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88932470955
· 쪽수 : 528쪽
· 출판일 : 2005-11-26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일러두기
제1부 우리는 어디에서 왔는가
공空 | 조은수
공사公私 | 박재술
귀신鬼神 | 박성규
기氣 | 김시천
도道 | 한형조
리理 | 손영식
리利 | 임현규
명命 | 김낙진
명名 | 정재현
무위無爲 | 최진석
미美 | 조민환
사단칠정四端七情 | 안영상
선禪 | 신규탁
성인聖人 | 오석원
성정性情 | 조남호
신도神道 | 박규태
신선神仙 | 윤찬원
심心 | 최재목
유무有無 | 이권
윤회輪廻 | 고영섭
음양陰陽 | 박석준
의義 | 박경환
인仁 | 신정근
자연自然 | 박원재
중용中庸 | 최영진
천天 | 문석윤
충효忠孝 | 김덕균
허虛 | 이종성
제2부 우리는 어디로 가는가
개벽開闢 | 김용휘
개혁改革 | 배병삼
공동체共同體 | 김수중
노마디즘 | 이정우
놀이 | 김교빈
다원주의 | 김비환
도교 | 이용주
동아시아 | 김석근
디지털 | 정세근
몸 | 정인재
법치 | 이재룡
생명윤리 | 박재현
생태 | 김용수
성性 | 윤천근
소통 | 강신주
아나키즘 | 박철홍
악惡 | 이장희
양생養生 | 김낙필
욕망 | 정상봉
윹피아 | 강중기
인간복제 | 김병환
인공지능 | 이효걸
인권 | 이승환
자유 | 장현근
전쟁 | 송영배
정보화 사회 | 김성환
죽음 | 오진탁
지식인 | 황희경
진화 | 양일모
테크놀로지 | 김용현
페미니즘 | 이숙인
풍수 | 최창조
표제어 찾아보기
찾아보기
글쓴이 소개
저자소개
책속에서
리는 <맹자>, <장자>, <한비자>, <예기> 등에 가끔 나오는 말이었으며, 주요한 개념이 아니었다. 리를 본격적인 철학적인 개념으로 사용한 것은 불교, 그 가운데서도 화엄종이다. 평등한 '리 법계', 사물이 평등하게 얽혀 있는 '리사무애理事無碍 법계'가 바로 그것이다. '리'가 핵심 개념으로 자리잡은 것은 성리학에 와서이다. - 본문 63쪽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