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심리학
· ISBN : 9788930316507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14-11-1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바이오 휴머니티의 이론적 배경
마음과 몸의 경계를 넘어
-프로이트 비판 논쟁과 기억의 물질성
1. 정치적 패러다임으로서 비판
2. 임상과학으로서 비판
3. 인문학과 자연과학의 만남
4. 심리학의 부활
-윌리엄 제임스와 의식의 물질성
1. 다윈의 자연선택
2. 제임스의 심리학
-인문학적 뇌: 기억과 인지에 관한 최근 담론들
1. 기억하고 학습하는 뇌: Eric R. Kandel
2. 인문학적인 뇌
3. 인문학적 뇌는 좌우 뇌의 조화이다
인간과 “인간 아닌 것”의 경계를 넘어
-하이데거의 손
1. 하이데거의 손
2. 존재의 집: 언어와 사유
3. 흙으로 빚어진 항아리
-메를로퐁티의 상호 엮임
l. 몸과 의식의 상호 관련성
2. 사회적 소통의 매개체로서 몸
3. 환경과 인간의 소통
4. 공헌과 한계
-라캉의 동물 담론
1. 라캉의 동물론에 대한 비판
2. 거울단계
3. 위스겔의 환경론
4. 라캉의 실재계
바이오 휴머니티 미학
-몸은 정치적이고 역사적이다: 포스트모던 몸 담론
1. 의지(will)로서의 몸: 니체의『비극의 탄생』
2. 정치적인 몸: 푸코와 성 담론의 역사
3. 즐거운 유희로서의 몸: 버틀러의 ‘퀴어’
-이제 몸은 생물학적이다: 김동리의 바이오 휴머니즘
1. 비극적 결말의 몇 가지 양상
2. 진화의 모순
3. 원시적 에로티즘과 상징계의 균형
-현상학적 몸: 김춘수의 꽃과 이청준의 새
1. 김춘수의「꽃」
2. 현상학적 몸
3. 몸은 방향을 바꾸는 동인이다: 이청준의 귀향
맺음: 바이오 휴머니티의 윤리
1. 문화적 인간에서 생물학적 인간으로
2. “알면서 하지 않는” 거짓된 지혜: 경험주의(Empiricism)의 부상
3. 미래를 향한 기대: 절제와 균형의 중요성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