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우리말 문법, 그 총체적 모습

우리말 문법, 그 총체적 모습

고영근 (지은이)
집문당
7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70,000원 -0% 0원
2,100원
67,9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우리말 문법, 그 총체적 모습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우리말 문법, 그 총체적 모습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문법론/통사론
· ISBN : 9788930317900
· 쪽수 : 950쪽
· 출판일 : 2018-06-30

책 소개

서울 중심의 현대 표준 공통어의 문법 현상을 주축으로 하되 문헌어 및 방언의 문법 현상과 통합하는 총체 서술의 방법을 취하였다. 이 과정에서 공통 구어는 물론, 평양 중심의 북한의 문화어와 재외 교민의 우리말의 문법 현상도 통합하는 태도를 취하였다.

목차

책 머리에 부쳐
감사의 말씀
일러두기

Ⅰ. 총론
1.1. 문법 연구의 목표
1.2. 기존 모형에 대한 검토와 그 문제점
1.3. 서술 방법론의 모색

Ⅱ. 우리말 문법의 단위
2.1. 들어가기
2.2. 명사 어미 구조체와 동사 어미 구조체
2.3. 단어와 어절
2.4. 형태소
2.4.1. 단어 구성소와 단어 형성소
2.4.2. 문장 구성소와 문장 형성소
2.4.3. 구성소와 형성소, 그리고 형태소
2.5. 문장과 텍스트
2.6. 간추림

