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왜 내 고추는 친구 고추보다 작을까?

왜 내 고추는 친구 고추보다 작을까?

(인터넷에 물어봐)

박찬숙 (지은이), 여에스더 (감수)
영진.com(영진닷컴)
8,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9개 9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왜 내 고추는 친구 고추보다 작을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왜 내 고추는 친구 고추보다 작을까? (인터넷에 물어봐)
· 분류 : 국내도서 > 어린이 > 과학/수학/컴퓨터 > 생물과 생명
· ISBN : 9788931444599
· 쪽수 : 200쪽
· 출판일 : 2003-03-15

책 소개

초등학교 어린이들이 인체에 대해 궁금해하는 사항들을 대화형식의 글과 선명한 일러스트로 재밌게 풀어준다. 궁금이와 다알아 박사와의 대화와 간단한 설명을 통해 각 주제의 기본지식을 쌓은 후, 좀더 자세하게 알아볼 수 있는 사이트를 함께 수록해 더 궁금한 내용은 스스로 찾아 공부할 수 있다.

목차

1 탯줄까지 저축하는 인체 은행이 있다고?
2 나는 몇 살까지 살 수 있을까?
3 복제 인간은 어떻게 만들까?
4 냉동 인간을 해동시키면 살아날 수 있을까?
5 아기는 어떻게 생기는 걸까?
6 여자와 남자는 어떻게 결정될까?
7 엄마 뱃속에 있는 아기는 어떻게 숨을 쉴까?
8 사람은 죽으면 어디로 갈까?
9 식물인간은 산 사람일까? 죽은 사람일까?
10 흑인이 백인을 낳을 수 있을까?
11 우리 집에서 왜 나만 쌍꺼풀이 없지?
12 쌍둥이는 어떻게 생기는 걸까?
13 친척끼리 결혼하면 왜 안 되는 걸까?
14 생쥐와 사람의 유전자가 99%나 비슷하다고?
15 왜 범인을 잡을 때 머리카락을 검사할까?
16 야한 장면을 보면 왜 몸이 찌릿찌릿할까?
17 하리수의 몸은 어떻게 여자가 되었을까?
18 왜 내 고추는 친구 고추보다 작을까?
19 팬티에 피가 묻었어요. 어떻게 하지요?
20 포경 수술은 꼭 해야 할까?
21 사람은 얼마동안 먹지 않고 살 수 있을까?
22 무조건 적게 먹으면 살을 뺄 수 있을까?
23 맛있는 햄버거가 왜 몸에 해로울까?
24 채식이 좋은 걸까? 육식이 좋은 걸까?
25 매운 김치가 왜 몸에 좋은 걸까?
26 키가 커지는 운동은? 살이 빠지는 운동은?
27 뛰면 왜 땀이 날까?
28 왜 학원에 갈 시간만 되면 머리가 아픈 걸까?
29 어린이 책의 주인공으로 왜 소아 백혈병 환자가 자주 나올까?
30 내 친구가 걸린 자폐증은 어떤 병인가?
31 독감은 독한 감기란 뜻일까?
32 어릴 때 커피를 마시면 정말 머리가 나빠질까?
33 최면과 수면은 얼마나 다른 걸까?
34 사람은 며칠이나 안자고 버틸 수 있을까?
35 꿈은 컬러일까, 흑백일까?
36 IQ도 노력하면 좋아질까?
37 아인슈타인 같은 천재의 뇌는 보통사람과 다를까?
38 마취를 하면 기억력이 나빠진다는 말이 사실일까?
39 차가운 것을 먹으면 왜 머리가 '띵'할까?
40 머리에 비듬은 왜 생기는 걸까?
41 왜 한국인은 금발이 없을까?
42 왜 나라마다 사람들의 생김새가 다를까?
43 성형 수술은 몇 살 때부터 할 수 있나?
44 인간의 시력은 얼마나 좋을 수 있을까?
45 갓 태어난 아기의 시력은 어느 정도일까?
46 하품을 크게 하면 왜 눈물이 날까?
47 눈은 왜 깜빡일까?
48 훌쩍! 콧물이 왜 자꾸 나와요?
49 코딱지는 왜 생기는 걸까?
50 웃으면 건강해진다는 말이 사실일까?
51 이는 왜 매일 닦아도 냄새가 나는 걸까?
52 왜 어린이의 이는 모두 빠졌다가 다시 나는 걸까?
53 단 것을 먹으면 왜 이가 썩을까?
54 혀는 어떻게 단맛, 쓴맛, 신맛, 짠맛을 느낄까?
55 의사 선생님은 왜 혀를 내밀어 보라고 할까?
56 귓바퀴는 왜 있는 걸까?
57 헤드폰을 오래 끼고 있으면 정말 귀가 나빠질까?
58 귀지는 파는 게 좋을까? 파지 않는 게 좋을까?
59 음치도 노력하면 고칠 수 있을까?
60 녹음기로 내 목소리를 들으면 왜 다르게 들릴까?
61 똥배 안에는 뭐가 들어 있을까?
62 배가 고프면 왜 '꼬르륵' 소리가 날까?
63 배꼽은 상반신일까? 하반신일까?
64 왜 여자만 가슴이 나오는 걸까?
65 심장은 평생 몇 번이나 뛸까?
66 간이 정말 콩알만해질 수 있을까?
67 숨을 쉬지 않고 얼마 동안 참을 수 있을까?
68 우리 몸에서 떼어내도 괜찮은 것이 있다고?
69 밥을 먹고 달리면 왜 배가 아플까?
70 먹는 것에 따라 장의 길이가 달라진다고?
71 오줌과 똥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72 흥부전에 나오는 '오장육부'가 뭘까?
73 방귀를 뀌면 왜 구린 냄새가 날까?
74 엄마 손은 정말 약손일까?
75 발가락은 왜 손가락만큼 자유자재로 움직이지 못할까?
76 손톱은 왜 잘라도 아프지 않은 걸까?
77 평발은 왜 군대에 못 가는 걸까?
78 팔꿈치와 무릎은 왜 밖으로는 안 굽어질까?
79 뼈를 보면 나이를 알 수 있다고?
80 옛날 할머니들은 왜 등이 휘었을까?
81 식초를 먹으면 정말 체조 선수처럼 몸이 유연해질까?
82 사람은 몇 살까지 키가 클까?
83 어른이 되었을 때의 내 키를 알 수 있다고?
84 사람마다 혈액형이 다른 이유는 뭘까?
85 체온계의 눈금은 왜 42℃까지만 있을까?
86 오줌을 누고 나면 왜 몸이 떨릴까?
87 늙으면 왜 주름살이 생기는 걸까?
88 때는 미는 게 좋을까? 밀지 않는 게 좋을까?
89 목욕을 하면 왜 손바닥이 쭈글쭈글해질까?
90 왜 인종마다 피부색이 다른 걸까?

