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30318006
· 쪽수 : 292쪽
· 출판일 : 2018-12-2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좋은 사회를 향한 사회학자의 꿈
제1부 좋은 사회의 구현과 종교의 공적 역할
제1장 좋은 사회를 위한 종교의 역할: 로버트 벨라의 재성찰
Ⅰ. 문제제기
Ⅱ. 좋은 사회란 무엇인가?
Ⅲ. 좋은 사회를 위한 종교의 역할: 로버트 벨라의 관점
Ⅳ. 한국 종교시민단체의 존재양상을 통해 본 벨라 논의의 의의: 벨라를 넘어서
Ⅴ. 결론
제2장 좋은 사회와 정의 이념의 종교적 기반: 민주화운동부터 시민사회운동까지
Ⅰ. 문제제기
Ⅱ. 민주화운동 시 정의 이념에 대한 종교적 접근
Ⅲ. 민주화 이후 정의 이념의 전개
Ⅳ. 로버트 벨라의 ‘좋은 사회’에 비추어 본 종교기반 정의시민단체의 활동과 과제
Ⅴ. 결론: 종교이념으로서의 정의와 일반 사회정의의 차이
제2부 종교기반 시민사회단체의 활동
제3장 종교기반 시민사회단체의 복지활동과 시민사회의 발전: 종교 사회적 자본을 중심으로
Ⅰ. 문제제기
Ⅱ. 종교사회복지와 시민사회의 연계: 연구사적 검토
Ⅲ. 종교기반 복지시민단체의 특성과 종교 사회적 자본의 역할
Ⅳ. 종교기반 복지시민단체의 사회적 자본을 통해 본 ‘종교사회복지’의 의미와 시민사회의 발전
Ⅴ. 결론
제4장 종교자원봉사의 특성과 시민사회에서의 의의: 종교기반 시민사회단체의 활동을 중심으로
Ⅰ. 문제제기
Ⅱ. 자원봉사의 이론적 검토
Ⅲ. ‘종교’자원봉사의 특성과 시민사회와의 관계
Ⅳ. 종교기반 시민사회단체의 자원봉사활동, 특성과 과제
Ⅴ. 결론
제5장 종교기반 시민사회단체의 사회적기업, 그 특성과 과제: YMCA와 YWCA를 중심으로
Ⅰ. 문제제기
Ⅱ. 종교와 시민사회의 관계
Ⅲ. YMCA · YWCA 운영 사회적기업의 배경과 시민사회운동과의 관계
Ⅳ. 종교기반 시민단체가 운영하는 사회적기업의 기여와 과제
Ⅴ. 결론
제3부 종교와 공공사회학차례
제6장 공공성의 재검토와 종교의 역할: 종교공공사회학의 구현
Ⅰ. 문제제기
Ⅱ. 공공성 개념의 연구사적 검토
Ⅲ. 공공사회학의 이론: 공공의 개념과 그 전개
Ⅳ. 공공사회학에 대한 비판과 종교의 역할: 종교공공사회학의 구현
Ⅴ. 시민사회의 공공성과 종교의 사회적 역할: 종교기반 시민단체의 기여
Ⅵ. 결론
제7장 좋은 사회를 위한 사회통합의 실천과 종교공공사회학의 기여
Ⅰ. 문제제기
Ⅱ. 사회통합과 종교의 역할: 이론적 고찰
Ⅲ. 한국 사회갈등의 종교적 배경과 전개: 민주화 운동기와 그 후
Ⅳ. 좋은 사회를 위한 사회통합의 실천과 의의: 종교공공사회학의 역할과 기여
Ⅴ. 결론
제4부 종교·복지·문화의 공공성과 상호관계
제8장 문화 · 복지 · 종교의 상호관계와 특성: 사회적기업의 문화 · 예술 · 관광 · 운동 서비스를 중심으로
Ⅰ. 문제제기
Ⅱ. 문화예술서비스의 복지적 특성
Ⅲ. 문화예술서비스 사업과 종교의 자리
Ⅳ. 종교문화자원의 활용과 과제
Ⅴ. 결론
제9장 문화와 공공성의 확장: 복지 · 종교의 문화적 전환과 공공성의 실천적 과제
Ⅰ. 문제제기
Ⅱ. 공공성의 논의와 문화적 전환
Ⅲ. 공공성 이론에 기반을 둔 복지 · 종교문화의 특성과 기여
Ⅳ. 문화복지사회의 구현과 공공성의 실천적 과제: 복지 · 종교 시민단체의 역할과 과제
Ⅴ.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