Ⅲ. 음성부와 자소부
3.1. 들어가기
3.2. 구어와 문어, 구어체와 문어체
3.3. 음성부
3.4. 자소부
3.5. 음운부와 자소부의 유형론

Ⅳ. 품사부
4.1. 들어가기
4.2. 단어와 구의 범주화
4.3. 품사부의 자리 매김
4.4. 어류 유형론

Ⅴ. 문법 서술에 필요한 몇 가지 기초 개념
5.1. 핵
5.2. 논항 구조
5.3. 결합가
5.4. 대용

Ⅵ. 형태부
6.1. 들어가기
6.2. 동사 형태부 <형태부 1>
6.2.1. 의존 동사
6.2.1.1. 공통어
6.2.1.2. 중세 및 고대어
6.2.1.3. 방언
6.2.1.4. 의존 동사의 유형론
6.2.2. 자립 동사
6.2.2.1. 유정 동사와 무정 동사
6.2.2.2. 불완전 동사
A. 공통어
B. 중세어
C. 유형론
6.2.3. 동사 어간 구조체와 동사 어미 구조체의 변이
6.2.3.1. 어간 구조체
A. 음성적 교체
B. 어휘적 교체
6.2.3.2. 동사 어미 구조체의 변이
A. 음성적 교체
B. 어휘적 교체
6.2.4. 동사 활용 체계 - 활용론
6.2.4.1. 공통어의 동사 활용 체계
A. 정동사
B. 부동사
C. 동명사형 어미
6.2.4.2. 중세어의 동사 활용 체계
A. 정동사
B. 부동사
C. 동명사
6.2.4.3. 고대어의 동사 활용 체계
A. 정동사
B. 부동사
C. 동명사
6.2.4.4. 방언의 동사 활용 체계
A. 정동사
B. 부동사
C. 동명사
6.2.5. 선행 어미의 구조적 특징과 역사적·지역적 변종
6.2.6. 동사 형태부의 유형론
6.3. 명사 형태부 - 명사 곡용론 <형태부 2>
6.3.1. 의존 명사
6.3.1.1. 형식성 의존 명사
A. 공통어
B. 중세어, 고대어 및 근대어
C. 방언
D. 유형론
6.3.1.2. 단위성 의존 명사
A. 특수성
B. 유형론
6.3.2. 자립 명사
6.3.2.1. 명사의 분류
6.3.2.2. 불완전 명사
6.3.2.3. 대명사와 수사
A. 대명사
B. 수사
C. 명사구와 통범주에서 실현되는 복수 범주
6.3.3. 명사 어간 구조체와 명사 어미 구조체의 변이
6.3.3.1. 어간 구조체
A. 음성적 교체
B. 어휘적 교체
6.3.3.2. 어미 구조체
A. 공통어
B. 중세어
C. 고대어
D. 방언
6.3.4. 명사 어미 구조체의 곡용 체계
6.3.5. 명사 형태부의 유형론
6.4. 관형사와 부사 <형태부 3>
6.4.1. 관형사
6.4.1.1. 관형사의 확립 기준
6.4.1.2. 관형사의 종류
6.4.1.3. 관형사의 배열
6.4.1.4. 중세어의 관형사
6.4.1.5. 관형사의 유형론
6.4.2. 부사
6.4.2.1. 부사의 확립 기준
6.4.2.2. 부사의 종류
6.4.2.3. 중세어 및 고대어
6.4.2.4. 부사의 유형론
6.5. 형식사 <형태부 4>
6.5.1. 계사
6.5.2. 후치사
6.5.3. 첨사
6.5.3.1. 공통어의 첨사
6.5.3.2. 중세어, 고대어, 방언의 첨사
6.5.3.3. 방언
6.5.4. 격 어미와 첨사와의 상호 통합
6.5.4.1. 공통어
6.5.4.2. 중세어
6.5.5. 형식사의 유형론
6.5.5.1. 계사
6.5.5.2. 첨사와 후치사
6.6. 바깥 범주 <형태부 5>
6.6.1. 접속사
6.6.1.1. 접속사의 확립 기준
6.6.1.2. 접속사의 종류
6.6.1.3. 중세어의 접속사
6.6.1.4. 접속사의 변화
6.6.1.5. 접속사의 유형론
6.6.2. 간투사
6.6.2.1. 간투사의 확립 기준
6.6.2.2. 간투사의 종류
6.6.2.3. 중세·고대어·방언의 간투사
6.6.2.4. 간투사의 유형론
6.7. 단어 형성부 <형태부 6>
6.7.1. 들어가기
6.7.2. 단어 형성 체계
6.7.3. 어근과 접사
6.7.3.1. 문제의 제기
6.7.3.2. 어근의 규칙성과 불규칙성
6.7.3.3. 접사 체계
6.7.3.4. 접사의 규칙성과 불규칙성
A. 접사의 통합 방법
B. 어근과 어간, 접사와 어미
6.7.4. 파생법
6.7.4.1. 어근 구조체와 접사 구조체의 형태음운론
6.7.4.2. 접두 파생법
6.7.4.3. 접미 파생법
A. 명사 파생법
B. 동작 동사 파생법
C. 상태 동사 파생법
D. 부사 파생법
E. 관형사와 간투사 파생법
F. 제1차적 파생법과 제2차적 파생법
6.7.5. 합성법
6.7.5.1. 통사적 합성법과 비통사적 합성법
6.7.5.2. 어근 구조체 사이에 나타나는 형태음운론
6.7.5.3. 합성법의 갈래
A. 명사 합성법
B. 동작 동사 합성법
C. 상태 동사 합성법
D. 관형사, 부사 합성법
E. 반복 합성법
6.7.6. 파생 합성법
6.7.7. 한자어 형성법
6.7.7.1. 한자어 형성에 있어서의 구성소와 형성소
6.7.7.2. 한자음의 음운 체계와 형태·음운론
6.7.7.3. 한자어의 구성 방식과 운용
6.7.7.4. 한자어 단어 형성법
A. 파생법
B. 합성법
C. 한자 혼종어
6.7.8. 중세어 및 고대어의 단어 형성법과 그 변화
6.7.8.1. 형태음운론
6.7.8.2. 파생법
A. 접두 파생법
B. 접미 파생법
6.7.8.3. 합성법
A. 명사 합성법
B. 동사 합성법
6.7.8.4. 파생 합성법
6.7.8.5. 한자어 형성법
A. 중세어 한자어의 구조
B. 중세어의 혼종어
6.7.8.6. 단어 형성법의 변화
6.7.8.7. 방언과 전문어의 단어 형성법
6.7.9. 단어 형성법의 유형론

