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88920042461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22-02-1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한국 대학의 뿌리를 찾아서 • 5
들어가는 글 성균관에서 대학과 전문학교로―개항기 조선의 고등교육과 그 유산 • 16
조선, 외국의 대학과 고등교육기관을 만나다┃대학 설립의 좌절과 법관양성소·의학교의 전문학교화┃사립 법률학교의 깨어진 꿈┃고등교육 단계의 폐지
제1부 전문학교로 시작된 한국 대학의 역사―일제 강점기 조선의 전문학교 정책
제1장 식민지 전문학교 제도를 도입한 까닭 • 63
구마모토의 2단계 학제 개편안┃법학교와 의학교의 처리┃재일 조선인 유학생이라는 문제
제2장 민족별 정원 제도에서 ‘실력주의’로―관립 전문학교의 조일공학 정책 • 89
일본인 정원제도의 폐지┃차별 철폐와 실력주의라는 허상┃관립 전문학교의 척식학교화
제3장 사립학교의 비중이 높아진 이유―말뿐인 관립 전문학교 증설 계획 • 111
중등학교 졸업자와 척식인력 수요의 증가┃끝내 설립되지 않은 음악·미술학교와 체육전문학교┃교원양성소에 그친 고등사범학교 설립 계획┃전시체제기에야 설립된 부산고등수산학교┃수의축산과로 축소된 수의전문학교┃사립 여자전문학교로 대체된 관립 여자전문학교┃조선인의 고등교육 기회와 사립 전문학교
제4장 관립은 일류, 사립은 이류―전문학교의 서열 구조 • 139
관립 전문학교라는 ‘모델 학교’┃관립 전문학교 졸업장은 전문직으로 가는 ‘패스포트’┃사립 전문학교의 자격획득운동┃전문학교 서열 구조의 고착화
제5장 전쟁(1937~1945)의 소용돌이, 전시 전문학교 정책 • 171
이과계 기술자를 양성하라┃사립 전문학교의 조일공학 정책┃수업연한 단축과 학교교련, 근로 동원
제2부 전문학교 졸업장을 얻기까지―고등교육 기회를 얻기 위한 조선인의 노력
제6장 입신출세를 위한 학교 선택과 극심한 입학 경쟁 • 203
진학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입신출세의 욕구와 교육열┃관립 전문학교의 극심한 입학 경쟁┃관립 전문학교에는 어떤 학생들이 입학했을까
제7장 대안적 고등교육기관, 전문 정도 사립 각종학교 • 225
까다로운 사립 전문학교 설립 규정┃유치원 교사를 길러 내기 위한 보육계 학교┃직업 예술가와 교원 양성을 위한 음악·미술계 학교┃예비 목회자를 위한 신학계 학교┃사립 전문학교, 사립대학의 요람
제8장 그 시절에도 전문학교는 경성에 몰려 있었다―지방의 전문학교 설립운동 • 253
경성에 몰려 있는 전문학교┃의학전문학교 유치운동┃평안남도의 고등공업학교와 고등상업학교 설립운동┃경상남도의 고등상업학교와 부산고등수산학교 유치 노력┃주요 산업지역의 고등농림학교·고등공업학교 설립운동
제9장 개천에서 용 나도록―가난한 학생들을 위한 장학단체 설립 • 283
억! 소리 나는 전문학교 학비┃손기정과 신진순에게 장학금을 준 성재육영회┃각 지역의 육영회와 장학회
나가는 글 식민지 고등교육 체제의 연속과 단절 • 312
부록 1 관·공·사립 전문학교 설립 현황 • 316
부록 2 「제2차 조선교육령」(1922) 제정 이후 조선의 학교 체계도 • 318
주석 • 319
찾아보기 • 333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이 책은 오늘날 한국 대학의 제도적 ‘뿌리’인 전문학교의 역사에 대해 쓴 글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한국 근대(개항기와 일제 강점기, 1876~1945)라는 시기에 전문학교가 생겨난 경위, 조선총독부의 전문학교 정책, 그리고 전문학교를 통해 고등교육 기회를 얻기 위한 조선인들의 노력에 대한 기록이다. 주로 일제 강점기 전문학교에 대해 썼지만, 그 이전 시대를 모르고서는 이 시대를 이해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처음으로 전문학교의 설립이 논의된 개항기 고등교육에 대해서도 약간 덧붙였다. 모든 시대가 그렇듯이 한 시대는 그 이전 시대로부터 많든 적든 영향을 받기 마련이다.
― 이 책의 첫 문단 〈머리말. 한국 대학의 뿌리를 찾아서〉
서울대학교가 만들어지는 과정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해방 후 서울대학교는 말도 많고 탈도 많던 이른바 ‘국립 서울대학교 설립안 파동(국대안 파동)’ 속에서 1946년 8월 22일에 제정된 군정법령 제102호 「국립 서울대학교 설립에 관한 법령」에 의해 설립됐다. 그런데 이는 경성대학(경성제국대학의 해방 직후 교명)뿐만 아니라 여기에 6교의 관립 전문학교와 1교의 사립 전문학교가 통합되는 형태였다. 그러니까 서울대학교의 전신은 경성제국대학만이 아니라 전문학교이기도 한 것이다.
― 〈머리말. 한국 대학의 뿌리를 찾아서〉
한국에서 오랜 역사를 갖고 있는 대학 중에는 전신이 전문학교인 경우가 많다. 연세대학교는 연희전문학교와 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 고려대학교는 보성전문학교, 숭실대학교는 숭실전문학교, 이화여자대학교는 이화여자전문학교, 동국대학교는 중앙불교전문학교, 숙명여자대학교는 숙명여자전문학교, 성균관대학교는 명륜전문학교가 그 전신이다. 그 밖에 경북대학교 의과대학은 대구의학전문학교, 고려대학교 의과대학은 경성여자의학전문학교, 부경대학교 수산과학대학은 부산고등수산학교, 전남대학교 의과대학은 광주의학전문학교가 그 전신이다. 이것이 바로 한국 대학의 뿌리가 전문학교라고 말하는 이유다.
― 〈머리말. 한국 대학의 뿌리를 찾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