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하나 셋 여럿

하나 셋 여럿

(현대성의 문제와 삼위일체 신학의 응답)

콜린 건턴 (지은이), 김의식 (옮긴이)
IVP
1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300원 -10% 0원
850원
14,4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하나 셋 여럿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하나 셋 여럿 (현대성의 문제와 삼위일체 신학의 응답)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2817095
· 쪽수 : 314쪽
· 출판일 : 2019-07-10

책 소개

콜린 건턴은 역사적으로 철학이 기독교 신학의 세계 이해 및 하나님 이해에 영향을 주었지만, 철학적 인간 이해의 기저에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된 인간 개념이 있음도 밝힌다. 그리고 이 점에서 기독교 신학이 삼위일체 하나님 이해를 통해 온 인류의 자기 이해에 기여함을 보여 준다.

목차

서문
서론

1부 하나님의 자리를 바꾸다
1장 헤라클레이토스부터 하벨까지: 현대의 삶과 사고에서 하나와 여럿의 문제
1. 현대성이라는 관념 | 2. 비관여로서의 현대성 | 3. 하나와 여럿 | 4. 하나님 개념 | 5. 하나님의 변위로서의 현대성 | 6. 현대 상황의 비애 | 7. 결론
2장 사라지는 타자: 현대의 삶과 사고에서 개별자의 문제
1. 현대의 삶과 사고에서 개별자의 상실 | 2. 플라톤 | 3. 서구의 이중적 사고방식 | 4. 개별성의 실천 1: 자유 | 5. 개별성의 실천 2: 미학적인 것 | 6. 변위의 양식
3장 현재를 위한 탄원: 현대의 삶과 사고에서 관계됨의 문제
1. 현대성의 현세성 | 2. 기독교의 잘못된 영원성 | 3. 현대성의 잘못된 시간성 | 4. 종말론의 변위 | 5. 영지주의의 부활
4장 근원 없는 의지: 현대의 삶과 사고에서 의미와 진리의 문제
1. 상반된 의견들 | 2. 오늘날의 프로타고라스 | 3. 문화의 파편화 | 4. 근원 없는 의지의 기원들 | 5. 현대성의 모습

2부 창조됨을 다시 생각하다
5장 보편자와 개별자: 의미와 진리의 신학을 향하여
1. 토대주의와 합리성 | 2. 초월자로서의 하나 | 3. 개방적 초월자 | 4. 삼위일체적 초월자들
6장 “그를 통하여 그리고 그 안에서…”: 관계됨의 신학을 향하여
1. 되돌아보기 | 2. 경륜 | 3. 페리코레시스 | 4. 유비적 탐색 | 5. 문제의 핵심 | 6. 기독론적 결론
7장 주는 영이다: 개별자의 신학을 향하여
1. 영의 개념 | 2. 실체성의 문제 | 3. 개별자들에 관하여 | 4. 존재의 주이며 수여자
8장 삼위일체인 주: 하나와 여럿의 신학을 향하여
1. 되돌아보기 | 2. 공동체 | 3. 사회성 | 4. 맥락 안에 있는 사회성 | 5. 결론