Ⅶ. 형태통사부
7.1. 들어가기
7.2. 결어법 <형태통사부 1>
7.2.1. 문체법과 존비법
7.2.2. 문체법
7.2.2.1. 공통어
A. 문체법 (1)
B. 문체법 (2)
7.2.2.2. 중세어
A. 문체법 (1)
B. 문체법 (2)
7.2.3. 존비법
7.2.3.1. 공통어
A. 4원적 체계
B. 2원적 체계
7.2.3.2. 중세어
A. 3원적 체계
B. 반말
7.2.4. 고대어의 문체법과 존비법
7.2.4.1. 문체법
7.2.4.2. 존비법
7.2.5. 결어법의 변화
7.2.5.1. 문체법의 변화
7.2.5.2. 존비법의 변화
7.2.6. 방언의 결어법 변이
7.2.6.1. 문체법의 변이
7.2.6.2. 존비법의 변이
A. 경주 지역어의 존비법의 실상
B. 고흥 지역어의 존비법의 실상
C. 제주어의 존비법의 실상
7.2.7. 문체법과 존비법 유형론
7.2.7.1. 문체법의 유형론
7.2.7.2. 존비법의 유형론
7.3. 화자 표시법과 대상 표시법 <형태통사부 2>
7.3.1. 들어가기
7.3.2. 화자 표시법
7.3.3. 대상 표시법
7.3.4. 고대어의 화자 표시법과 대상 표시법, 그리고 그 변화
7.3.5. 화자 표시법과 대상 표시법의 유형론
7.3.5.1. 화자 표시법
7.3.5.2. 대상 표시법
7.4. 시상법 <형태통사부 3>
7.4.1. 들어가기
7.4.2. 공통어의 시상법
7.4.2.1. 서법
A. 기본 서법
B. 부차 서법
7.4.2.2. 시제
A. 현재 시제
B. 과거 시제
C. 미래 시제
7.4.2.3. 동작상
A. 완료상
B. 진행상
7.4.3. 중세어의 서법과 동작상
7.4.3.1. 서법
A. 기본 서법
B. 부차 서법
7.4.3.2. 동작상
A. 완료상
B. 진행상
7.4.4. 고대어의 시상법과 그 변화
7.4.4.1. 고대어의 시상법
7.4.4.2. 시상법의 변화
A. 기본 서법의 변화와 현재 시제형의 형성
B. 부차 서법의 변화
C. 동작상의 기능 변화
7.4.5. 방언의 시상법과 그 변이
7.4.5.1. 육지어의 시상법
7.4.5.2. 제주어의 시상법
7.4.6. 시상법의 유형론
7.5. 공대법 <형태통사부 4>
7.5.1. 존경법
7.5.1.1. 공통어
7.5.1.2. 중세어
7.5.1.3. 고대어의 존경법과 그 변화
7.5.1.4. 방언
7.5.2. 겸손법
7.5.2.1. 공통어
7.5.2.2. 중세어
7.5.2.3. 고대어의 겸손법과 그 변화
7.5.2.4. 방언
7.5.3. 공대법의 유형론
7.6. 격 표지와 후치사류의 격 기능 <형태통사부 5>
7.6.1. 들어가기
7.6.2. 구조격
7.6.2.1. 주격
A. 단일형
B. 중출형
7.6.2.2. 대격
A. 단일형
B. 중출형
7.6.2.3. 속격
A. 단일형
B. 중출형
7.6.2.4. 접속격
7.6.2.5. 부정격
7.6.3. 의미격
7.6.3.1. 처격
7.6.3.2. 조격
7.6.3.3. 공격
7.6.4. 특수격과 독립격
7.6.4.1. 주제격
7.6.4.2. 호격
7.6.5. 후치사류의 격 기능과 격 교체 및 격 중첩 현상
7.6.5.1. 후치사류의 격 기능
7.6.5.2. 격 어미의 교체
7.6.5.3. 이중 곡용
7.6.6. 중세어 및 고대어, 방언에 나타나는 격의 기능적 특수성과 그 변화
7.6.6.1. 중세어의 격 어미와 후치사류의 기능적 특수성
A. 구조격
B. 부정격
C. 의미격
D. 특수격과 독립격
E. 후치사류의 격 기능과 격 어미 교체
F. 이중 곡용
7.6.6.2. 고대어와 방언에 나타나는 격 표지의 특징과 변화
7.6.6.3. 격 어미류와 후치사의 유형론

