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장정 5

장정 5

(다시 대륙으로, 한중문화교류의 사자(使者)가 되어)

김준엽 (지은이)
나남출판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장정 5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장정 5 (다시 대륙으로, 한중문화교류의 사자(使者)가 되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한국전쟁 이후~현재
· ISBN : 9788930089319
· 쪽수 : 524쪽
· 출판일 : 2017-08-15

목차

머리말 13

제1장 평교수 시절 27
1. 고려대 사학과 교수 31
2. 외국유학과 객원교수생활 42
3. 저술생활 51
4. 아세아문제연구소의 창설 57
5. 세계여행 69
6. 학회의 조직 75
7.〈사상계〉와 나 87
8. 사회봉사 95
9. 상훈 102

제2장 사회과학원 시절―나의 70대 103
1. 사회과학원의 이사장 104
2. 아주대 재단이사장 110
3. 한ㆍ중 학술교류 117
4. 저술생활 143
5. 관직의 고사 146
6. 상훈 148

제3장 나와 인연이 깊은 독립운동의 지도자와 동지 149
1. 중국 일대에 독립 기반 조성한 신규식 150
2. 광복군 총사령관 지장 지청천 155
3. 임시정부의 살림꾼 민필호 160
4.《석린 민필호전》의 서문 165
5. 해란강가에서 말달리던 선구자, 이범석 180
6. 애국으로 일관한 청빈의 일생 186
7. 우리가 하나 되어 장 선생을 기리는 뜻 191
8. 민영주 동지 194

제4장 속(續) 《역사의 신》(논설집, 한국편) 199
1. 1990년대는 통일의 역사적 호기 199
2. 새해 난세냐… 치세냐… 208
3. 임정 선열 유해 봉환 215
4. 민족정기 정립이 개혁의 시발점 217
5. 서상철 박사와 나 223
6. 어제ㆍ오늘을 보고 내일로 뛰자 230
7. 독립운동 자료발굴 적극 나서야 240
8. “민족정기 세워야 국가도 선다” 246
9. 광복 50년, 역사의 신(神) 251
10.《중한관계사논집》의 서문 270
11. 고려대 사학과와 나 274
12. 국난에 즈음하여 282
13.《나와 중국》의 서문 287
14.《한중문화교류와 남방해로(南方海路)》의 서문 294
15. 제2차 항주대(杭州大) “한국전통문화 국제학술회의” 축사 298
16. 중국의 ‘진정한 벗’으로 뽑힌 김준엽 302
17. 한국의 추억 313
18. 외길: 나의 스승 김준엽 324
19. ‘한국 애서가 클럽’이 뽑은 애서가 332
20. 한국 독립운동사 연구에 대한 나의 관견 334
21. 김준엽 선생님께서 다져놓은 기초 위에 341
22. 김준엽 전 고려대 총장 중국 문화훈장 수상 345

제5장 속(續) 《나와 중국》(논설집, 중국편) 347
1. 문화의 사자(使者), 북경대 김준엽 명예교수 347
2.《중한(中韓)고대관계사론》 서문 350
3. 한국광복군 354
4. 중국의 벗, 김준엽 367
5. 한국 은사와의 해후 369
6. 문화의 유대를 엮은 사람들 372
7. 김준엽 선생께 배운 50년 387
8. 반세기 사제의 정 397
9. 고려대 강의 견문록 403
10. 당대중한관계 406
11. 한국학 연구와 본교 문과대학 발전 436
12. 한국의 “지성”(智星)이 중국과 맺은 인연 440
13. 관직의 길을 사양한 학자 445
14. 나와 한국 임시정부와의 역사적 관계 449
15. 총리직에 흔들리지 않는 학자 453
16. 제3회 한국전통문화 국제학술회의 개막사 457
17. “한국 독립운동 사료집” 총서(總序) 460
18. 김준엽 선생에게 중국교육부가 수여하는 “중국어언문화우의장” 465
19. “중국어언문화우의장” 훈장수여 관련 언론보도 476
20. 내가 보는 절강 482
21. ‘한중문화교류’는 내 평생의 사업 485
22. 교주시한중경제문화교류유지 기념비 낙성식 축사 490
23. 고려상인 유숙지 기념비 세워 492
24.《상해한인사회사》 추천사 495
25. 참고: 중한관계 중문논저 목록(증정본) 499

제6장 《장정》(전5권)의 요약 501
1. 내 딴에는 애국하느라고 살았다 503
2. 훌륭한 학자가 되려고 노력 506
3. 교육자 생활의 고수 508
4. 경영자로서의 생활 509
5. 언론활동 510
6. 관직의 고사 511
7. 훌륭한 친구와 제자를 많이 두었다 513
8. 명예 514

김준엽 연보 516

저자소개

김준엽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사회에서 드물게 존경할 만한 원로인 김준엽은 일제 강점기인 1920년 평안북도 강계에서 태어났다. 일본 게이오대학 재학 중 학도병으로 징집되어 중국 전선으로 투입되었다가 탈출, 중국유격대에 가담하고 중경임시정부와 한국광복군에 참가하면서 항일 민족해방투쟁의 한가운데서 청년시절을 보내게 된다. 해방 직후 광복군 국내정진군의 일원이기도 했던 그는 독립운동가들을 따라 귀국하지 않고 중국에 남아 학자의 길을 걷게 된다. 1949년 귀국하여 고려대 사학과 조교수를 시작으로 36년간 고려대에 몸담으면서 아세아문제연구소장과 총장을 지냈다. 아세아문제연구소에서 연구하며 펴낸 《한국공산주의운동사》(김창순과 공저)는 그의 필생의 노작이자 우리시대 명저 중 하나로 꼽힌다. 퇴임 이후에는 사회과학원을 설립하고 한중 학술문화 교류에 힘썼으며, 파란만장한 한국 현대사에 대한 직접적인 경험을 녹여낸 회고록 집필에 정진하여 광복군 시절부터 시작되는 《장정(長征)》시리즈 5권을 펴냈다. 2011년 6월 7일 향년 92세로 별세하여 국립대전현충원 애국지사 제4묘역에 안장되었으며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추서받았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