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농축산생명계열 > 농림수산학
· ISBN : 9788920043864
· 쪽수 : 308쪽
· 출판일 : 2022-07-31
책 소개
목차
제1장 관행농업의 문제점과 대안농업의 대두
1. 관행농업의 특징_12
2. 관행농업 유지의 한계_20
3. 대안농업의 필요성 대두_31
제2장 농업생태계와 유기농업
1. 생태학의 개념_40
2. 자연 및 각종 농업생태계의 유형별 차이_46
3. 농업생태계에서 물질의 유동_53
4. 농업생태계의 물질순환_58
제3장 유기농업의 현황과 전망
1. 유기농업의 과거와 현재_72
2. 유기농업의 전망_87
3. 개발면적의 추정_91
4. 유기농업 확산의 제한요인_96
5. 유기농업의 정책_99
제4장 유기농업의 기초
1. 유기농업의 이해_108
2. 유기농업 선택의 이유_114
3. 유기농업과 윤작_120
4. 유기농업을 위한 윤작_126
5. 유기물 확보를 위한 녹비 · 피복작물 재배_135
6. 가축 분뇨의 이용_141
7. 잡초방제_144
8. 병충해 방제_151
9. 유기가축의 건강 및 질병관리_168
10. 유기농업과 산림_171
제5장 유기농업으로의 전환
1. 전환 준비_182
2. 전환의 실제_184
3. 가축의 유기전환_202
4. 전환시 예상되는 문제_207
5. 유기농업 관심농가의 예상질문_217
6. 유기농업체험기_222
제6장 인증
1. 인증의 종류_230
2. 친환경 인증 종류별 표시방법_231
3. 외국의 유기농산물 인증_232
제7장 유기농법의 실제
1. 유기벼 재배_254
2. 유기축산의 과제_279
3. 유기염소의 사육_287
저자소개
책속에서
관행농업방식은 생산을 최대로 하면서 그 이익을 극대화시키는 방향으로 진행되어 왔는데, 이는 농업의 생태적 동태를 무시하는 것으로서 지난 반세기 동안 이러한 경작방식을 계속해 왔다. 현대농업의 특징 중 대표적인 방법은 다음의 여섯 가지로 요약된다. 집약적 재배, 단파, 관개, 화학비료의 과용, 농약의 남용, 유전자 조작이 바로 그것이다. 현대농업은 식물이나 동물 생산을 축소된 생산공장에서 물품을 생산하는 방식으로 발전시켰다. 또 생산성 제고라는 이름 아래 적당한 투자와 유전자 조작 종자를 개발하였고, 토양을 식물의 뿌리가 뻗어 있는 배양기 정도로 인식하게 되었다.
-p.12, 제1장 관행농업의 문제점과 대안농업의 대두
유기농경지 면적은 전 세계 농경지의 1.6%인 74.9백만ha으로, 1999년에 비해 5배 증가하였고, 달러로 환산하면 시장규모는 1,372억 달러로 전년에 비해 7.6% 증가(2020)하였다. 세계의 유기농업현황은 <표 3-6>에서 보는 바와 같다. 190개국에서 유기농업을 하고 있으며 호주, 아르헨티나, 우루과이가 주요 유기농업국가다. 1999년 4백만 ha에서 2020년에는 2,850만ha로 증가하여 20년간 7배로 증가하였다. 유기농업 시장규모가 큰 나라로는 미국, 독일, 프랑스 등이며 1인당 소비액이 가장 많은 나라는 스위스, 덴마크 그리고 룩셈부르크다. 스위스는 475달러 정도를 유기농산물 구입에 사용하였다.
우리나라 역시 전농토 중 유기농지가 차지하는 비율은 4.9% 정도로 한때 7% 정도였던 것이 감소하여 약 5% 정도에서 안정세에 접어들었다. 초창기의 0.1%에 비하여 비약적인 발전이라 할 수 있으나 유기농업선진국에 비하면 낮은 수치이다.
-p.87, 제3장 유기농업의 현황과 전망
전통적으로 다농약·화학비료에 의존하던 관행농가가 전혀 새로운 개념의 농법인 유기농업을 실행하려 할 때 헤쳐나가야 할 난관은 여러 가지가 있다. 소위 환경농업이라고 하여 화학비료나 농약을 적게 쓰는 방식은 유기농업의 초기 단계로, 차후에 설명하는 층으로 전환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될 것이다. 지금부터는 이제까지 해 오던 관행농업과는 아이디어나 철학이 기본적으로 다른 유기농을 시작할 때 예상되는 제반 문제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p.182, 제5장 유기농업으로의 전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