Ⅷ. 통사부
8.1. 통사부와 통사 단위
8.2. 기본 문형
8.2.1. 기본 문형의 책정과 그 운용
8.2.2. 중세 및 고대어의 기본 문형의 특수성
8.2.3. 통사 구조와 운율 구조의 상관성
8.3. 문장 성분론
8.3.1. 성분 체계
8.3.2. 성분 각론
8.3.2.1. 필수 성분 (첫째 묶음)
8.3.2.2. 필수 성분 (둘째 묶음)
8.3.2.3. 수의 성분 (부가어)
8.3.2.4. 독립 성분
8.4. 중세 및 고대어의 성분 체계와 그 변화
8.4.1. 중세어의 성분 체계
8.4.1.1. 필수 성분 (첫째 묶음)
8.4.1.2. 필수 성분 (둘째 묶음)
8.4.1.3. 수의 성분
8.4.1.4. 독립 성분
8.4.2. 고대어 및 방언의 성분 체계
8.4.2.1. 고대어의 성분 체계
8.4.2.2. 방언의 성분 체계
8.5. 어순
8.5.1. 자유 어순과 그 한계
8.5.2. 바른 어순
8.5.3. 바뀐 어순
8.5.4. 중세 및 고대어의 어순과 그 변화
8.5.5. 어순 유형론
8.6. 기본 문형의 운용에 따르는 각종 구문
8.6.1. 태
8.6.1.1. 사동문
8.6.1.2. 피동문
8.6.1.3. 능격문
8.6.1.4. 피동법의 변화와 방언의 변이 양상
8.6.1.5. 사동문, 피동문, 능격문의 유형론
8.6.2. 부정문
8.6.2.1. 부정의 정의
8.6.2.2. 부정문의 갈래
8.6.2.3. 부정의 범위와 중의성
8.6.2.4. 부정법의 통시태와 방언의 부정법의 실현 양상
8.6.2.5. 부정문의 유형론
8.6.3. 형식사 구문
8.6.3.1. 계사문과 명사문
8.6.3.2. 후치사 구문
8.6.3.3. 중세어의 형식사 구문과 그 변화
8.6.3.4. 방언의 형식사 구문
8.6.3.5. 형식사 구문의 유형론
8.6.4. 심리 동사 구문
8.6.4.1. 심리 동사 구문과 회상법
8.6.4.2. 심리 동사의 동작류
8.6.4.3. 중세어의 심리 동사와 그 변화, 그리고 방언의 심리 동사
8.6.4.4. 방언의 심리 동사 구문
8.6.4.5. 심리 동사 구문의 유형론
8.6.5. 수량어 구문
8.6.5.1. 수량어 구문의 갈래
8.6.5.2. 복수 구문
8.6.5.3. 격 어미와 수량어
8.6.5.4. 수량어 구문의 유형론
8.6.6. 미정어 구문
8.6.6.1. 미지 미정어 구문
8.6.6.2. 부정 미정어 구문
8.6.6.3. 미지·부정어 공용 구문
8.6.6.4. 중세 및 방언의 미지어 구문
8.6.6.5. 미정어 구문 유형론
8.6.7. 분열 구문
8.6.7.1. 분열 구문의 성립
8.6.7.2. 분열문의 갈래와 실현 양상
8.6.7.3. 중세어의 분열문
8.6.7.4. 분열 구문의 유형론
8.6.8. 비교 구문
8.6.8.1. 비교 구문의 성립
8.6.8.2. 중세어의 비교 구문
8.6.8.3. 비교 구문의 역사적 변화와 지역적 변이
8.6.8.4. 비교 구문의 유형론
8.6.9. 공격 구문
8.6.9.1. 동류 구문
8.6.9.2. 동반 구문과 대칭 구문
8.6.9.3. 상호 구문과 대칭 구문
8.6.9.4. 경쟁 구문과 대칭 구문
8.6.10. 의존 구문, 연속 동사 구문, 경동사 구문
8.6.10.1. 의존 구문
A. 의존 명사 구문
B. 의존 동사 구문
8.6.10.2. 연속 동사 구문
A. 연속 동사 구문의 성립
B. 연속 동사 구문의 유형
C. 중세어의 연속 동사 구문
D. 연속 동사 구문의 유형론
8.6.10.3. 경동사 구문
A. 경동사 구문의 성립
B. 경동사 구문의 유형
C. 중세 및 고대어의 경동사 구문
D. 경동사 구문의 유형론
8.6.11. 소절
8.6.11.1. 소절의 성립
8.6.11.2. 중세어의 소절
8.6.11.3. 소절 유형론
8.6.12. 동격 구문
8.6.12.1. 동격 구문의 성립
8.6.12.2. 중세어의 동격 구문
8.6.12.3. 동격 구문의 유형론
8.7. 문장의 배합
8.7.1. 내포소에 의한 문장의 배합
8.7.1.1. 명사절 내포에 의한 문장의 형성
8.7.1.2. 수식절 내포에 의한 문장의 형성
8.7.1.3. 동사절 내포에 의한 문장의 형성
8.7.1.4. 한정절 내포에 의한 문장의 형성
8.7.2. 접속에 의한 문장의 배합
8.7.2.1. 대등 접속소
A. 문장 접속소
B. 단어 접속소
8.7.2.2. 종속 접속소
A. 접속 부동사 어미
B. 의존 명사 및 기능 명사에 의한 통합체
C. 명사적 동명사 어미와 격 어미에 의한 통합체
D. 종결 첨사
8.7.2.3. 명사구와 동사구 접속
8.7.2.4. 문장의 배합에 따르는 통사 기제
8.7.3. 중세어와 고대어의 문장 배합과 그 변화
8.7.3.1. 중세어의 문장 배합
8.7.3.2. 고대어의 문장 배합
8.7.3.3. 문장 배합과 명사구 접속의 질서 변화
A. 문장 배합의 질서 변화
B. 명사구 접속의 질서 변화
8.7.4. 방언의 문장 배합
8.7.5. 문장 배합의 유형론

