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칩 대결

칩 대결

(글로벌 반도체 산업의 생존과 운명을 통찰하다)

인치밍 (지은이), 안동환 (옮긴이)
알에이치코리아(RHK)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0원 -10% 0원
1,500원
25,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칩 대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칩 대결 (글로벌 반도체 산업의 생존과 운명을 통찰하다)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세계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88925576039
· 쪽수 : 420쪽
· 출판일 : 2023-09-13

책 소개

40여 년간 대만 반도체 산업을 이끈 공헌자’라고도 불리는 전임 대만 경제부 장관 인치밍은 70년에 달하는 방대한 반도체 산업의 발전사를 한 편의 거대한 시나리오로 재구성해서, 반도체 산업의 역사에서 중대한 전환점이 되었던 주요 사건과 쟁점, 국가별 정책을 심오한 관점에서 분석하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목차

한국 독자를 위한 서문
추천사_대만이 신중할 수밖에 없는 반도체 웨이퍼 전쟁의 시작
프롤로그_승자 없는 전쟁

PART 1. 명예 전쟁

Chapter 01. 수십 년간 혁신을 거듭한 글로벌 반도체 산업
반도체 산업 진화의 가속화
산업 발전 모델의 변천
지속적인 시장 성장을 이끄는 분야
글로벌 분업 체계를 형성하고 있는 반도체 산업
반도체 산업의 미래 발전 동향
[대만의 관점]

Chapter 02. 서로 다른 분야에서 경쟁하고 있는 선진국들
Ⅰ. 일본의 반도체 산업
미·일 무역 전쟁의 전말
1960년대-일본 반도체 산업
1970년대-반도체 산업의 황금 시대로 진입하다
1980년대-무역 전쟁이 가열된 시기
2000년대-점차 잠재적인 경쟁력을 회복하다
일본의 반도체 전략
Ⅱ. 유럽연합의 반도체 산업
특화 시장을 대상으로 한 반도체 산업
‘디지털 10년’을 향해
관련 법안과 그에 따른 후속 효과
[대만의 관점]

Chapter 03. 신흥 반도체 생산 국가들의 발전과 전쟁
Ⅰ. 한국 반도체 산업의 성장과 미래
한·일 반도체 무역 분쟁
K-반도체 전략
Ⅱ. 싱가포르는 반도체 다국적 기업의 중심지
Ⅲ. 말레이시아는 백엔드 제조의 거점
Ⅳ. 미래 반도체의 중심이 되기를 원하는 인도
산업 구조 혁신의 과제를 받은 인도
관대한 보조금으로 다국적 기업들을 유치한다?
[대만의 관점]

Chapter 04. 중국 반도체의 산업 발전 성공에 대한 열망
2000년 중국 정부가 일으킨 반도체 붐
주요 반도체 산업 클러스터에 대한 중국의 관점
중국 반도체 산업 정책 분석
빈번한 반도체 미완성 사례
중국 반도체 산업 발전에 존재하는 여러 문제점
중국 반도체 산업의 미래 전망
[대만의 관점]

PART 2. 반도체 전쟁
Chapter 05. 미·중 무역 전쟁이 몰고온 글로벌 쇼크
미국은 왜 미·중 무역 전쟁을 유발시켰나?
중국의 시장 경제 지위
중국을 제재할 덫을 놓다
격화된 미·중 무역 전쟁
기술 분야와 국가 안보에 초점을 맞춘 무역 전쟁
미·중 무역 관계의 미래
[대만의 관점]

Chapter 06. 반도체 패권국 미국의 이중 플레이
미국은 여전히 세계 반도체 산업의 강자다
미·중 무역 전쟁에서 반도체 공급망 재구축까지
미국 반도체 산업 정책: 우위를 유지하는 법안 제정
정책이 특정 분야의 발전을 지원하도록 전환하다
미국의 양손 전략
우유 한 잔을 위해 소 한 마리를 키울 가치가 있나?
미국의 블랙리스트
[대만의 관점]

Chapter 07. 대만 반도체 산업, 기적과 위기의 순간들
대만 반도체 사업의 개요
거친 길을 다듬고 산림을 개척하다
D램 산업 실패로 얻은 교훈
반도체를 가진 죄: 대만이 직면한 정치적 위험
대만 반도체 산업의 미래는 위험에 둘러싸여 있다
산업 인센티브 정책은 자멸의 길이다
대체 불가한 위치가 유일한 해결책이다
[대만의 관점]

Chapter 08. 지속적인 불안과 혼란에 빠진 글로벌 경제
혼란의 근원, 미국
두 강자의 충돌! 각자의 장점을 확보하라
미국이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을까?
중국의 미래 발전은 자신들의 손에 달렸다
포커스를 잃은 정책은 산업 경쟁력을 약화시킨다
세계 무역 규칙 경제 및 관리 이론의 개정
[대만의 관점]