참고 도서
찾아보기

저자소개

콜린 건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국 개혁파 신학자이자 목사로서, 런던 킹스 칼리지에서 조직신학과 기독교 교리를 가르치면서 브렌트우드 연합개혁교회(Brentwood United Reformed Church) 협동목사로 활발하게 활동했다.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고전(BA)과 신학(MA)을 공부했으며, 로버트 젠슨(Robert Jenson)의 지도로 찰스 하츠혼(Charles Hartshorne)과 칼 바르트(Karl Barth)의 신론에 대해 연구해 박사 학위를 받았다. 박사논문을 쓰면서 런던 킹스 칼리지에서 종교철학을 강의하기 시작했고, 계속해서 이곳에서 조직신학과 기독교 교리를 가르치면서 학장을 역임했으며, 조직신학연구소(Research Institute in Systematic Theology)를 설립해 크리스토프 슈뵈벨(Christoph Schwoebel)과 함께 이끌었다. 1992년에 옥스퍼드 대학교의 *뱀턴 강좌(Bampton Lectures), 1993년에 프린스턴 신학교의 워필드 강좌(Warfield Lectures)에서 강연했다. 1999년에는 International Journal of Systematic Theology를 존 웹스터(John Webster) 및 랄프 델 콜(Ralph Del Colle)과 함께 창간했다. 주요 저작으로는 1992년에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행한 뱀턴 강좌에 기초한 『하나 셋 여럿』, 니케아 신경의 순서에 따른 기독교 기본 교리 해설서 The Christian Faith: An Introduction to Christian Doctrine을 비롯해, 삼위일체와 창조 및 현대 사상을 다양한 각도에서 다룬 Christ and Creation, The Triune Creator: A Historical and Systematic Study, Enlightenment and Alienation: An Essay Towards a Trinitarian Theology, 신학적 설교집 Theology Through Preaching과 Theologian as Preacher 등이 있다. *뱀턴 강좌는 영국 성공회의 솔즈베리 참사회원이기도 했던 존 뱀턴의 유증으로 1780년 이후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한 연사가 8회에 걸쳐 진행하는 공개강좌다. 이 강좌의 강연자는 옥스퍼드 대학교나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문학 석사 학위 이상을 가진 사람들 중에서 선택되며, 한 번만 강연자로 선정될 수 있다. 이 강좌에서 다루는 주제는 기독교 신앙을 공고히 하고 이단과 분열을 논박하는 것, 성경의 신적 권위, 초대교회 교부들 저작들의 권위 및 초대교회의 신앙과 실천,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 성령의 신성, 사도신경과 니케아 신경에 담긴 기독교 신앙의 조항들이다.
펼치기
김의식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루이빌 신학교(MA), 한국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MDiv, ThM)에서 공부한 후 성균관대학교 번역테솔대학원에서 번역학(MA)을 전공했다. 현재 전문번역가로 활동하고 있으며 옮긴 책으로는 『성경, 바위, 시간』 『영혼의 리더십』(이상 IVP), 『다니고 싶은 회사 만들기』(홍성사, 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그 모든 통합의 전망에도 불구하고, 기독교 세계(Christendom)의 시대는 실질적으로 사라진 기독교 복음의 특정한 차원들의 희생이라는 비싼 대가를 치르고 얻은 것이다. 하지만 현대 세계는 기독교 세계에 반발하면서 그 세계 안에 있는 인간에 대한 동일하면서도 정반대인 왜곡들을 물려주었다. 그렇기 때문에 내가 이 책에서 시도하는 것은 현대성에 반발하는 것도, 그렇다고 비굴하게 현대성이 이끄는 대로 따르는 것도 아니다. 현대성은 모든 문화들처럼, 창조 세계의 완성을 위하여 성령에 의해 성육신하신 하나님의 아들의 복음이 비추는 치유의 빛을 필요로 한다. 하지만 현대성이 다른 문화들과 다른 것은, 현대성이 처한 곤경의 독특한 특징들이, 일부 이해할 만한 이유에서 그랬을지라도, 그러한 복음을 거부한 데서 나온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우리가 복음을 위한다면, 현대의 거부를 단순히 비난할 것이 아니라 그 거부가 어떻게 발생했는지를 살펴야 한다. 기독교는 참으로 자연적 인간 지성에 거슬리지만, 기독교를 대변하는 자들 때문에 잘못된 이유에서 거슬리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 책이 복음과 현대 상황을 모두 조명함으로써 둘 사이에 지속적 대화가 일어나기를 희망한다.
_“서론” 중에서


이 책에서 나의 목적은 우리 시대에 대한 신학적 평가를 내리는 것이다. 나는 신자와 비신자가 모두 공유하는 세계를 살피되, 그리스도와 성령 안에서 알려진 하나님에 관한 교리가 제공하는 초점을 통해 그렇게 할 것이며, 또한 그 세계의 정체를 파악하고 명료히 밝히는 과정 중에 우리가 지금 어디에 서 있는지를 조명하여 이 시대에 적절한 기독교 신학에 이르는 토대를 놓고 싶다.
_1장 “헤라클레이토스부터 하벨까지” 중에서


하나와 여럿에 대한 질문은 우리를 철학과 신학의 시초로 데려간다. 이 질문이 논증에 기여하는 바는 헤라클레이토스와 파르메니데스 사이의 유명한 불일치에서 분명히 표현된다. 서양 철학의 이 두 원천의 가르침에 관한 우리의 정보는 파편적이고 종종 모호하지만, 그들은 대표적 인물들로서 우리의 관심을 끈다.…헤라클레이토스는 다원성과 운동의 철학자다. 여럿이 하나보다 우선적이며, 그것도 실질적으로 안정을 찾을 수 없는 방식으로 그러하다. 파르메니데스는 정반대의 사상을 대표한다. 그에게 실재는 전적으로 불변하는데, 왜냐하면 그렇게 이성이 가르치기 때문이며, 이는 감각에 제시되는 외양들과 모순되는 것이다. 실재는 영원히 그리고 한결같이 있는 그대로 존재하는 것이며, 이렇게 해서 파르메니데스는 탁월하게 하나(the One)의 철학자다. 여럿(the many)은 다만 하나(the One)의 작용들로만 존재한다. …그들 이후로 모든 시대의 사상을 잇는 연속적 주제들 중 한 가지는 이 둘 사이의 다양한 변형들에서 찾아볼 수 있고, 그렇게 해서 하나와 여럿의 변증법은 많은 기본적 사유의 소재들에 대한 이후의 생각 대부분을 위해 틀을 제공했다.
_1장 “헤라클레이토스부터 하벨까지”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