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조형의 울림

조형의 울림

홍순모 (지은이)
나남출판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0,000원 -0% 0원
900원
29,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조형의 울림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조형의 울림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디자인/공예 > 디자인이론/비평/역사
· ISBN : 9788930042079
· 쪽수 : 316쪽
· 출판일 : 2025-11-18

책 소개

조각가이자 미대 교수로서 50여 년간 미술 교육과 창작에 헌신해온 홍순모 작가가 조형의 아름다움과 감동의 근원을 탐구한 미학 교양서다. 창작자의 조형론이 드문 오늘날 큰 가치를 지닌 저작이다. 조형예술의 본질부터 창작의 과정, 국내외 주요 작가들의 작품세계, 문화와 삶으로 확장되는 조형예술의 지평까지 폭넓게 다루었다.
조각가 홍순모와 함께 읽는 조형의 아름다움!
조형언어의 탐구를 통해 예술 감상과 창작의 새 지평을 열다

《조형의 울림》은 조각가이자 미대 교수로서 50여 년간 미술 교육과 창작에 헌신해온 홍순모 작가가 조형의 아름다움과 감동의 근원을 탐구한 미학 교양서다. 창작자의 조형론이 드문 오늘날 큰 가치를 지닌 저작이다. 조형예술의 본질부터 창작의 과정, 국내외 주요 작가들의 작품세계, 문화와 삶으로 확장되는 조형예술의 지평까지 폭넓게 다루었다. 특히, 일반 감상자, 작가, 비평가 모두 난해하게 느꼈던 조형언어를 체계적으로 풀어내며, 예술을 감상하고 창작하는 새로운 길을 제시한다. 책은 조형이란 단순한 ‘형태 만들기’가 아니라 감성과 이성이 맞닿아 사유로 거듭나는 창조의 과정임을 밝힌다. 이러한 관점에서 조형언어가 작품 속에서 어떻게 조직되고 구현되는지, 예술가의 직관과 경험, 기법이 어떤 원리로 조합되어 독창성을 획득하는지 다채로운 사례를 통해 설명한다. 나아가 현대미술을 관통하는 우리 전통 미학과 우리 삶과 문화에 흐르는 예술을 깊이 들여다본다. 현학적인 미술 비평과 흥미 위주의 미술 교양서가 난무하는 오늘날, 조형의 본질을 담백하고 명료하게 풀어낸 이 책은 창작의 길을 찾는 예술가뿐만 아니라 예술의 아름다움을 즐기고자 하는 일반 독자들에게 훌륭한 입문서가 될 것이다.

감상과 창작의 열쇠, 조형언어를 탐구하다
이 책의 저자 홍순모는 조형미술이 다른 미술 영역에 비해 이론서가 부족하고 도제식 교육에 의존하는 현실을 안타까워하며 틈틈이 작가노트와 강의노트를 정리해 왔다. 이 노트들을 바탕으로 집필한 이 책은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조형 이론서’를 지향한다.
홍순모 작가가 조형의 창작과 감상의 핵심으로 강조하는 것은 바로 조형언어다. 미지의 나라를 알아 가려면 그 나라 말을 알아야 하듯이, 조형세계에 입문하려면 조형언어를 알아야 한다. 조형언어만 제대로 이해하고 활용한다면 누구나 스스로 작품을 해석하고 창조할 수 있다.
이 책은 조형의 아름다움과 감동을 만들어 내는 조형언어를 실천적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탐색한다. 조형의 재료와 기법, 드로잉부터 관찰, 해석, 표현에 이르기까지 창작의 과정은 물론이고 비례, 비율, 조화, 균형, 리듬, 유기성, 전체성 등 조형의 기본 원리를 쉽고 명료하게 풀어낸다. 또한 예술가의 내재율, 조형심리, 창작의 정체성 등을 통해 조형이 단순한 형태 만들기가 아니라 예술가의 감각과 감성, 사유와 심리를 조율하는 과정임을 보여 준다.

