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사회과학대학 > 미디어영상학과
· ISBN : 9788920041310
· 쪽수 : 428쪽
· 출판일 : 2022-01-25
목차
제1부 사진의 이해
제1장 카메라의 구조와 원리
1.1 카메라 옵스큐라
1.2 카메라의 원리와 구조
1.3 올바른 카메라 잡기
1.4 카메라의 종류
제2장 렌즈의 종류와 이해
2.1 렌즈의 구조와 원리
2.2 조리개
2.3 표준 렌즈, 광각 렌즈, 망원 렌즈
2.4 특수 렌즈
2.5 다양한 장비
제3장 노출의 이해
3.1 노출의 개요
3.2 필름의 특성곡선과 디지털카메라의 특성곡선
3.3 노출 결정 요소(조리개, 셔터 스피드, 감도)
3.4 적정 노출의 개념
3.5 노출계의 종류와 특성
3.6 카메라의 노출 조정 모드
제4장 빛의 특성과 플래시 활용
4.1 빛의 이해
4.2 빛의 사진적 특성
4.3 빛의 분광 특성에 따른 다양한 조명
4.4 인간의 빛의 인지
4.5 플래시를 이용한 촬영
제2부 디지털 사진
제5장 디지털 사진의 원리와 카메라
5.1 디지털카메라
5.2 디지털 vs 아날로그
5.3 화상의 요소
제6장 색채이론
6.1 빛, 물체, 관찰자
6.2 색채계
6.3 색의 수치화
6.4 디지털 암실
제7장 CMS(Color Management System)
7.1 CMS(Color Management System)
7.2 CMS 실행하기
제8장 소프트웨어 활용
8.1 이미지 소프트웨어
8.2 디지털 사진 관리
8.3 RAW 파일 변환
8.4 ACR
8.5 자동화 기능 활용하기
8.6 Photoshop 2021의 새로운 기능들
제3부 현대사진
제9장 사진의 발명과 확산, 사진 표현의 이해
9.1 사진의 발명과 확산
9.2 한국 사진의 도입
9.3 사진의 정의와 표현 방법
제10장 사진의 의미를 만드는 요소
10.1 사진의 의미를 읽어야 하는 이유
10.2 사진의 의미 요소
제11장 현대사진의 화두 1― 사회적 풍경
11.1 문화를 읽는 매체사진
11.2 풍경과 풍경사진
11.3 정동석의 작품
11.4 이정의 작품
11.5 김윤호의 작품
11.6 금혜원의 작품
제12장 현대사진의 화두 2― 다큐멘터리와 사진의 사회적 실천
12.1 지구 위기 속의 환경과 사람: 다큐멘터리와 사진의 사회적 실천
12.2 강제욱의 작품
12.3 한성필의 작품
12.4 이성은의 작품
12.5 손승현의 작품
제4부 포토저널리즘
제13장 포토저널리즘과 저널리즘 사진의 유형
13.1 포토저널리즘이란 무엇인가?
13.2 포토저널리즘 장비의 디지털화에 따른 변화
13.3 사진기자와 독자의 시각 확장
13.4 실천가, 현장의 사진기자
13.5 뉴스 사진
13.6 피처 사진
13.7 스포츠 사진
13.8 인물사진
제14장 비주얼스토리텔링(멀티포토), 포토저널리즘의 역사 및 윤리
14.1 멀티포토
14.2 세계포토저널리즘의 약사(略史)
14.3 한국포토저널리즘
14.4 포토저널리즘 실천을 위한 윤리
14.5 멀티미디어 시대의 포토저널리스트
제15장 아마추어 사진가에서 사진기자 그리고 세계포토저널리즘상
15.1 사진기자가 되는 길
15.2 포트폴리오 준비
15.3 포토저널리즘 에이전시의 역할
15.4 포토저널리즘상
15.5 국제적인 포토저널리즘 행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