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음악 > 한국 전통음악
· ISBN : 9788928514083
· 쪽수 : 229쪽
· 출판일 : 2020-02-15
목차
머리말
총론
제1부 국악치유론
1장 성聲·음音·악樂과 국악치유
1. 동양적 사유토대에서 국악치유론이 필요한 이유
2. ‘聲’·‘音’·‘樂’과 인간감정과의 관계
3. 聲·音·樂의 치유성
4. 聲·音·樂 치유의 새로운 과제
2장 국악치유론 기반을 위한 동양학의 이론
1. 『황제내경』과 『예기』 「악기」에서 ‘국악 치유론’을 모색하려는 이유
2. 『황제내경』의 오행론五行論과 오행감정五行感情의 상관성
3. 『예기』 「악기」의 오행감정과 성음聲音의 관계
4. 국악치유론의 기반, 오행의 상생과 상극의 관계
5. 국악치유의 또 다른 section에 대한 기대
3장 한국적 음악치유학 정립을 위한 퇴계의 음악론
1. 퇴계에게서 국악치유론의 정체성과 가능성을 찾아서
2. 나는 고대음악을 이렇게 이해한다!
3. 몸과 마음 치유를 위한 퇴계의 음악이해
4. 사회의 병리 현상을 마주한 치유적 노래
5. 한국적 음악치유학의 가능성과 기대
4장 감정치유를 위한 음악활용
-『활인심방』과 「도산십이곡」 <언지>를 중심으로
1. 활인活人을 위한 노래치유의 이유
2. 『活人心方』과 국악치유
3. 『활인심방』에서 감정치유법
4. ‘음악치유자’, 퇴계
5. 감정치유를 위한 「도산십이곡」의 효용성
6. 허튼세상을 향한 국악치유의 필요성
5장 국악치유를 위한 모델
-『활인심방』의 호흡법과 운동법을 중심으로
1. 국악치유의 구체적 방법을 위한 서언
2. 국악치유를 위한 기초이해:五行·五臟·五行感情·聲音의 관계
3. 『활인심방』의 호흡법을 이용한 국악치유 방법
4. 『활인심방』의 운동법을 이용한 국악치유 방법
5. 국악치유를 위한 다양한 임상을 기다리며…
6장 다산 정약용의 국악치유를 위한 기반론
1. 다산 정약용의 국악치유론에 대한 기대
2. 의서醫書를 통한 정약용의 의학관
3. 정약용의 고대古代 악론 이해와 국악치유에 대한 인식
4. 정약용의 의학관에 근거한 국악치유론 설정 가능성
5. 국악치유 방법의 구체화를 기대하며…
제2부 풍류도음악
7장 물계자勿稽子와 백결선생百結先生의 풍류도적 음악 재현
1. 김범부의 『화랑외사』에서 물계자와 백결선생을 밝히며…
2. 범부 김정설의 생애와 『花郞外史』의 성격
3. 물계자와 백결선생의 재현을 통한 김범부의 풍류도적 음악이해
4. 김범부의 풍류도적 음악의 의미
8장 ‘참 멋’진 인간을 위한 풍류도적 음악
1. ‘참 멋’의 인간관을 범부凡夫에게서 찾는 이유
2. 범부 김정설과 그의 풍류도론
3. 풍류도 = ‘천인묘합天人妙合’·‘제 작’·‘참 멋’에 대한 이해
4. 풍류도적 음악(음악 함)에 나타난 ‘참 멋’진 인간관
5. 풍류도의 확장된 스팩트럼을 향하여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