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조직/인력/성과관리
· ISBN : 9788925573519
· 쪽수 : 448쪽
· 출판일 : 2025-06-24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1장 인적 자본 경영의 ‘왜?’와 ‘무엇?’
왜 이제 와서 인적 자본(사람)을 중요시하는가?
왜 지금 인적 자본 경영과 인적 자본 공시가 필요한가?
인적 자본 경영이란 무엇인가? ‘사람 중심 경영’과의 차이는 무엇인가?
인적 자본 경영을 실천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프로 스포츠팀을 만들 듯이 생각한다
2장 사람을 끌어들이는 ‘인재・조직의 비전’과 ‘인사 전략’을 작성하자
비전・전략 작성의 흐름과 아웃풋 이미지
영역 1 사람과 조직의 이상적인 모습은 어떤 것인가?
[질문 01] 전략을 실현하려면 어떤 인재가 필요한가?
[질문 02] 어떤 행동을 구현하게 하고 싶은가? (어떤 조직 문화를 만들까?)
[질문 03] 이상적인 사람・조직(문화)을 만들기 위해 무엇을 중시할 것인가?
응용편_‘전략 기점형’ 인재 포트폴리오 작성 방법
영역 2 사람을 어떻게 조달할 것인가?
[질문 04] 무엇을 당신 회사의 매력으로 설정할 것인가?
[질문 05] 어떤 메시지를 후보자에게 보낼 것인가?
[질문 06] 메시지를 후보자에게 어떻게 전할 것인가?
[질문 07] 어떤 수단으로 인재를 조달할 것인가?
영역 3 사람을 어떻게 육성할 것인가?
[질문 08] 필요한 인재 스펙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
[질문 09] 어떤 사람의 정보를 어떻게 ‘가시화’할 것인가?
[질문 10] 인재를 어떻게 배우고 성장하게 할 것인가?
[질문 11] 어떻게 리스킬링할 것인가?
영역 4 사람의 활약을 어떻게 촉진할 것인가?
[질문 12] 인재의 퍼포먼스를 어떻게 높일 것인가?
[질문 13] 인재와 일을 어떻게 어울리게 할 것인가?
[질문 14] 좋은 팀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
[질문 15] 다양성과 그 효과를 어떻게 실현할 것인가?
영역 5 사람을 어떻게 유지할 것인가?
[질문 16] 인재의 인게이지먼트를 어떻게 높일 것인가?
[질문 17] 개개인의 퍼포먼스를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질문 18] 활약・성과에 걸맞은 대가를 어떻게 줄 것인가?
[질문 19] 유연한 업무 방식을 어떻게 제공할 것인가?
[질문 20] 기업의 신진대사를 어떻게 촉진할 것인가?
영역 6 사람이 지닌 위험 요소를 어떻게 줄일 것인가?
[질문 21] 건강을 어떻게 유지・향상할 것인가?
[질문 22] 직장의 안전을 어떻게 보장할 것인가?
[질문 23] 사람 사이에서 일어나는 문제를 어떻게 방지할 것인가?
영역 7 인사 체제를 어떻게 정비할 것인가?
[질문 24] 인사 조직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
[질문 25] 인사 직원의 능력을 어떻게 향상시킬 것인가?
[질문 26] 사람과 조직의 데이터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정리 파트_답을 정리해서 ‘인사 비전’, ‘인사 전략’을 만든다
3장 인적 자본 경영을 진화시키는 ‘인적 자본 공시’를 하자
인적 자본의 가시화・공시의 ‘왜?’와 ‘무엇?’
가시화・공시의 흐름과 아웃풋 이미지
영역 0 인적 자본은 무엇에, 어떻게 공헌하고 있는가?
[질문 27] 당신 회사의 존재 의식은 무엇인가?
[질문 28] 가치를 제공하기 위한 전략이 있는가?
[질문 29] 경영 전략과 인사 전략을 어떻게 연결하는가?
[질문 30] 인적 자본은 전략 실현에 어떻게 공헌했는가?
영역 1 ‘바람직한 사람과 조직의 모습이 실현되었는가?’ 지표 검토와 분석・대책
[질문 31] 어떤 인재가 사내에 모여 있는가?
[질문 32] 이상적인 조직 문화가 정착했는가?
영역 2 ‘사람을 적절하게 조달했는가?’ 지표 검토와 분석・대책
[질문 33] 자사의 매력을 어필했는가?
[질문 34] 필요한 인재(양・질)를 신속하게 확보했는가?
[질문 35] 인재 획득에 적절한 비용을 들였는가?