저자소개

박찬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국어국문과를 졸업했다. 「경영과 컴퓨터」 등 컴퓨터 잡지사와 삼성 SDS의 홍보팀에서 일했다. 현재 어린이의 영어 학습과 학과 공부에 도움을 주는 인터넷 사이트를 소개하는 '지혜가 자라는 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다.
펼치기
여에스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서울대학교 병원 전임의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예방의학 박사. 가정의학 전문의. 국제 골다공증 전문의. 영양이 건강의 기본이라고 믿는 의사. 일반인을 위한 건강 정보를 이해하기 쉽게 전달해주는 전문가로 정평이 나 있다. 영양과 기능의학을 현대 의학에 접목하기 위한 연구에 정진하고 있으며 방송과 강연, 학회 활동을 통해 대중과 의사들에게 영양의 중요성을 알리는 일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예방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가정의학과 초빙교수를 지냈으며 KBS 라디오 ‘건강365’, TV조선 ‘홍혜걸의 닥터콘서트’를 진행했다. 에스더클리닉 원장을 거쳐 현재 에스더포뮬러 대표이사 직을 맡고 있다. 지은 책으로 《13세까지의 건강이 아이의 머리를 좌우한다》, 《노화와 성인병을 일으키는 주범 나잇살》이 있다. 학회활동 대한가정의학회 비만연구회 연수이사, 대한 의사협회 보완의학 전문위원, 대한여성비만노화방지학회 학술이사, 대한비만학회 연수위원, 대한노화방지연합회 홍보이사, 대한임상영양학회 정책이사 등을 역임. 현재 대한임상건강의학회 학술이사, 대한보완대체의학회 상임이사, 임상건강증진학회 여성전문이사, 에스더클리닉 원장 www.estherclinic.com 방송활동 KBS <건강 365> MC, KBS <남희석, 최은경의 여유만만> 고정출연, KBS <감성시대, 행복한 오후>, KBS <생로병사의 비밀>, SBS <잘 먹고 잘사는 법>, MBC <팔방미인>에 출연. 저서로는 <나잇살>, <13세까지의 건강이 아이의 머리를 좌우한다>, <여성과 건강>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아이 : 고모가 며칠 전에 아기를 낳았는데 아기의 제대혈을 냉동 보관하는 곳에 맡겼대요. 박사님, 제대혈이 뭐죠?

박사 : 제대혈이란 산모가 아기를 낳을 때 생기는 부산물인 탯줄과 태반에서 뽑아낸 혈액이란다. 제대혈에는 적혈구, 백혈구 등 혈액 성분을 만들어 내는 조혈모 세포가 많이 들어 있지. 그래서 만일 아기나 아기의 형제자매가 백혈병과 같은 난치성 혈액 질환에 걸리면 이식할 수 있도록 냉동 보관해 두는 거란다.

아이 : 만약을 대비해서 저축을 하는 거군요?

박사 : 그렇지. 요즘에는 냉동 보관 기술이 발달해서 제대혈뿐 만 아니라 정자와 난자, 지방 세포도 보관했다가 쓸 수 있게 됐단다. 예를 들면 암에 걸린 사람이 항암 치료를 받으면 아기를 갖는 능력을 잃을 수 있거든. 이럴 경우 치료 전에 건강한 정자와 난자를 보관해 두면 병이 다 나은 후에 시험관 아기를 가질 수가 있단다. 또 남아도는 뱃살의 지방 세포를 뽑아내 보관해 두었다가 코나 젖가슴, 눈두덩이 등 성형 수술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도 있지.

-본문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