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심리치료
· ISBN : 9788926834602
· 쪽수 : 198쪽
· 출판일 : 2012-10-19
목차
책머리에
제1부 원예작업치료의 이론
제1장 원예작업치료 개론
1.1. 원예작업치료의 개념과 특징
1.2. 원예작업의 사회원예적 활용
1.3. 치료적 활동으로서의 원예작업
1.3.1. 치료적 작업
1.3.2. 치료적 원예활동
1.3.3. 원예작업의 치료적 가치
1.4. 원예작업치료의 이론과 치료단계
1.4.1. 원예작업치료이론의 틀과 목표설정
1.4.2. 인간-환경-작업 이론의 틀
1.4.3. 인지행동이론의 틀
1.4.4. 환자중심이론의 틀
1.4.5. 원예작업치료의 진행
1.5. 원예작업치료의 형태
1.5.1. 재배작업
1.5.2. 화훼장식
1.5.3. 원예를 응용한 활동
제2장 원예작업치료와 효과
2.1. 원예작업 수행분석 개요
2.2. 신체적 기능향상 효과
2.2.1. 관절가동범위 증진과 유지
2.2.2. 대근육 협응
2.2.3. 소근육 협응과 기민성
2.2.4. 근력
2.2.5. 지구력
2.2.6. 자세 배열/자세 조절
2.2.7. 정중선 교차
2.2.8. 시각-운동통합
2.2.9. 구강-운동조절
2.3. 지각?인지적 효과
2.3.1. 지남력
2.3.2. 기억
2.3.3. 주의 집중 기간
2.3.4. 활동의 시작
2.3.5. 활동의 종료
2.3.6. 순서 인식
2.3.7. 문제 해결하기
2.3.8. 학습
2.3.9. 개념 형성
2.3.10. 일반화
2.4. 심리?사회적 기술 향상
2.4.1. 심리적 요소
2.4.2. 사회적 요소
2.5. 감각?지각?인지기술의 향상 효과
2.5.1. 감각인식과 감각처리
2.5.2. 지각처리
2.6. 교육적 효과
2.7. 직업적 효과
제3장 원예작업 수행분석
3.1. 작업수행분석의 이해
3.1.1. 작업은 생활이다
3.1.2. 원예작업 수행분석의 목적
3.1.3. 작업수행의 정의
3.1.4. 독립적인 사회참여를 위한 작업수행분석
3.1.5. 원예작업을 위한 활동분석
3.2. 작업분석과 원예치료에의 적용
3.2.1. 원예작업분석
3.2.2. 원예작업 수행요소 분석과 적용
3.3. 원예작업 수행배경
3.3.1. 원예작업 수행배경의 개념
3.4. 원예작업분석 실제
3.4.1. 원예작업 매뉴얼 만들기
3.4.2. 원예작업 매뉴얼의 예
제4장 원예작업치료를 위한 수행영역, 요소, 배경분석의 예
4.1. 활동?작업명
4.2. 수행배경
4.3. 활동?작업이 추구하는 치료 목표
4.4. 필요한 재료 및 도구(각각의 양과 비용)
4.5. 활동 전 준비사항
4.6. 도구 및 재료 보관 장소
4.7. 원예작업 활동 단계
4.8. 지시방법
4.9. 예방조치
4.10. 수행영역
4.11. 수행요소
4.11.1. 감각?인식과정
4.11.2. 지각과정
4.11.3. 신경?근골격
4.11.4. 운동
4.11.5. 인지
4.11.6. 심리사회적
제2부 원예작업치료의 응용
제5장 원예작업의 분류
5.1. 식물재배
5.1.1. 파종
5.1.2. 삽목
5.1.3. 이식(화분이식, 분갈이)
5.1.4. 식물관리(적심과 적아, 지주와 유인)
5.1.5. 채소의 재배와 수확
5.2. 화훼장식
5.2.1. 한 송이 꽃포장
5.2.2. 꽃바구니
5.2.3. 협동 꽃꽂이
5.2.4. 꽃다발
5.2.5. 리스 만들기
5.3. 원예응용