영역 3 ‘사람을 적절하게 육성했는가?’ 지표 검토와 분석・대책
[질문 36] 전략 실현에 필요한 능력이 있는 인재를 충족했는가?
[질문 37] 전략상 중요한 지위를 담당하는 인재를 적절하게 육성했는가?
[질문 38] 육성 비용・노력을 적절히 들였는가?
영역 4 ‘사람의 활약을 적절하게 촉진했는가?’ 지표 검토와 분석・대책
[질문 39] 활약하는 사원은 높은 비율로 존재하는가?
[질문 40] 다양성(DEI)은 확보되었는가?
[질문 41] 개개인이 만들어내는 가치의 크기는 어느 정도인가?
영역 5 ‘사람을 적절하게 유지했는가?’ 지표 검토와 분석・대책
[질문 42] 인게이지먼트는 높은 상태인가?
[질문 43] 인재는 정착했는가?
[질문 44] 적절한 업무 방식을 실현했는가?
[질문 45] 인건비가 적절한가?
영역 6 ‘사람이 지닌 위험 요소를 적절하게 줄였는가?’ 지표 검토와 분석・대책
[질문 46] 건강하고 안전한 직장이 만들어졌는가?
[질문 47] 컴플라이언스를 위반하는 수는 줄었는가?
[질문 48] 사람에 관한 문제 수는 줄었는가?
영역 7 ‘인사 체제를 적절하게 정비했는가?’ 지표 검토와 분석・대책
[질문 49] 인사로서 공헌도가 높은가?
[질문 50] 인사 조직으로서의 인원수(생산성)는 적절한가?
정리 파트_답을 정리해서 가시화・공시의 지표와 시스템을 만든다
에필로그_50가지 질문 끝에 있는 것
미주
리뷰
책속에서
일반적으로는 ‘자본’은 ‘자원’처럼 소비되거나 비용으로 취급되는 것이 아니라 수익을 만들어내는 원천이라고 설명합니다. 즉 인재는 연필이나 노트와 같이 소비되는 물건이 아니라 지적 재산이나 브랜드 등과 마찬가지로 이익을 만들어내는 존재입니다. 따라서 ‘인적 자원’이 아니라 ‘인적 자본(또는 인적 자산)’이라는 설명이 많습니다. 그렇다고 대부분의 기업이 지금까지 사람을 ‘소비되는 물건’으로 취급해 온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앞에서 말했듯이 ‘회사의 보물로 소중히 다뤄왔다’고 생각합니다. 기존 경영과의 본질적인 차이는 그 점이 아니라 사람은 투자하는 양에 따라 가치가 달라지는 자산(가변 자본)으로 파악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 1장 인적 자본 경영의 ‘왜?’와 무엇?’
다음으로 사람을 육성할 때 흔히 하는 논의인데 ‘전문성의 넓이와 깊이 중 어느 쪽을 선택할 것인가’를 미리 결정해 봅니다. 구체적으로는 ‘사업’, ‘지역’, ‘직능・직종(영업, 연구 등)’의 축에 대하여 여러 가지를 경험하게 할 것인지, 특정 영역에서 육성할 것인지를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야마토 운수에서는 입사하면 처음 3년 동안 영업소, 물류 거점, 관리 지점 등 다양한 직종・지역의 시점에서 현장을 경험하는 로테이션을 시행합니다. 이는 ‘고객과 가장 가까운 환경에서 어떤 고민이 있는지 이해하고 서비스 개선과 지역 공헌에 도움이 되는 힌트를 얻게 하고 싶기’ 때문입니다.
- 2장 사람을 끌어들이는 ‘인재/조직의 비전’과 ‘인사전략’을 작성하자
시간이나 장소와 같은 관점 외에도 ‘다양한 업무 방식’의 유형으로 ‘부업(투잡)’이나 ‘사원의 업무 위탁화’를 들 수 있습니다. 이를테면 부업의 효과로는 시야가 넓어지고 도전 의식 향상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사원의 업무 위탁화는 헬스 기기 제조회사인 타니타(TANITA)의 사례가 유명합니다. 타니타에서는 희망하는 사원이 있으면 고용 계약을 종료하고 업무 위탁의 관계성으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3년 동안 일을 제공하는 것을 약속하고 보수도 회사원 시절의 잔업 포함 연봉을 토대로 정해집니다. 추가적인 업무를 위탁하게 되면 그만큼의 보수를 ‘성과 보수’로 지급합니다.
- 2장 사람을 끌어들이는 ‘인재/조직의 비전’과 ‘인사전략’을 작성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