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마니산 제사의 변천과 단군전승

마니산 제사의 변천과 단군전승

(참성초(塹城醮)에서 마니산산천제(摩尼山山川祭)로)

김성환 (지은이)
민속원
3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9,000원 -0% 0원
1,950원
37,050원 >
39,000원 -0% 0원
0원
39,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마니산 제사의 변천과 단군전승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마니산 제사의 변천과 단군전승 (참성초(塹城醮)에서 마니산산천제(摩尼山山川祭)로)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민속/한국전통문화
· ISBN : 9788928516261
· 쪽수 : 414쪽
· 출판일 : 2021-08-20

목차

책머리에

서론
1. 연구 목적과 범위
2. 연구사 정리와 연구방법

제1부 고려시대 참성단塹城壇 초례醮禮의 연혁과 운영

제1장 강도시기江都時期 고려 왕실의 가궐假闕 조영과 연기업延基業
1. 무신집권기 삼소三蘇 조성과 산천비보山川裨補
2. 강화 천도 이전의 연기업延基業과 좌소左蘇 아사달阿思達
3. 백승현白勝賢의 가궐假闕 조영 건의와 삼소三蘇

제2장 전성초氈城醮에서 마리산참성초摩利山塹城醮로
1. 《고려사》에서의 친초親醮·대초大醮·초醮
2. 전성氈城 제천단祭天壇의 운용과 전성초氈城醮
3. 전성초氈城醮와 마리산참성초摩利山塹城醮의 관계

제3장 고려 국왕의 마리산참성摩利山塹城 친초親醮-원종 5년(1264) 여름의 사례를 중심으로
1. 몽고의 고려 국왕 입조入朝 요구와 원종의 친조親朝
2. 원종의 참성단 친초親醮 설행의 배경
3. 원종 5년(1264) 마리산참성摩利山塹城 친초親醮와 단군壇君
제4장 《삼국유사》와 《제왕운기》의 단군전승지역檀君傳承地域과 유적遺跡
1. 《삼국유사》와 《제왕운기》에서 단군전승의 지역 범위
2. 두 자료에서의 도참에 대한 인식과 단군전승
3. 일연과 이승휴의 참성단·삼랑성, 단군묘檀君墓에 대한 인식

제5장 고려 후기 마리산참성초摩利山塹城醮의 설행-공민왕 7년(1358) 가을 이색李穡의 사례를 중심으로
1. 이색李穡(1328~1396)의 현실인식
2. 마리산참성초摩利山塹城醮를 위한 여정
3. 마리산참성초摩利山塹城醮의 목적과 의미

제2부 조선시대 참성단塹星壇 제사의 변화와 단군전승

제6장 조선시대 국가제사와 참성단塹星壇
1. 국가제사와 단군 숭배
2. 마리산(마니산) 참성단塹星壇과 단군

제7장 조선 전기 참성초塹城醮의 설행과 찬반 논의
1. 참성초塹城醮 설행의 내용
2. 참성초塹城醮 설행의 찬반 논의

제8장 조선 전기 참성초塹城醮의 개선 건의와 운영
-성종 15년(1484) 최호원崔灝元의 보고와 17세기 말 이형상李衡祥의 《강도지江都誌》를 중심으로
1. 성종 15년(1484) 참성초행향사塹城醮行香使 최호원崔灝元의 보고
2. 중종 22년(1527) 참성초塹城醮의 복설復設과 이형상李衡祥의 《강도지江都誌》

제9장 조선 후기 마니산摩尼山 제사의 변화
-초제醮祭에서 산천제山川祭로
1. 《오례의五禮儀》에 따른 마니산제사摩尼山祭祀의 정비
2. 마니산산신제摩尼山山神祭의 양상

제10장 조선 후기 강화의 단군전승과 고조선의 남변南邊
1. 참성단과 재궁齋宮의 기능 변화-제천단에서 명승고적으로
2. 삼랑성三郎城의 기능 변화-삼랑성에서 정족산성으로
3. 고조선의 남변南邊과 참성단·삼랑성

결론
1. 고려시대 마리산참성초摩利山塹城醮의 연혁과 운영
2. 조선시대 참성단塹星壇 제사의 변화와 단군전승

Abstract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김성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문학박사, 전 경기도박물관장. 저서: <마니산 제사의 변천과 단군전승-참성초에서 마니산산천제로->(민속원, 2021), <경기, 천년의 문화사>(고려전기/고려후기~조선전기/조선후기~근현대)(공저, 경인문화사, 2018), <조선시대 단군묘 인식>(경인문화사, 2009), <일제강점기 단군릉수축운동>(경인문화사, 2009), <고려시대의 단군전승과 인식>(경인문화사, 2002) 등 다수. 논문: 「<삼국유사> 「고조선」조의 古記論」(<선사와 고대> 69, 2022), 「단군, 신화에서 역사로」(<동북아역사논총> 76, 2022), 「태백산산신 옥도검(玉刀鈐)과 삼척 오금잠제(烏金簪祭)」(<한국전통문화연구> 27, 2021), 「20세기 초 단군영정의 보급과 화본(畫本{) 검토」(<동북아역사논총> 65, 2019) 등 다수.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