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26897591
· 쪽수 : 219쪽
· 출판일 : 2019-12-31
목차
제1장 …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목표
제2절 연구내용
제3절 연구방법
제2장 … 정치영역에서의 재중 한국인의 초국가주의 실천
제1절 정치적 측면에서 살펴본 한중관계의 변화
제2절 중국 현지에서의 정치적 역량 제고 노력
제3절 중국의 외국인 관리제도와 재중 한국인
제4절 한국과의 정치적 연계
제3장 … 경제적 환경변화와 재중 한국인의 초국가주의 실천
제1절 경제적 측면에서 살펴본 한중관계의 변화
제2절 중국정부의 정책 기조 변화와 초국가주의 심화
제3절 철수기업의 확대와 한국정부의 대책
제4절 중국투자 한국기업의 대응전략
제4장 … 재중 한국인의 사회생활과 초국가주의적 생활 경험
제1절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본 한중관계의 변화
제2절 재중 한국인의 사회적 초국가주의 활동수준
제3절 민족 관계로 보는 재중 한국인의 초국가주의 실천
제4절 재중 한국인 자녀교육에서의 초국가주의 선택
제5장 …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제1절 갈등과 통합, 창신적 발전모델
제2절 초국가주의 ‘역동성’의 정책적 함의
참고문헌
부록 1(설문지)
부록 2(외국인 관리행정 체계)
책속에서
이 총서는 2011년 12월 한국학진흥사업단 해외한인연구 특별 기획과제로 선정되어, 5년간 진행된 ‘재중 한인 디아스포라의 재구성과 발전적 통합’ 사업의 각 학문분야별 연구 성과이다.
총서의 출간은 재외 한인 사회를 연구하는 학계와 관련기관, 그리고 재외동포의 큰 관심을 받게 될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총서발간에 더욱 많은 부담을 가졌다. 하지만 지금까지 연구된 재중 한인 사회에 대한 연구에 비해, 새롭게 재구성된 재중 한인 사회에 대해 종합적이고 학제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최소한 후속연구의 토대가 될 수 있다는 판단, 후속세대의 재중 한인에 대한 관심 제고, 중국진출 한국기업과 한국유학생 등 재중 한국인 사회의 중국 정착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란 점, 재중 한인의 민족정체성 강화프로그램, 해외인적자원 개발 등 정부 및 공공기관에 대한 정책제언에 기여할 것이란 판단에 기대어 부족하지만 총서의 발간을 감행하였다.
- 총서를 펴내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