현대미술 거장들의 조형세계를 여행하다
이 책은 또한 현대미술을 대표하는 국내외 작가들의 다채로운 조형세계를 감상할 수 있는 특별한 기회를 선사한다. 박수근의 질박한 형태미는 어떠한 조형 내재율을 통해 만들어졌는지, 김종영의 불각(不刻)의 미학은 비워냄과 절제의 전통을 어떻게 계승했는지, 최종태의 성당조각은 신성(神性)의 조형언어를 어떻게 발전시켰는지 살펴본다, 한편 모딜리아니와 칠리다의 형태 변형이 어떻게 작품의 개성을 만들어 내는지도 고찰한다. 한국 현대미술 정신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김환기의 예술혼, 모방의 한계를 보여 준 이중섭의 위작, 자유와 질서가 교차하는 김광진의 형상도 흥미롭게 설명한다. 또한 오늘의 조형예술 현장을 이끄는 작가들 — 이상국, 신경호, 김순애, 유재호 — 을 통해 동시대 예술이 어떻게 전통과 현대, 지성과 감성을 조화롭게 표현해 내는지 생생하게 보여 준다.
저자는 단순한 작가 소개를 넘어, 작품이 탄생한 문화적 배경과 작가의 미학, 창작 과정, 조형적 특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한다. 각 작가의 작품세계를 관통하는 핵심 개념을 도출해 조형언어로 해석함으로써, 독자는 “작가의 사상은 어떻게 형태가 되는가?”, “조형은 어떻게 감정을 울리는가?”라는 근본적 질문에 자연스럽게 다가설 수 있다.

3세대 조각가의 실천적 미학을 만나다
작가의 정체성은 작품을 통해 드러나므로 그들의 말이나 글은 드물 수밖에 없다. 하지만 작가는 비평가들과 달리 풍부한 경험을 통해 터득한 실천적 미학을 기록하기 때문에 창작과 감상의 핵심적 사유가 더욱 선명하게 드러나곤 한다.
한국 현대미술사를 돌아보면 실천적 미학의 계보는 꾸준히 이어져 왔다. 아름다움의 근원을 깊이 탐구하는 작가들은 자신의 미학을 글로 정리해 남겼고, 이는 예술적 사유를 이해하는 데 귀중한 자산이 되어 왔다. 장욱진의 《강가의 아틀리에》(1975), 최종태의 《예술가와 역사의식》(1986), 김종영의 《초월과 창조를 향하여》(2005)는 각 작가의 미학을 진솔하게 풀어낸 기록으로, 예술 애호가와 연구자들에게 지속적인 관심을 받아왔다. 이 저작들은 개인적 미학이 지닌 진정성, 그리고 그 진정성이 지닌 설득력으로 인해 한국 미술사의 중요한 참고 자료로 자리매김하였다.
《조형의 울림》은 이러한 맥락에서 홍순모 작가의 실천적 미학을 소개하는 드문 기록으로서 의미를 갖는다. 김종영, 최종태의 뒤를 잇는 3세대 현대조각가 홍순모는 지난 50여 년간 조형언어와 창작의 본질을 지속적으로 탐구해온 작가다. 그가 오랜 기간에 걸쳐 축적해온 조형적 사유를 정연한 논리와 명료한 언어로 풀어낸 이 책은 그 폭과 깊이에서 한국 조형예술의 지평을 확장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목차

서문 5

1장 조형예술의 본질
형태는 사상이다 13
예술의 창작과 이해 20
21세기 예술창작론: 변화, 창조, 네트워크 25
21세기 예술의 이미지, 발상, 기법 36
완성의 형상과 미완성의 선형상 42
그림에게 조형을 묻다 47
창작의 조형론: 미술과 수학에 내재된 조합의 단순성 55

2장 조형언어와 창작의문법
조소의 조형언어와 재료, 기법 61
예술 창작의 정답과 해답 66
조형리듬 69
새로운 질서를 찾아서 72
조화의 묘미 74
변화 있는 인체, 변화하는 인간 76
조각의 유기성 79
드로잉의 근원과 탐색 81
토양 84
관찰 87
해석 90
표현 93
예술가의 내재율 95
균형 98
나의 미술사와 세계 미술사 100
무엇을 먼저 말할 것인가,
무엇을 먼저 생각할 것인가 102
전체와 부분의 유기성과 조형 비밀 104
보이는 대로와 느끼는 대로 106
구조의 조형 108
조형심리 110
창작의 조형 본질 112
조형의 아우라 115
단순성의 원리 118
변형 120
창작의 정체성 122
전체성 124
작품의 생명력과 감동 126
조형의 가치와 의미 128
비례와 비율의 의미 132
배열과 조합 134
창작의 상상력과 실천력 136

