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경제학
· ISBN : 9788932214023
· 쪽수 : 294쪽
· 출판일 : 2012-12-31
목차
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선행연구의 검토 및 연구의 차별성
3.연구의 범위,방법 및 구성
제2장 러시아의 해외직접투자 패턴과 특징
1.러시아 해외직접투자의 발전 과정과 현황
가.러시아의 해외직접투자에 대한 이론적 설명
나.해외직접투자의 시기별 변화와 내용
다.해외직접투자국으로서 러시아의 부상과 배경
2.러시아 해외직접투자의 지역별 분포와 특징
가.해외직접투자의 지역별 구조와 '이웃효과'
나.CIS 지역에 대한 해외직접투와 정치·문화적 특징
3.러시아 해외직접투자의 산업별 구조와 특징
가.석유가스 및 금속 산업에 대한 해외직접투자와 특징
나.기타 제조업에 대한 해외직접투자와 특징
다.서비스산업에 대한 해외직접투자와 특징
제3장 러시아 해외직접투자의 동기와 잔략 분석
1.러시아 해외직접투자 실행 기업 및 유형
가.주요 다국적기업과 '두 번째 대열(2군)' 투자기업
나.해외직접투자기업의 유형
2.러시아 기업의 해외직접투자 진출동기 및 투자의향 조사
가.설문조사의 개요
나.러시아 기업의 해외직접투자 진출동기
다.러시아의 해외직접투자 의향 조사
3.러시아의 해외직접투자전략 분석
가.러시아 해외직접투자전략 분석
나.러시아 투자자들의 초국경 생산·판매 사슬 구축전략
다.러시아의 해외 M&A 특징과 전략
라.해외투자자에 대한 러시아 정부의 지원전략
제4장 한국의 대러시아 직접투자 유치 현황 및 정책 평가
1.한국의 외국인투자 유치 현황과 특징
가.최근 한국의 외국인투자 유치 추세
나.한국에 대한 외국인직접투자의 주요 특징
2.한국의 대러시아 직접투자 유치 현황 및 부진요인 분석
가.러시아의 대한국 직접투자 현황 분석
나.러시아의 대한국 직접투자 유치 부진요인 분석
3.한국의 대러시아 직접투자 유치 확대를 위한 정책 노력 평가
가.경제협력 확대를 위한 양국간 제도적 접근
나.러시아 기업에 대한 투자 유치활동
제5장 한국의 대러시아 직접투자 유치 확대방안
1.한국의 대러시아 투자유망분야에 대한 전략적 유치방안
가.러시아 방산업체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 유치
나.러시아 시장 지향형 양국 합작투자 추진을 통한 투자 유지
다.러시아 에너지분야 기업에 대한 투자 유치
라.연구개발 및 교육 분야 협력증진을 통한 투자 유치
마.공동 투자펀드 조성을 통한 투자 유치
2.러시아 직접투자 유치 확대를 위한 정책방안
가.러시아 정부기관들과 상호 협력 확대
나.러시아 전체 지역에 대한 관심 증대와 기존 투자 유치 제도 정비
다.러시아에 한국의 경제적 성공에 대한 홍보
라.러시아 사업가들에 대한 정보 공개 및 제공
마.러시아의 성공적인 대한국 투자사례 창출
바.제3국 공동 투자진출 모색
사.러시아에서의 한국어 및 한국학 교육 지원
참고문헌
부록
부록1.러시아 기업 대상 설문지
1.한글본
2.러시아어본
부록2.러시아 30개 주요 다국적기업 소개
1.에너지,전기,철강 부문
2.정보통신 및 첨단기술 부문
3.유통 및 운송 부문
4.은행,투자 및 자산관리 부문
5.제조업 부문
6.기타 부문
Exeutive Summ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