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한국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88930086677
· 쪽수 : 568쪽
· 출판일 : 2013-02-22
책 소개
목차
서장: 한국경제의 새벽
징후―일본 국왕의 항복선언 19
해방직후의 경성풍경 20
해방과 미군정 시대 24
미국의 무상원조 시대 26
잉여농산물 원조와 대충자금 28
물가급등과 피폐한 민생 31
일본 귀속재산의 분배실패 32
1부 경제개발의 성장엔진 EPB의 탄생
1. 정치 혼돈기에 태어난 경제질서 37
난산 끝에 태어난 경제개발계획 37
5ㆍ16군사정변과 EPB의 탄생 45
유엔 ‘개발연대’의 선언 5차례
4
2. 자립경제의 성장엔진 예산과 재정 65
건국 초기 예산과 럭키 스트라이크 담배 65
기획원 시절의 예산국 80
예산을 통한 경제발전 본격시동 95
「국민투자기금법」의 제정 101
긴축재정과 국방예산 개혁 107
원조중단과 재정자립의 시대 113
3. 외자조달과 경제성장의 빛과 그림자 117
서독차관에서 일본 상업차관까지 117
공공차관과 미국 상업차관 135
외자도입 부작용이 나타나다 154
월남파병과 중동건설 157
2부 개성과 재기의 경제 리더십
4. 개발연대를 이끈 경제거인
장기영 부총리 167
프롤로그 167
한국은행 부총재가 된 상고 졸업생―금융계 시절 169
은행원에서 언론인으로 파격 변신―언론계 시절 179
‘컴퓨터 달린 불도저’―경제부총리 시절 185
에필로그―백상, 마침내 역사의 거인이 되다 235
5. ‘에포크’를 만든 경제사의 주역
김학렬 부총리 239
프롤로그 239
기획원 차관, 재무장관 시절 242
청와대 수석시절 258
부총리 시절 266
에필로그―‘역사 속에 에포크를 만든 경제주역’ 320
6. 장기영과 김학렬 부총리를 생각한다 325
기획원의 명물 부총리와 명물 차관 325
정반합(正反合)이 된 장기영-김학렬 리더십 329
3부 초기 금융시장과 자본시장의 형성
7. 금융개혁으로 사채의 악순환을 끊다 337
불모의 금융시장과 자본시장 337
인플레이션과 1, 2차 통화개혁 344
사채시장과 금리현실화 조치 365
부실기업 정리 375
8. 8ㆍ3조치라는 이름의 금융쿠데타 385
심야의 금융쿠데타―8ㆍ3 비상조치 385
기업특혜와「기업공개촉진법」 407
재벌기업들의 공개압박 412
오일쇼크와 외환위기 414
4부 수출과 인력개발에 올인하다
9. 대통령부터 여공까지 수출전사가 되다 429
수출, 시작은 미미하였으나… 429
수출증대에 온몸을 던지다 438
마침내 수출의 거탑(巨塔)을 세우다 446
10.사람은 경제발전의 수단이면서 목적이다 455
맨손으로 맞은 광복 455
기술자ㆍ기능공을 키워라 464
노동시장의 이동성 470
열사(熱砂)의 땅에서 흘린 땀 475
체계적 인력정책으로 485
11.과학한국의 주춧돌을 놓다 497
과학기술 진흥계획, 첫 그림을 그리다 497
제도의 틀을 짜다 512
과학의 집현전, KIST 521
과학기술전담 행정기구의 탄생 539
연구학원도시 건설의 꿈 544
부록
부록 1_경제발전 연표 557
부록 2_주요 거시통계 5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