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언어학
· ISBN : 9788930315296
· 쪽수 : 504쪽
· 출판일 : 2022-02-20
책 소개
목차
제2판 머리에
머리말 (초판)
일러두기
제1장 들어가기
1.1. 텍스트, 텍스트 과학, 텍스트 언어학
1.2. 텍스트 과학과 그 기초 학문 및 이웃 학문과의 관계
1.2.1. 기초 학문-기호학과 언어학
1.2.2. 이웃 학문
1.3. 텍스트 과학 연구의 어제와 오늘
∙내용 보충
∙연습 및 토론 과제
∙연구 과제
제2장 텍스트 과학의 기호학적 근거
2.1. 문제의 제기
2.2. 기호학의 흐름과 움직임
2.3. 텍스트 과학과 기호학
2.4. 주시경의 기호학과 텍스트 과학-“언어문학” 분야의 창출을 위하여
2.5. 간추림
∙내용 보충
∙연구 과제
제3장 텍스트 기호론과 통합적 언어문학론의 전개
3.1. 문제의 제기
3.2. 어학과 문학, 그 만남의 발자취
3.3. 일상 언어 기호론과 문학 언어 기호론의 만남
3.4. 통합적 언어문학론의 세움
3.5. 간추림-통합적 언어문학론으로 가는 길
∙내용 보충
∙연습 및 토론 과제
∙연구 과제
제4장 텍스트 형성에 있어서 응결성과 응집성의 문제
4.1. 문제의 제기
4.2. 응결성과 텍스트다움
4.2.1. 응결성 장치 (1)
4.2.2. 응결성 장치 (2)
4.3. 응집성과 텍스트다움
4.4. 응결성과 응집성의 상관관계
4.5. 간추림-박목월의 「나그네」의 응집성과 응결성
∙내용 보충
∙연습 및 토론 과제
∙연구 과제
제5장 텍스트의 생성과 구조의 분석
5.1. 문제의 제기
5.2. 텍스트의 생성 문제
5.3. 텍스트의 경계 긋기
5.4. 텍스트 응결성의 주제적 문제
5.4.1. 프라그 학파의 주제부-설명부 개념
5.4.2. 반 데이크의 거시 구조, 서사 구조, 논증 구조의 개념
5.4.3. 텍스트 주제와 주제 전개
5.5. 주제 전개의 기본 모형
5.5.1. 기술형 주제 전개 모형
5.5.2. 설명형 주제 전개 모형
5.5.3. 논증형 주제 전개 모형
∙내용 보충
∙연습 및 토론 과제
∙연구 과제
제6장 텍스트의 기능과 텍스트 유형
6.1. 문제의 제기
6.2. 화행 이론과 텍스트의 기본 기능
6.3. 텍스트의 유형화 문제
6.4. 동양과 우리나라의 텍스트 유형화 문제
6.4.1. 중국의 텍스트 유형화 문제
6.4.2. 우리의 옛 한문 문장과 이두, 이문의 유형화 문제
6.4.3. 전통 시대의 한글 텍스트의 유형화 문제
6.4.4. 개화기의 한글 텍스트의 유형화 문제
6.4.5. 일제 강점기의 한글 텍스트의 유형화 문제
6.4.6. 해방 후의 한글 텍스트의 산생 (産生)과 유형화 문제
6.5. 간추림
∙내용 보충
∙연습 및 토론 과제
∙연구 과제
제7장 우리 민족 텍스트의 분석 실례
7.1. 문제의 제기
7.2. 현대의 작품 텍스트와 문서 텍스트
7.2.1. 시의 텍스트 분석-한용운의 「님의 침묵」
7.2.2. 소설의 텍스트 분석-최명희의 『혼불』
7.2.3. 수필의 텍스트 분석-이양하의 「나무」
7.2.4. 대중 매체의 텍스트 분석-신문
7.2.5. 광고의 텍스트 분석
7.3. 고전 텍스트
7.3.1. 악장의 텍스트 분석-『용비어천가』와 『월인천강지곡』
7.3.2. 시조의 텍스트 분석
7.3.3. 언해의 텍스트 분석
7.3.4. 번안의 텍스트 분석
∙내용 보충
∙연습 및 토론 과제
∙연구 과제
제8장 텍스트의 생산과 수용
8.1. 문제의 제기
8.2. 실용문의 생산과 수용
8.3. 논설문의 생산과 수용
8.4. 논문의 생산과 수용
8.5. 문학 작품의 생산과 수용
8.6. 광고의 생산과 수용
∙내용 보충
∙연습 및 토론 과제
∙연구 과제
제9장 마무리
9.1. 간추림
9.2. 응용 분야
9.3. 내다보기
∙내용 보충
민족어 요지
Zusammenfassung(독문 요지)
Abstract(영문 요지)
참고 문헌
용어 풀이(glossary)
찾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