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2818085
· 쪽수 : 968쪽
· 출판일 : 2021-01-21
책 소개
목차
서문
유의 사항: 독자에게, 특히 교수와 연구자에게
서론: 현대 신학의 문화적 맥락
1 현대성이 전통적 신학에 도전하다: 초기 현대 신학의 맥락
1.a. 과학이 하늘을 바꾸다
1.b. 철학자들이 지식을 위한 새로운 토대들을 놓다
1.c. 이신론자들이 새로운 자연 종교를 만들다
1.d. 비판 철학자들이 종교를 이성의 한계 안에 두다
1.e. 실재론자들, 낭만주의자들, 실존주의자들이 대응하다
2 자유주의 신학들이 현대성에 비추어 기독교를 재구성하다
2.a.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가 신학에서 코페르니쿠스적 혁명을 개시하다
2.b. 알브레히트 리츨과 그의 제자들이 현대성에 적응하다
2.c. 에른스트 트뢸치가 기독교를 상대화하다
2.d. 가톨릭 현대주의자들이 로마 가톨릭을 시대에 맞추려 시도하다
3 보수적 개신교 신학이 정통주의를 현대적 방식으로 방어하다
4 중재 신학들이 정통주의와 자유주의 사이에 다리를 놓다
4.a. 이자크 아우구스트 도르너가 자유주의와 정통주의 사이에 다리를 놓다
4.b. 호러스 부시넬이 진보적 정통주의를 모색하다
5 신정통주의/변증법/케리그마 신학이 현대의 맥락에서 종교개혁을 되살리다
5.a. 칼 바르트가 신학자들의 놀이터에 폭탄을 던지다
5.b. 루돌프 불트만이 기독교를 실존화하고 비신화화하다
5.c. 라인홀드 니버가 원죄를 재발견하고 기독교 현실주의를 발전시키다
6 완화된 자유주의 신학들이 현대성과의 대화를 재개하고 수정하다
6.a. 폴 틸리히가 하나님을 존재의 근거, “하나님 너머의 하나님”으로 기술하다
6.b. 과정 신학이 하나님을 땅으로 내리다
7 디트리히 본회퍼와 급진 신학자들이 종교 없는 기독교를 구상하다
8 신학자들이 희망으로 미래를 보다
8.a. 위르겐 몰트만이 하나님의 최종적 승리에 대한 확신을 새롭게 하다
8.b.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가 역사의 하나님에 대한 합리적 신앙에 활력을 불어넣다
9 해방 신학들이 불의와 억압에 항거하다
10 가톨릭 신학자들이 현대성에 관여하다
10.a. 칼 라너가 인간 경험에서 하나님을 발견하다
10.b. 한스 큉이 새로운 패러다임의 가톨릭 신학을 주장하다
10.c. 한스 우르스 폰 발타자르가 기독교 진리를 아름다움에 기초시키다
11 복음주의 신학이 성인이 되어 현대성과 씨름하다
12 포스트모던 신학자들이 현대성에 반기를 들다
12.a. 탈자유주의 신학자들과 스탠리 하우어워스가 제3의 길을 발전시키다
12.b. 존 카푸토가 하나님 나라로 종교를 해체하다
리뷰
책속에서
누구나 복음의 상황화에 관해 말하지만, 대개 그것은 복음을 비서구 문화에 통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책은 가장 영향력 있는 (라틴 아메리카를 포함한) 서구 신학자들이 어떻게 복음을 현대성과 통합했는지 혹은 그렇게 하지 않았는지를 다룬다. 즉 어떤 이들은 현대성을 반대하고 거부했다. 하지만 현대성을 반대하고 거부한 이들조차 현대성의 영향을 받았다.…현대 신학은 단지 어제와 오늘의 신학이 아니다. 현대 신학은 현대성이라는 문화적 정신의 맥락에서 이루어진 신학이다. 이 책에서 기술하고 분석하고 평가하는 신학자들은 모두 적어도 명목상으로 그리스도인이라는 점 외에 한 가지 공통점이 있는데, 바로 그들이 모두 계몽주의와 과학 혁명에서 유래한 문화적 맥락인 현대성과 씨름했다는 사실이다.
- 서문 중에서
1802년의 어느 날, 프랑스 황제 나폴레옹 보나파르트(Napoleon Bonaparte)는 천문학자 피에르-시몽 라플라스(Pierre-Simon Laplace, 1749-1827)에게 그의 우주론을 설명해 달라고 했다. 당시 라플라스는 아이작 뉴턴이 발견한 자연 법칙에 근거해 우주에 관한 책을 써서 논란을 일으켰다. 황제는 라플라스에게 그가 우주, 그 우주의 기원과 운행에 관해 설명한 것에서 하나님의 위치를 물었다. 당시의 보고에 따르면 이 천문학자는 이렇게 대답했다. “폐하, 저에게는 그런 가설이 필요 없습니다.”
- 1장 현대성이 전통적 신학에 도전하다 중에서
자유주의 신학은, 기독교 신학 안에서 “현대 사상의 주장들을 최대한 인정하는 것”으로 가장 잘 정의될 수 있다. 자유주의 신학은 유럽에서 개신교 안에 있는 신학의 한 운동이자 유형으로 시작되었지만, 후에는 가톨릭 신학의 일부 분야로 확대되었으며 거기서는 전통적으로 현대주의라 불렸다. 다시 말해, 자유주의 신학은 전통적 교리의 단순한 개정이 아니라 현대성에 비추어 기독교 교리를 개정하고 재구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리적 비판과 구성을 위한 원천과 규범으로 “현대 사상의 최고의 것”을 이용한다. 바로 이것이 새로운 점이었다.
- 2장 자유주의 신학들이 현대성에 비추어 기독교를 재구성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