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이론/경제사상
· ISBN : 9788932917450
· 쪽수 : 576쪽
· 출판일 : 2016-02-2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서론: 근대 경제의 등장
1부 근대 경제의 경험
1장 근대 경제 역동성의 기원
2장 근대 경제의 물질적 영향
3장 근대적 삶의 경험
4장 근대 경제의 형성 과정
2부 근대 경제에 대한 반발
5장 사회주의의 유혹
6장 제3의 길: 코포라티즘적 우파와 좌파
7장 경쟁 체제들의 목표 대비 성적표
8장 각국의 직무 만족도
3부 쇠락과 재건
9장 1960년대 이후 쇠퇴의 조짐들
10장 1960년대 이후의 쇠락을 이해하기
11장 좋은 삶: 아리스토텔레스와 근대주의자
12장 좋은 것과 정의로운 것
에필로그: 근대성 되찾기
모더니즘과 근대성의 연대기
참고 문헌
감사의 글
찾아보기
옮긴이의 말
책속에서
정부는 빈곤층에게 최대한 도움이 되도록 좋은 삶의 주요 요소인 근대 경제의 이익을 배분하는 일을 제대로 하고 있지 못하다. 그러나 이는 근대 경제의 잘못이라기보다는 정부의 잘못일 것이다.
정부는 빈곤층에게 최대한 도움이 되도록 좋은 삶의 주요 요소인 근대 경제의 이익을 배분하는 일을 제대로 하고 있지 못하다. 그러나 이는 근대 경제의 잘못이라기보다는 정부의 잘못일 것이다.
1780년대 처음 진전된 산업 혁명은 종종 노동 계급에게는 끔찍했던 시절인 것처럼 묘사된다. 그렇지만 진실은, 결론적으로 이 시기는 훌륭한 지능과 상상력을 가진 가난한 사람들에게는 역사상 비할 데 없이 많은 기회가 있었다는 것, 그리고 이들이 놀랄 만큼 빠르게 사회 지도층이 될 수 있었다는 것이다. p.35
당시 영국에서는, 체계적으로든 어떤 영구적인 방식으로든 근대 경제가 임금 불평등을 악화시키지 않았다. 마르크스는 자료를 은폐하면서 글래드스턴이 강조한 부분을 전혀 인정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