감사의 글
옮긴이의 말
주석
부록
_1947~2023년 반도체 산업의 발전 연대기

저자소개

인치밍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2년 대만 타이난시 안남구에서 태어났다. 국립자오퉁대학교 공과대학에서 컴퓨터공학과 및 제어계측공학과, 같은 대학교의 경영과학연구소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국립정치대학교 기업경영연구소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대만 경제부에서 장관과 산업국장을, 행정원에서 정무위원과 경제발전위원회의 주임위원을 역임했고 현재는 양안기업인서밋 사무총장을 맡고 있다. 대만의 경제 발전과 반도체 산업 성장을 적극적으로 이끌며, 대만이 세계 파운드리 시장을 제패하는 데 크나큰 역할을 한 인물로 통한다. 대만 반도체 산업의 선구자 스친타이(史欽泰)는 저자 인치밍을 “대만 반도체 산업 발전에 중요한 공헌자다.”라고 칭했다. 《칩 대결》에는 반도체 산업의 출발점부터 현재까지 70년 발전사가 한 편의 장대한 시나리오로 담겼다. 글로벌 반도체 산업에서 중대한 전환점이 되었던 핵심적이고 역사적인 사건과 쟁점, 정책을 짚으며 대만이 반도체 파운드리 부문에서 세계 1위를 달성한 저력을 상세히 분석하고 있다. 시시각각 변하는 글로벌 반도체 산업의 패권 전쟁과 양상, 극도로 예민하고 치열한 반도체 생산 국가들 간의 경쟁 구도와 정치·경제적 이슈, 나아가 반도체 산업이 성장하고 발전해 나갈 미래에 대한 통찰과 전망을 대만의 관점에서 바라보고 정리했다. 《빛은 천천히 흐르고, 길을 잃는 건 중요하지 않습니다》, 《레이아웃: 황금 시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깨진 고리: 대만 경제의 새로운 미래를 바라보며》, 《대만 경제 전환의 순간》 등의 저서가 있다.
펼치기
안동환 (옮긴이)    정보 더보기
대만 타이베이시 중국문화대학교의 정보통신학과 학부 및 동대학원에서 공학석사 학위를 받았다. 대학원 시절 한국의 전문 분야인 3D디자인 관련 도서인 《F/X MAYA》, 《Soft Image》, 《3D Studio Max》를 번역하여 대만의 미공도서사(美工圖書社)에서 출간하였다. 2003년부터 2008년까지 중국 기업들을 대상으로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부품 영업 마케팅을 하였고, 2009년부터는 글로벌 1위 산업용 컴퓨터 판매 기업이자 전 세계 반도체 및 장비 기업들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어드밴텍 한국 지사에 입사해, 현재까지 Embedded/Service IoT 사업본부장으로 재직 중이다. 글로벌 반도체 산업에 대한 깊은 이해와 실무를 통해 얻은 해박한 지식과 경험으로 《칩 대결》을 번역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한국은 메모리 칩 제조 분야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으며, 대만은 팹리스와 파운드리 그리고 패키징 및 테스트 분야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한편으로는 두 나라의 산업 발전 과정에는 공통점도 있습니다. 바로 글로벌화의 흐름 속에서, 치열한 자유 경쟁이라는 어려운 도전에 직면하면서도 지속적으로 각자 독특하고 특화된 방법으로 경쟁 우위를 축적하였고, 그런 방법을 통해 첨단 기술인 반도체 분야에서 다른 선진국들을 앞지를 수 있었습니다. 이 점이 한국과 대만이 크게 자부심을 품을 수 있는 부분입니다.


이 책은 대만의 관점에서, 또는 미국이 아닌 국가의 시각에서 현재 저 세계 반도체 산업을 바라본다는 점이 특징이자 장점입니다. 미·중 대결은 이미 장기적인 추세로 자리잡았습니다. 미국은 중국에 대한 제재 조치를 계속 내놓을 것입니다. 중국의 보복 조치는 지금까지 상대적으로 소극적으로 보이지만 반도체 산업 발전에 대한 중국의 결단은 더욱 강화되고 있으며, 반도체 산업의 미래는 불안정한 상태에 놓일 것입니다.


반도체는 모든 생활 영역에서 석유보다 더 중요해졌고, 복잡한 공급망 속에서 각국의 반도체 사용 의존도가 점점 더 커지고 있습니다. 공급망이 복잡하고 여러 국가가 상호 의존하는 상황에서 자급자족은 불가능합니다. TSMC 창립자인 모리스 창(張忠謀)이 예측한 대로 ‘한 국가에서 반도체를 자급자족한다는 환상은 너무 순진한 일’입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