Ⅸ. 통보화용부와 텍스트 형성부
9.1. 사태, 화자 및 화자의 태도
9.1.1. 말, 일, 마음
9.1.2. 문장, 텍스트, 담화
9.2. 텍스트의 형성 기제
9.2.1. 공통어
9.2.2. 중세어 및 고대어, 방언
9.2.3. 텍스트 형성의 유형론
9.3. 대화의 형성 기제
9.3.1. 대화의 구조
9.3.2. 중세어와 고대어의 대화
9.3.3. 방언의 대화
9.3.4. 대화 유형론
9.4. 주제와 초점
9.4.1. 주제어와 대제어
9.4.2. 첨사와 초점
9.4.2.1. 첨사와 자매 항목
9.4.2.2. 문장 가운데의 첨사와 담화 표지
9.4.2.3. 문장 끝 첨사와 정감성
9.4.3. 격 어미, 첨사와 의존 동사의 초점
9.4.3.1. 격 어미와 초점
9.4.3.2. 첨사의 초점
9.4.3.3. 의존 동사의 초점
9.4.3.4. 주제와 첨사의 유형론
9.4.4. 격 어미·첨사 통합형과 첨사 통합형의 의미론
9.4.4.1. 격 어미와 첨사의 통합
9.4.4.2. 첨사끼리의 통합
9.4.4.3. 중세 및 고대어와 방언의 첨사 통합형의 의미론
9.5. 서사 시상법의 공시태와 통시태
9.5.1. 서사 시상법의 공시태
9.5.2. 중세어의 서사 시상법과 그 변화
9.5.3. 고대 및 민담의 서사 시상법
9.6. 한국시의 문법과 어순의 특이성
9.6.1. 고려 가요의 문법
9.6.2. 고시조의 문법
9.6.3. 당대시의 문법

Synopsis: 우리말 (Korean), 독일어 (German), 영어 (English)
참고 논저
찾아보기

저자소개

고영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6년 경남 진양군 (현재 진주시)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국어국문학과와 대학원을 거쳐 같은 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를 역임하였다. (문학박사). 훔볼트 초빙교수로 독일 라이프치히 소재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연구소, 만하임 소재 독일어 연구원, 보훔, 콘스탄츠, 함부르크, 뷔르츠부르크 대학에서 이 론문법과 텍스트과학을 연구하였다.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로 있으며 어학전문 국제학술지 『형태론』의 편집고문과 <이극로박사 기념사업회> 회장을 맡고 있다. 짖고 엮은 책 우리말 문법, 그 총체적 모습(2018), 한국어와 언어 유형론(2018), 한국어의 시제 서법 동작상(2004/2007 보정판), 중세국어의 시상과 서법(1981/1986 재판/1998 보정판/2011 제4판), 우리말의 총체서술과 문법체계(1993), 국어형태론연구(1989/1999 증보판), 텍스트이론(1999), 텍스트과학(2011), 단어·문장·텍스트(1995/2004 보정판), 표준 중세 국어 문법론(1997/2009 개정판/2010 제3판/2020 제4판), 역대한국문법의 통합적 연구(2001), 한국의 언어연구(2001), 국어문법의 연구(1983), 민족어의 수호와 발전(2008), 민족어학의 건설과 발전(2011), 한국어문 운동과 근대화(1998), 북한의 언어문화(1999), 북한의 문법연구와 문법지식의 응용화(2008), 최현배의 학문과 사상(1995), 통일시대의 語文問題(1994), 표준국어문법론(공저 1985/1993 개정판/2011 제3판/2014 제4판), 새로 쓴 표준 국어문법론(2019 전면개정판), 북한의 문법연구와 문법교육(공저 2004), 한국텍스트과학의 제과제(공저 2001), 문법과 텍스트(공저 2002), 월인천강지곡의 텍스트분석(공저 2003), 우리말 문법론(공저 2008/2018 개정판), 중세어자료강해(공편 1997), 문법(국정단일통일 고등학교 1985, 1992), 주시경의 『국어문법』(공동교감 1986), 역대한국문법대계 153책(공편 1977~2015), 우리 언어 문화의 뿌리를 찾아(어문수상집 1996), 우리 언어 문화의 바른 길을 찾아서(어문수상집 2020) 등 50여 종 수상 세종문화상(1996), 일석국어학상(2004), 삼일문화상(2008), 외솔문화상(2020)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