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정치학일반
· ISBN : 9788918031804
· 쪽수 : 385쪽
· 출판일 : 2012-02-10
목차
제1부 현대사회와 정치
제1장 현대정치와 인간
Ⅰ. 정치의 본질
1. 인간의 정치
2. '정치' 개념의 다양성
3. 정치의 본질
4. 정치의 형성 요소
Ⅱ. 정치학이란 무엇인가?
1. 정치학의 범위
2. 정치학 연구의 발전과정
Ⅲ. 정치학의 문제점과 전망
1. 정치학 연구의 문제점
2. 정치학의 미래 전망
제2부 정치권력과 국가
제2장 정치권력
Ⅰ. 정치권력의 개념과 구조
1. 정치권력의 의의
2. 권력의 개념
3. 정치권력의 본질과 특징
4. 정치권력의 발생과 구조
Ⅱ. 정치권력의 행사
1. 정치권력의 지배수단
2. 정치권력의 상징조작
3. 정치권력의 정통성
Ⅲ. 정치권력의 변동
1. 정치권력의 변동과정
2. 정치권력변동의 제(諸) 양식
제3장 근대국가의 형성과 특질
Ⅰ. 근대국가의 형성과 발전
1. 근대국가의 형성과 발전
1. 국가의 역사적 기원
2. 근대국가의 형성
3. 근대국가의 발전
Ⅱ. 근대국가의 본질
1. 국가의 개념
2. 국가의 구성요소
3. 국가의 기능과 특징
제4장 권력구조와 정치제도
Ⅰ. 권력구조와 헌법
Ⅱ. 대통령 중심제
1. 대통령제의 원리와 특징
2. 대통령제의 장단점 분석
Ⅲ. 의원 내각제
1. 의원내각제의 원리와 특징
2. 의원내각제의 장단점 분석
Ⅳ. 이원집정부제
1. 이원집정부의 원리와 특징
2. 이원집정부제의 장단점 분석
제3부 정치문화와 민주주의
제5장 정치문화 · 정치사회화
Ⅰ. 정치문화
1. 문화 , 정치문화의 의의
2. 문화, 정치문화의 변화
Ⅱ. 정치문화 연구
1. 시민문화론(The Civic Culture)
2. 사회 자본
Ⅲ. 정치사회화
1. 사회화, 정치사회화의 의의
2. 사회화와 문화적 변화 - 탈물질주의
Ⅳ. 정보사회와 정치문화
제6장 정치이데올로기
Ⅰ. 정치이데올로기의 기원과 개념
1. 정치이데올로기의 기원
2. 정치이데올로기의 개념
Ⅱ. 정치이데올로기의 구조와 유형
1. 정치이데올로기의 구조
2. 정치이데올로기의 유형
Ⅲ. 정치이데올로기의 기능
1. 가치판단과 인식기능
2. 정당화
3. 자기정체성의 확립기능
4. 조직화와 행동화의 촉진기능
5. 지도력과 조작
6. 정치적 행동
7. 사회적 결속과 통합의 촉진기능
Ⅳ. 정치이데올로기의 종류
1. 자유주의 / 2. 보수주의 / 3. 사회주의 / 4. 민족주의 / 5. 파시즘 / 6. 민주주의
제7장 민주주의와 정치참여
Ⅰ. 민주주의의 본질
1. 민주주의의 개념
2. 민주주의의 본질
Ⅱ. 제3의 민주주의 물결과 민주주의 확산
1. 민주주의 물결 논의
2. 민주주의 확산의 예
Ⅲ. 전자민주주의와 정치참여
1. 정보화 사회와 정치적 변화
2. 전자민주주의와 정치참여
3. 전자민주주의의 실현가능성
제4부 정치과정
제8장 정당과 선거
Ⅰ. 대의제 민주주의와 정당의 필요성
1. 대의제 민주주의의 출현과 정착
2. 정당의 필요성
Ⅱ. 정당과 정당체계
1. 정당의 개념
2. 정당의 발전과정에 따른 정당유형
3. 정당의 기능
4. 정당체계
Ⅲ. 선거와 선거제도
1. 선거의 의의
2. 선거의 분류
3. 선거제도
4. 선거와 정치참여
제9장 이익집단 · NGO · 여론
Ⅰ. 이익집단
1~5. 이익집단의 개념/ 발생원인 / 분류 / 자원과 전략 / 평가
Ⅱ. NGO
1~5. NGO의 개념 / 활동의 시대적 배경 / 기능 / 국가와 NGO의 관계 / 지위와 재정문제
Ⅲ. 여론
1. 여론의 개념 / 여론의 형성 / 여론의 기능 / 여론조작 / 바람직한 여론형성 방안
제10장 의회
Ⅰ. 의회제도의 발전과 구성
1. 의회의 발전
2. 의회의 유형
3. 의회의 구성
Ⅱ. 의회의 권한과 기능
1. 의회의 권한
2. 의회의 기능
제5부 국제정치와 세계화의 도전
제11장 국제정치와 외교
Ⅰ. 국제정치의 특징
1. 국제정치의 특징
1. 국제정치의 개념
2. 국제정치와 국내정치
3. 국내정치의 행위주체
4. 국제정치의 연구목적과 대상
Ⅱ. 국제정치를 보는 시각
1. 이상주의
2. 현실주의
3. 자유주의
4. 구조주의
Ⅲ. 국가와 국가이익
1. 국가와 국력
2. 국가이익
3. 강대국과 약소국
Ⅳ. 외교
1. 외교의 정의
2. 외교의 범위와 유형
3. 외교의 기술과 수단
제12장 세계화의 도전과 한국의 진로
Ⅰ. 세계화의 개념과 촉진요인
1. 세계화란 무엇인가
2. 세계화의 촉진요인
Ⅱ. 세계화의 양면성과 한국에의 함의
1. 세계화의 양면성(兩面性) :기회와 위험
2. 세계화의 도전과 한국에서의 함의(含意)
Ⅲ. 지구시대 한국의 진로
1. 지구시대의 정신 : 세계화 마인드와 열린 민족주의
2. 개혁정책의 방향
3. 한국외교의 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