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27879602
· 쪽수 : 292쪽
· 출판일 : 2023-01-03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 공간은 곧, 교육이다
1장 우리 아이는 어떤 곳에서 살아야 할까_주거공간
아이를 키우기 좋은 곳은 어디일까
녹지가 있는 곳에서 자란 아이가 영리하다
아이들의 꿈은 집에서 자란다
집을 바꿀 수 없다면 인테리어를 바꾸자
아이의 학습 능력을 상승시키는 '거실공부'
책상 위치만 바꿔도 아이의 성적이 달라진다
+1 아이를 위한 1평 공부방 만들기
+2 아이의 집중력을 높이는 10초 정리 정돈법
2장 학교공간, 어떻게 바꿀 수 있을까?_교육공간
학교공간은 곧 교과서다
학교 폭력을 줄이는 녹색 환경
'마음풀' 공간의 기적
도서관에 빈백이 있어야 하는 이유
창의적인 생각을 만드는 복도와 로비
아이의 창의력을 키우는 컬러
건물이 놀이터가 된 후지 유치원
+1 천장의 높이는 창의력에 영향을 준다
3장 아이의 창의력과 감성을 키우는 곳_문화공간
익숙함에서 벗어날 때 창의력은 시작된다
아이가 가장 처음 만나는 예술은 장난감이다
모두가 소통하는 공간
책을 싫어하는 아이도 책을 읽게 만드는 도서관
미술관, 아이의 행동에 변화를 주는 공간
+1 아이들과 함께 제대로 관람하고 즐기는 법
+2 아이와 함께 보기 좋았던 전시 추천
4장 아이의 미래를 만드는 곳_도시공간
좋은 디자인은 긍정을 낳는다
살고 싶은 동네 1위, 자연 접근성
5초마다 자극을 주는 거리
공공 건축은 누구에게나 평등하다
공공 조형으로 예술이 일상이 되도록
사람을 키우는 도시, 가나자와
+1 가나자와의 21세기미술관
나가며 | 우리가 만든 도시, 도시가 키운 아이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미국의 환경심리학자 리처드 테일러는 공공주택 거주자를 대상으로 자연 환경과 아동 심리의 연관성에 대해 조사했다. 거주하는 곳의 녹지량에 따라 아이들이 얼마나 강한 집중력, 충동 억제 능력, 만족 지연 능력을 가졌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녹지가 많은 집에 사는 아이가 집중력과 충동 억제 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또 주변 유혹에 바로 응하는 것이 아니라 만족을 지연시켜 더 많은 것을 얻어낼 수 있는 만족 지연 능력이 높았다. _1장 우리 아이는 어떤 곳에서 살아야 할까_주거공간 中에서
청소년들이 자연을 보고 느낄 수 있는 공간 ‘마음풀’은 서울시 동대문구 전일중학교에 처음 만들어졌다. 서울시가 평소 디지털 매체에 노출되어 있는 청소년들이 자연을 보고 느낄 수 있도록 공간을 구상하고 조성한 곳이다. 아이들이 꽃을 심거나 돌보며, 마음을 돌보고 채울 수 있는 공간이라는 의미로 ‘마음풀’이란 이름을 붙였다. 학교 내 빈 교실에 조성된 마음풀은 ‘학생들이 언제든지 찾아가 마음을 풀 수 있는 공간, 풀이 자라나는 공간, 마음을 충전(full)할 수 있는 공간’이라는 구체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 _2장 학교공간, 어떻게 바꿀 수 있을까?_교육공간 中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