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공학/수업설계
· ISBN : 9788925400235
· 쪽수 : 429쪽
· 출판일 : 2006-09-05
목차
머리말
제1장 현대사회와 교원
1. 현대사회의 변화와 교원
현대사회의 특징 / 현대사회의 특징과 교육적 시사
2. 현대사회의 교원에 대한 기대와 책무
교원의 중요성과 사회의 기대 / 현대사회의 교원의 책무
3. 현대사회의 한국의 교원
한국현대사회가 요구하는 교원의 자질 / 한국의 교사상 / 한국교사의 길
참고문헌
제2장 교직과 전문성
1. 교사와 교원
교사의 정의 / 교원의 의미 / 공무원 / 교육공문원의 정의
교육직원의 분류 / 교육공문원과 교원의 구분
2. 교직의 성격
직업의 정의 / 교직의 성격 / 교직관의 유형
3. 전문직으로서의 교직
전문직의 개념 / 전문직으로서의 교직 / 교직의 전문성 신장 방안
참고문헌
제3장 교원의 지위와 권리, 의무
1. 교원의 지위
교원 지위의 개념 / 교원의 법적 지위 / 교원의 사회적 지위 /교원의 지위 향상을 위한 방안
2. 교원의 권리
적극적 권리 / 소극적 권리
3. 교원의 의무
적극적 의무 / 소극적 의무
4. 교권과 학습권
교권의 개념 / 학습권
제4장 교원의 역학과 자질
1. 교원의 역할
역할의 개념 / 교원의 역할
2. 교원의 자질
교원의 자질 / 바람직한 교원의 자질 기준 / 교원의 자질과 교육 효울성과의 관계
참고문헌
제5장 교원의 자격과 임용, 신분보장
1. 교육인사행정
교육인사행정의 개념 / 교원인사행정의 원리 / 교원인사행정의 영역
교원인사행정의 발전 동향
2. 교원 자격제도
교원 자격제도의 의의 / 교원 자격 제도의 변천 / 현행 교원 자격 제도
현행 교원자격 제도의 문제점 / 현행 교원 자격제도의 개선 방안
3. 교원의 임용제도
교원의 신규 임용 / 교원 신규 임용의 법칙 / 교원의 신규채용의 방법과 과정
현행 교육공무원 신규 채용 제도 / 교원의 근무성적 평정제도 / 교육공무원의 승진 제도
4. 교원의 보수
보수의 개념 / 공무원의 보수체계 / 교원보수의 결정 원칙
근무조건 / 교원의 징계
참고문헌
제6장 교사 양성과 현직 교육
1. 교사교육
교사교육의 의미 / 교사양성 교육의 필요성 / 우리나라의 교사양성 교육
외국의 교사양성 / 우리나라 교사교육의 개선 방안
2. 교원 현직교육
현직교육의 의의 / 연수의 법적 근거 / 우리나라 현직교육 제도
외국의 현직교육 / 교원 현직교육의 문제점
참고문헌
제7장 교원의 인간관계와 정신위생
1. 교원의 인간관계
인간관계의 정의 / 인간관계 연구의 배경 / 인간관계의 제 이론
학교 사회에서 인간관계
2. 교원의 정신위생
정신위생의 개념 / 정신건강의 의미 / 갈등이론
교원의 직무스트레스 / 직무 스트레스 대처 방안
참고문헌
제8장 교직과 윤리
1. 교원과 윤리
2. 교직윤리의 개념
교직윤리의 의미와 중요성 / 교직윤리의 성격
3. 교직윤리의 덕목
공식적 규율 / 비공식적 규율
4. 교직윤리의 내용
자기관리의 윤리 / 학생과의 윤리 / 교원 상호간의 윤리
교원과 가정, 사화외의 윤리 / 직무 수행상의 윤리
5. 한국의 교직윤리
사도강령 / 한국 교원윤리 강령 / 사도강령
사도헌장 / 공무원 윤리의 실천 규정
6. 외국의 교직윤리
세계 교원 헌장 / 미국 NEA의 윤리 강령(Code of Ethics)
일본 교직원 조합의 윤리 강령 / 미시간 주립대학의 교육자의 선서
7. 교직윤리 확립 방안
교직의 도덕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 운영
교원, 학부모간의 권리, 의무, 책임 등에 관한 명확한 한계 규정
자율적인 교직윤리 풍토 조성 / 새로운 학교 중심 경영 체제 구축
교사양성 및 현직연수의 효율화 / 전문적 공동체로서의 교직 분위기 확충
학교와 가정간의 연계 강화 / 교원에 대한 사회적 예우
교원 승진정책의 계획적 전환 / 교원 처우, 복지 향상
8. 교사의 기도
교사의 기도 / 무명 교사의 노래 / 가르침에 대하여
제9장 교원과 교원단체
1. 교원단체
교원단체의 의의와 중요성 / 교원단체의 기능 / 교원단체의 법적 근거
2. 한국의 교원단체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의 발전
전국교직원노동조합 / 한국교원노동조합 / 자유교원조합
교원단체의 비교 분석
3. 외국의 교원단체
미국의 교원단체 / 영국의 교원단체 / 일본의 교원단체
오스트레일리아의 교원단체 / 세계 교원단체(Education International : EI)
4. 교원단체의 발전 과제
교원단체의 위상강화 / 전문직에 걸맞은 단체 결성, 교섭권 보장
전문직적 문화 창조와 근무 여건의 개성
참고문헌
제10장 미래사회와 교직의 전망
1. 미래사회와 교육
미래사회의 특징 / 미래 한국 사회의 전망
2. 미래 교육의 방향
초, 중등학교의 변화 방향 / 교육내용과 운영의 변화 / 미래교육의 방향
3. 미래를 지향하는 한국 교육
교육환경의 개선 / 세계화를 대비하는 의식 전환 / 세계를 위한 예절교육
국제 이해 교육의 확대 / 외국어 교육의 강화 /창의성 교육의 강조
정보 능력의 신장 / 지구환경 보전 교육 / 민족 주체성 교육 강화
통일 대비 교육 철저 / 우수 교원 확보법 제정
4. 한국의 교육개혁
개혁의 변천 / 교육개혁의 문제점 / 교육개혁의 전제조건
교육개혁의 방향 / 교육개혁 성공을 위한 교원의 역할
5. 교원에 대한 기대와 도전
학교교육 혁신의 과제 / 새 시대의 교원
참고문헌
찾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