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미학/예술이론
· ISBN : 9788932916408
· 쪽수 : 144쪽
· 출판일 : 2013-12-30
책 소개
목차
서문
1장 정의
2장 커뮤니티
3장 상황
4장 대화
5장 협력 작업
6장 부정성
7장 퍼포먼스
8장 기록
9장 교차 교육학
10장 탈숙련화
감사의 글
주
책속에서
모든 예술은 사회적 상호 작용을 유발한다. 하지만 사회 참여 예술의 경우에는 사회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과정, 즉 작품을 만드는 행위 그 자체가 사회적이다. 더욱이, 일반적으로 사회 참여 예술의 특징은 소극적인 수용을 뛰어넘어서 역할을 맡은 구성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결정된다. 지난 40여 년간 이루어진 수많은 예술 작업들이 관객의 참여를 독려해 왔다.
2. 커뮤니티
대인 관계에 따른 생소한 상황을 이해하고, 다양한 시나리오에 따라 대처하는 법을 익히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일이다. 사회 운동가나 교육자, 심리학자 등 사회적 상황에 따른 변수에 대처하도록 전문적인 훈련을 받은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제한된 환경 내에서 그런 일을 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사회 참여 예술에는 예술가가 착수하기로 결정할 수 있는 다양한 사회적 환경과 시나리오만큼이나 다양한 변수들이 존재한다. 하지만 사회 참여 예술이 가치가 있는 것도 바로 그런 이유 때문이다.
3. 상황
프로젝트에 대해 주인 의식을 느낄 만한 다른 동기도 없는 상태에서 의사 결정 과정에 관여하지도 못하는 협력자들에게 적극적인 참여나 노력을 요구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다. 어떤 한 집단 전체가 한번 경험 삼아 해보자는 식으로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도 있지만 분명한 동기가 없다면 진심으로 자기 자신을 투자하지는 않을 것이다. 반대로, 만약 커뮤니티가 모든 결정을 내린다면 예술가는 단지 서비스 제공자로서만 기능하게 될 것이다. 이런 관계는 예술 행위를 그저 하나의 사회사업으로 바꿔 놓는다.
5. 협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