3장 조형세계로의 초대
박수근의 조형 내재율 141
불각의 김종영 세계 167
최종태, 신성과 조형언어 175
추사 서체, 조형의 집합체 187
모딜리아니의 조형미 190
칠리다의 모색 193
김환기의 예술혼 195
이중섭-위작 시비 198
김광진, 살아 있는 형상 질서 201
이상국, 구축과 해체 207
신경호, 예술의 한과 울림 215
김순애, 공감의 조형언어 222
유재호 예술의 재구성 225

4장 문화와 예술의 만남
한국 미감의 특성 231
발효 문화와 샐러드 문화 233
파괴의 미, 파격의 미 236
〈미륵반가사유상〉과 〈생각하는 사람〉 238
실경산수와 진경산수의 조형 알고리즘 242
‘정확히’와 ‘적당히’ 246
뉴욕의 건축과 환경 248
맨해튼의 비너스 250
뜨거운 미술 253
예술작품의 가치 255
예술작품의 조형 읽기 258
위작의 한계 260
육체의 눈과 마음의 눈 263
조형의 확산 265
자연과의 대화 267

5장 삶과 조형의 울림
무용수의 구조미 273
로댕과 카미유 클로델 276
예술가의 창작생활 279
그림을 위한 분별력 282
조형과 성형 285
미술을 점수로 매기는 고욕苦辱 288
오염되지 않은 순수 292
가르친다는 것과 배운다는 것 294
예술 수업 296
드로잉에 대한 단상 298
어떻게 보는가 301
바둑의 형태미 303
예술가의 광기 305
초심 307

연보 309

저자소개

홍순모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미술대학 조소과 및 대학원을 졸업했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프랑스, 인도, 중국, 러시아 등에서 개인전과 국제전에 참가했다. 목포대 미술학과 교수를 비롯해 국립현대미술관 작품수집위원, 서울시 광화문 한글마루지 조성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계간미술〉, 〈월간미술〉, 〈공간〉 등의 미술전문지에서 미술대학교수, 미술비평가, 작가가 뽑은 한국을 대표하는 작가 중 한 사람으로 여러 번 추천되었다. 중국 정부에서 발행하는 미술전문지 〈조소〉에도 특집으로 작품세계가 실렸다. KBS TV 프로그램 〈스승과 제자〉 스승 최종태 서울대 명예교수와 함께 작품세계가 조명되었다. 개인 화집 《홍순모》(시공사, 1995)를 출간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예술의 감동은 이미지의 감성으로 먼저 마음에 와닿지만, 작품이 깊어지려면 감성의 여운 위에 사유가 더해져야 한다. 좋은 작품은 지적 통찰을 품은 조형언어를 통해 읽혀야 한다. 물론 시각적 매체를 언어로 완전히 해석할 수는 없지만, 감성과 지성이 함께 어우러질 때 작품은 더 깊은 감흥으로 다가온다.(‘서문’)


이 작품의 재료는 해풍이 거센 서해안 해송이 자라는 갯벌의 흙이다. 이 재료는 석고 틀 안에서 성형할 때, 적절한 온도와 습도에 의해 표면장력으로 균열이 발생한다. 그러나 이 균열은 단순한 파열의 흔적이 아니라, 극복의 흔적이다. 그것은 고통의 상흔이자, 동시에 삶의 증거다. (‘형태는 사상이다’)


프랑스의 아비뇽 다리는 중간이 끊어진 다리임에도 아름답고, 한국의 기와인 ‘신라의 미소’는 일부 형태가 떨어져 나갔음에도 가상적인 완전한 형태보다 조형미가 충만하다. 끊어지고 깨어진 것처럼 보여도 아름다운 것은 완벽미보다 완결미가 더 깊은 감동을 주기 때문이다.(‘완성의 형상과 미완성의 선형상’)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