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프랑스소설
· ISBN : 9788932912295
· 쪽수 : 424쪽
· 출판일 : 2014-11-20
책 소개
목차
제1부
제2부
제3부
제4부
제5부
역자 해설 부조리의 미학, 반항의 윤리
『페스트』 줄거리
알베르 카뮈 연보
리뷰
책속에서
「그게 무엇인지 자네야 당연히 알겠지?」 그가 말을 꺼냈다.
「저는 분석 결과를 기다릴 뿐입니다.」
「난 말이야, 그게 무언지 알고 있다네. 분석 따윈 내게 필요치 않아. 내 의사 경력의 일부는 중국에서였고, 그런 다음 20여 년 전 파리에서도 이런 경우를 좀 봤었지. 당시에는 그것에다 감히 이름조차 붙일 수 없었다네. 여론이란 신성해. 혼란은 안 되지. 그럼, 안 되고말고. 어떤 동료 의사 말마따나 <그럴 수가 있나, 그것이 서양에서 자취를 감췄다는 것은 모두가 아는 사실 아닌가>. 그렇지, 다들 그렇게 알고 있었지, 죽은 사람들 빼고 말이야. 자, 리유 자네도 그것이 무엇인지는 나만큼이나 잘 알고 있을 거야.」
리유는 곰곰이 생각에 잠겼다. 그는 진료실 창문을 통해서 멀리 바닷가에 단단히 자리 잡은 돌 투성이 절벽의 능선을 바라보았다. 푸르지만 빛을 잃어 칙칙했던 하늘이 오후가 지나감에 따라 차츰 말갛게 개이고 있었다.
「그래요, 카스텔.」 그가 말했다. 「있을 수 없는 일이에요. 하지만, 페스트가 틀림없어 보입니다.」
추상적인 것에 맞서 싸우기 위해서는 그것을 조금 닮아야 한다. 하지만 랑베르가 어떻게 그 사실을 알아차릴 수 있었겠는가? 랑베르에게 추상적인 것이란 자신의 행복을 가로막는 모든 것이었다. 그리고 사실 리유는 어떤 의미에서 신문 기자가 옳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추상적인 것이 구체적인 행복보다 더 강력한 것인 양 모습을 드러내는 경우도 있기에, 따라서 그런 경우에만은 반드시 추상적인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는 사실도 알고 있었다. 그 이후에 랑베르에게 일어날 수밖에 없었던 일이 바로 그랬고, 후일 랑베르가 했던 고백을 통해서 그 사실을 자세하게 알 수 있었다. 그렇게 해서 리유는, 또한 무엇보다도 새로운 각도에서, 한 사람 한 사람의 행복과 페스트라는 추상적 관념들 사이에서 벌어지는 이를 테면 우울한 투쟁과도 같은 것, 오랜 기간 동안 우리 도시의 삶 전체를 지배한 그 투쟁을 계속 추적할 수 있었다.
페스트에 감염된 도시 안으로 바깥세상이 들여보내는 격려와 응원을 라디오에서 듣거나 혹은 신문에서 읽을 때마다 의사 리유의 생각은 적어도 그랬다. 비행기나 육로를 통해서 보내진 구호품들은 물론이고 동정이나 찬양 일색의 논평들이 이제는 외따로 버려진 도시로 폭포수처럼 쏟아져 내렸다. 그럴 때마다 영웅적 무훈담이나 수상식 연설과도 같은 어투에 의사 리유는 참을 수가 없었다. 물론 그런 마음 씀씀이가 거짓이 아님은 알고 있었다. 그러나 그것은 오직 인간이 자신과 전 인류를 연결하는 그 무엇을 표현하고자 할 때 쓰는 상투적인 언어의 범위 안에서만 표현될 수 있을 뿐이었다. 그리고 이를테면 그 언어는 페스트의 한가운데에서 그랑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 수 없었기 때문에 그가 하는 일상의 소소한 노력들을 표현해 낼 수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