅳ. 무면허의료행위 규율의 개선과제 65
1. 헌법재판소의 합헌결정 65
2. 협업의 합법화 필요성 66
[4] 의료기관법
Ⅰ. 의 의 68
Ⅱ. ‘의료인’의 의료기관 개설 69
1. 의료기관 내에서의 의료업 69
2. 복수 의료기관 개설의 금지 76
Ⅲ. ‘의료인 등’의 비영리 의료기관 개설 79
1. 의료기관의 개설권자 79
2. 비영리 의료 82
Ⅳ. 의료기관별 개설 요건 85
1. 의료기관의 종류 85
2. 개설 요건 및 준수사항 87
3. 개설허가?신고 및 허가의 취소 93
Ⅴ. 법적 제재 96
1. 형법적 제재 96
2. 행정법적 제재 97
[5] 의료광고법
Ⅰ. 의료광고의 의의 98
1. 의료광고의 개념 98
2. 의료소비자의 정보권 보장 99
3. 의료의 공공성과 의료광고 102
Ⅱ. 의료광고규제의 법이론 103
1. 의료광고규제의 이론과 현실 103
2. 공익과 사익 사이의 조화 105
Ⅲ. 의료광고의 실체법적 규제내용 106
1. 의료광고의 주체 106
2. 의료광고의 내용 109
3. 의료광고의 매체 116
Ⅳ. 의료광고의 절차법적 규제 117
1. 의료광고 사전심의제도의 의의 117
2. 사전심의의 내용 118
Ⅴ. 형사제재 120
[6] 의료책임법
Ⅰ. 의료사고책임의 의의 122
1. 윤리적 책임과 법적 책임 123
2. 좁은 의미의 의료책임법 125
Ⅱ. 의료과실 127
1. 의료인의 주의의무 128
2. 환자의 자기결정권과 의사의 설명의무 136
Ⅲ. 의료과실과 환자의 사망?상해 사이의 인과관계 140
1. 인과관계의 의의 140
2. 의료사고의 예견가능성과 회피가능성 142
Ⅳ. 의료사고의 입증책임 144
1. 환자의 과중한 입증부담 145
2. 입증책임의 사실상 전환 146
3. 감정결과의 비구속성 148
Ⅴ. 손해배상액의 산정 149
[7] 의료형법
Ⅰ. 의료형법의 의의 151
1. 의료형사책임법 151
2. 의료형법의 특성 153
3. 의료인의 형사책임제한 154
Ⅱ. 의료형법상 행위 156
1. 작위행위와 부작위행위 156
2. 이중적 의미의 의료행위 157
Ⅲ. 의료형법상 과실 159
1. 형법상 의료과실의 엄격한 적용 159
2. 의료분업과 의료과실의 판단 162
Ⅳ. 인과관계 168
1. 의료행위의 의료사고에 대한 법적 인과성 168
2. In dubio pro libertate-원칙 171
[8] 의료보험법
Ⅰ. 기초 이론 174
1. 의료보험제도의 의의 174
2. 의료보험제도의 모델 176
Ⅱ. 국민건강보험법의 기본 체계 177
1. 건강보험의 관리주체 177
2. 가입자와 건강보험료 181
3. 보험급여 183
4. 요양기관과 요양급여비용 193
Ⅲ. 국민건강보험의 정책 수립과 평가 198
1.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 198
(1)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의 업무 198
(2) 구조적인 문제점 199
2.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0
Ⅳ. 행정구제 201
1. 이의신청 201
2. 심사청구 201
3. 행정소송 201
[9] 생명의료법
Ⅰ. 생명의료의 규범적 토대 202
1. 의료의 미래로서 생명의료 202
2. 생명윤리안전법의 규율 203
Ⅱ. 배아의 생성과 이용 205
1. 인간 배아 생성의 방법 208
2. 배아 생성의 규율 209
Ⅲ. 유전자 진단과 검사 및 치료 222
1. 유전자 진단 222
2. 유전자 검사 226
3. 유전자 치료 230
Ⅳ. 유전정보의 보호 231
1. 유전정보 보호의 일반원칙 232
2. 유전자은행의 관리 233
Ⅴ. 생명윤리심의위원회 234
1.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234
2.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 236
Ⅵ. 법적 제재 237
1. 형법적 제재 238
2. 행정법적 제재 240
찾아보기 24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