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다자안보협력의 한계와 제약

다자안보협력의 한계와 제약

이원우 (지은이)
한국학술정보
2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4,300원 -10% 0원
1,350원
22,950원 >
24,300원 -10% 0원
0원
24,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개 14,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다자안보협력의 한계와 제약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다자안보협력의 한계와 제약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정치학일반
· ISBN : 9788926800690
· 쪽수 : 406쪽
· 출판일 : 2009-06-10

목차

序 文

Ⅰ. 서 론: ‘다자안보협력은 가능한가?’

1. 연구배경 및 목적
2. 기존 연구의 검토
가. 신자유(제도)주의적으로 접근한 기존 연구
나. 신현실주의로 접근한 기존 연구
다. 구성주의적으로 접근한 기존 연구
3. 연구범위와 방법


Ⅱ. 다자안보협력 연구를 위한 이론 검토

1. 다자안보협력이론
가. 다자주의(multilateralism)
나. 新안보협력이론(공동안보?포괄안보?협력안보)
다. 안보공동체 및 경제통합 이론 적용의 전제조건
2. 전통적 안보협력이론
가. 집단방위(collective defense)
나. 집단안보(collective security)
3. 신안보협력이론과 전통적 안보협력이론과의 관계

Ⅲ. 참가국 國家定向과 상호관계이론

1. 國家定向(nation’s general orientation)이론
2. 지역안보복합체이론(RSCT)
3. 경제상호관계이론
가. 평등한 상호의존관계
나. 불평등한 의존관계
4. 검토된 관련 이론들의 활용 방침


Ⅳ. ARF의 발전과정과 주요의제

1. 발전과정
가. 발전경과
나. 주요활동
2. 주요의제
가. 지역분쟁 분야
나. 군축/비확산 분야
다. 초국가적/비전통적 안보 분야

Ⅴ. ARF와 유사 기구/협의체들과의 제도 비교

1. 정부간 다자안보기구/협의체들과의 비교
가. 기본원칙 비교
나. 제도발전의 차이점
다. 제도화 수준 평가
2. 비정부간 다자안보협의체들과의 관계
가. CSCAP의 ARF에 대한 역할
나. NEACD의 ARF에 대한 기여
3. 정부간 다자경제협의체 APEC의 역할
가. APEC의 기본원칙과 발전경과
나. APEC 참가국 및 주요 회의체
다. 주요 참가국들의 입장과 ARF와의 비교
4. 제도적 수준에서 식별된 문제점 및 한계


Ⅵ. ARF 참가국들의 상호관계 분석

1. 정치?군사분야 상호관계
가. 동남아시아
나. 동북아시아
다. 남아시아
2. 사회문화?환경분야 상호관계
가. 동남아시아
나. 동북아시아
다. 남아시아
3. 경제분야 상호관계
가. 참가국들의 경제상황과 상호의존
나. RTA/FTA 이행현황
다. 경제적 불균형 관계
4. 구조적 차원에서 식별된 문제점 및 제약


Ⅶ. ARF의 제도적 한계: ‘낮은 수준의 다자안보’

1. ARF에 적용된 다자안보협력이론의 한계
가. 다자안보협력이론 적용개념의 변화
나. 廣義의 협력안보 개념 적용의 필요성
2. 15년 활동의 성과 미흡
3. 제도적 미비
가. 운영조직 및 체제의 문제
나. 의사결정과정 지체 및 집행/검증기능 미약
다. 3단계 발전과정의 비현실성
4. ASEAN에 과도한 의존
가. ASEAN의 주도적 역할과 협의 관행
나. ‘모두에게 편안한 발전 속도’의 문제


Ⅷ. 구조적 제약: ‘높은 수준의 당면 이슈’

1. 참가국 경제관계의 불균형
2. 세력균형정책의 강화
3. 남중국해 문제의 구속성
가. 美?中 대결의 현장: ‘미정찰기의 해남도(海南島) 비상착륙사건’
나. 남중국해 문제의 국제법적 모호성


Ⅸ. 결 론

참고문헌
부록
약어
색인

저자소개

이원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 약력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외교안보 전공(1990년, 행정학석사) 경남대학교 대학원 국제정치 전공(2009년, 정치학박사) 합참/국방부 군사전략.군비통제.다자안보정책.대북정책 실무 담당(1993-2006년) -CSCE 運營槪念, 構造 및 實態 硏究(1994년, 오스트리아) -ARF/NEACD 등 다자안보 국제회의 20여 회 정부/비정부 군사대표로 참가(1998-2003년) -한국 개최 국제회의 Organizer/Coordinator로 활동‘ARF-ISG-CBM회의 국방관리회의’(2000년)‘ARF-PKO 세미나’(2001년) ‘동북아 제한적 비핵지대화(LNWFZ-NEA)회의’(2001년)‘ARF 國防官吏協力워크숍’(2002년) 등 공군대령 예편(2007년) 아태지역 다자간 안보협의체들의 군사적 논의사항분석 및 대응방향 공군군사학술용역연구(2008년) 등 · 연구 실적 “韓·美 安保關係의 爭點과 未來”(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석사 학위논문, 1989년) “多者安保協力體 설립시 軍事對應方案 硏究”(<합참> 기고문, 1996년) “지역 다자안보협력 현황과 우리의 대응방향”(<한반도 군비통제> 기고문, 1998년) “지역 다자안보협력 현황과 발전 전망”(<공군평론> 기고문, 1999년) “Review on Defense/Military Officials’ Exchange and Cooperation within the ARF Countries”(<Workshop on Defense/Military Officials’ Cooperation within the ARF>, 국방대학교, 2002년) ? “비전통적 안보위협 대처: ARF 10주년 의의?성과?전망”(<국방저널> 기고문, 2003년) ? “아태지역 다자간 안보협의체들의 군사적 논의사항 분석 및 대응방향,”(공군군사학술용역, 2008년) ? “ARF의 제도적 한계와 구조적 제약에 관한 연구”(경남대학교 대학원 정치학박사 학위논문, 2008년) 등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