5.3.1. 향주머니 만들기
5.3.2. 누름꽃(압화) 장식
5.3.3. 채소 수확하여 요리하기
5.3.4. 자연물 액자 및 장식품 만들기
제6장 기능적 능력강화를 위한 원예작업 프로그램 매뉴얼
6.1. 신체적 효과강화를 위한 원예작업 프로그램
6.1.1. 푸미라 공중걸이 화분 기르기
6.1.2. 채소씨앗 심기
6.1.3. 국화 삽목하기
6.1.4. 꽃잎 눌러서 말리기(생화 염색 후 말리기)
6.1.5. 다육식물 오픈 테라리움 기르기
6.1.6. 아이비 유인하여 기르기
6.1.7. 속새(마디초)를 이용한 꽃병 만들기
6.1.8. 꽃잎 손수건 만들기
6.1.9. 코르사주 만들기
6.1.10. 홀리페페로미아 벽걸이 액자 만들기
6.2. 지각?인지적 강화를 위한 원예작업 프로그램
6.2.1. 행운목 수경재배
6.2.2. 손바닥 정원 만들기
6.2.3. 싱고니움 하이드로 볼 재배
6.2.4. 포인세티아 심기
6.2.5. 꽃가지를 이용한 봄 꽃꽂이
6.2.6. 물이 보이는 여름 꽃꽂이
6.2.7. 열매를 이용한 가을 꽃꽂이
6.2.8. 눈나무를 이용한 겨울 꽃꽂이
6.2.9. 물주머니 꽃싸기
6.2.10. 낙엽 말려서 낙엽발 만들기
6.3. 심리?사회적?정서적 기술향상을 위한 원예작업 프로그램
6.3.1. 꽃바구니 선물하기
6.3.2. 협동 꽃꽂이
6.3.3. 잔디인형 만들기
6.3.4. 모스 볼 토피어리
6.3.5. 꽃다발 만들기
6.3.6. 한 송이 꽃 포장하기
6.3.7. 새싹채소 기르기
6.3.8. 압화 이름표 만들기
6.4. 감각 자극 향상을 위한 원예작업 프로그램
6.4.1. 허브 미니정원 가꾸기
6.4.2. 허브비누 만들기
6.4.3. 허브식초 만들기
6.4.4. 허브토스트 만들기
6.4.5. 향주머니 만들기
6.4.6. 편백 희망나무
6.4.7. 매실차 담그기
6.4.8. 알뿌리 모듬심기
6.4.9. 무스카리 수경재배
6.4.10. 유칼립투스 리스 만들기
제3부 원예작업치료의 실제
제7장 원예작업치료와 재료의 이해
7.1. 원예작업치료와 재료의 특성
7.2. 원예작업치료와 재료의 분류
7.3. 원예작업치료 재료 선택 시 유의사항
제8장 원예작업치료 식물소재의 분류
8.1. 분화류
8.1.1. 생육요인에 따른 구분
8.1.2. 원예작업치료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분류
8.2. 절화류
8.2.1. 봄
8.2.2. 여름
8.2.3. 가을
8.2.4. 겨울
8.2.5. 연중
제9장 특별한 목적으로 구분되는 재료
9.1. 원예작업치료 이용용도별 분류
9.1.1. 식용화
9.1.2. 촉감자극을 줄 수 있는 식물
9.1.3. 추억을 되살리는 식물
9.1.4. 물주기가 거의 필요하지 않는 식물
9.1.5. 수경으로 기르기 좋은 식물
9.1.6. 계절감과 절기에 어울리는 식물
9.1.7. 생육이 빠른 식물
9.1.8. 독성이 있어 주의가 필요한 식물
9.2. 생활원예활동 프로그램으로의 활용
9.2.1. 요리
9.2.2. 생활공예
9.2.3. 작품전시회
9.2.4. 메시지 전달용
제10장 원예작업치료에 필요한 도구
10.1. 재배프로그램용
10.1.1. 토양
10.1.2. 용기
10.1.3. 기타
10.2. 화훼장식 프로그램용
10.2.1. 지지도구
10.2.2. 화기
10.2.3. 기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