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일본의 조선통치와 국제관계

일본의 조선통치와 국제관계

(조선독립운동과 미국 1910-1920)

나가타 아키후미 (지은이), 박환무 (옮긴이)
일조각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0,000원 -0% 0원
1,500원
28,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일본의 조선통치와 국제관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일본의 조선통치와 국제관계 (조선독립운동과 미국 1910-1920)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88933705407
· 쪽수 : 504쪽
· 출판일 : 2008-07-15

책 소개

국제정치사에서 본 삼일운동, 일본의 한국병합부터 무단통치가 실시되는 과정 및 그 실상, 윌슨 대통령이 제창한 민족자결주의와 이를 둘러싼 열강들의 침예한 대립, 한국 독립운동에 끼친 영향, 3.1운동 전후 시기를 대상으로 독립운동가들의 외교활동 등에 대해 각기 개별적 장을 할애해 서술한다.

목차

한국의 독자들에게

서론 국제정치사에서 본 삼일운동
문제 제기 | 국제정치사에서 본 삼일운동

제1장 한국병합과 무단통치
한국병합과 무단통치 | 무단통치와 미국 | 재미 조선인사회의 형성과 독립운동

제2장 백오인사건과 독립운동
백오인사건 | 미국과 일본의 대응 | 미국과 일본 간 사건 마무리 | 백오인사건과 독립운동

제3장 민족자결주의 제창과 논쟁
민족자결주의 제창 | 민족자결주의 해석을 둘러싼 논쟁

제4장 민족자결주의 수용과 대응
재중 조선인의 수용과 대응 | 재미 조선인의 수용과 대응 | 재일 조선인의 수용과 대응 | 러시아령 거주 조선인의 수용과 대응 | 국내 조선인들의 수용과 대응

제5장 삼일운동의 발발
고종의 죽음 | 도쿄 이팔독립선언 | 민족주의세력의 결집에서 삼일운동으로

제6장 독립을 향한 외교활동
위임통치청원 |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 | 미국에서의 외교활동 | 파리강화회의와 김규식 | 러시아령과 중국에서의 외교활동

제7장 삼일운동과 미국의 반응
삼일운동의 발발과 미국인 선교사 | 삼일운동의 진압과 미국인 선교사 | 미국인 선교사와 조선통치의 개혁 | 미국 의회와 조선문제 | 미국 언론계의 반응

제8장 일본의 삼일운동 진압실태
삼일운동의 발발 | 삼일운동의 확대 | 삼일운동의 진정화

제9장 삼일운동과 일본의 대응
삼일운동의 발발과 일본의 대응 | 삼일운동 진압과 조선통치의 개혁 모색 | 조선통치 개혁을 둘러싼 줄다리기 | 삼일운동과 일본 언론계의 대응

제10장 문화정치와 사이토 마코토
사이토 폭살미수사건 | 문화정치의 실시 | 미국의 반응

제11장 삼일운동 이후의 독립운동
문화정치 실시 이후 조선의 정세 | 혼춘사건과 간도출병

제12장 미국의원단의 동아시아 방문
미국의원단의 동아시아 방문 | 미국의원단의 조선 방문 | 미국의원단의 일본 방문

제13장 워싱턴회의와 독립운동
하딩의 대통령 당선 | 하딩 대통령과 독립운동 | 워싱턴회의와 독립운동 | 워싱턴회 폐회

제14장 극동노동자대회와 독립운동
볼셰비키와의 제휴 | 극동노동자대회에 파견된 조선대표 | 극동노동자대회와 조선독립 | 극동노동자대회 종료

결론 조선독립을 둘러싼 국제관계
민족자결주의와 독립운동 | 독립운동의 성과와 문제점 | 일본의 대응 | 미국의 대응

미주 | 참고문헌 | 옮긴이 후기 | 찾아보기

저자소개

나가타 아키후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8년 오사카大坂 출생. 와세다대早稻田大 정치경제학부 경제학과와 교토대京都大 법학부를 졸업하고, 히토쓰바시대一橋大 대학원 법학연구과 석사과정을 수료한 뒤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전공분야는 한일관계사와 아시아태평양국제정치사이다. 서울대학교 국제지역원(현재 국제대학원) 객원연구원(2001~2002)과 미국 컬럼비아대 동아시아연구소 객원연구원(2009~2010)을 지냈다. 현재 조치대上智大 문학부 사학과 교수이다. 주요저서로는 『セオドア·ル-ズベルトと韓國─韓國保護國化と米國』(未來社, 1992)〔한국어판: 『미국, 한국을 버리다』, 기파랑, 2007〕, 『日本の朝鮮統治と國際關係..朝鮮獨立運動とアメリカ1910-1922』(平凡社, 2005)〔한국어판: 『일본의 조선통치와 국제관계─조선 독립운동과 미국 1910-1922』, 일조각, 2008〕, 공저로는 『現代東アジア─朝鮮半島·中國·臺灣·モンゴル』(慶應義塾大學出版會, 2009) 등이 있다.
펼치기
박환무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한 뒤 도쿄도립대東京都立大 인문과학연구과 사학 전공으로 석사와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현재 한양대와 성공회대에서 일본사를 강의하면서, 낙성대경제연구소에서 ‘일본의 총력전체제와 조선인 군사동원’에 대한 연구를 한다. 전공은 일본 근현대의 정치와 사회에서 천황이 수행하는 역할에 관한 정치사회사적 연구로, 그 일환으로 최근 ‘제국 일본의 천황과 식민지 조선’을 연구하고 있다. 논문으로 「명치초기 천황의 국가원수화와 ‘인새’의 성립」, 「관동대진재의 복구와 부흥」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조선은 1882년 서양 여러 나라 중에서는 처음으로 미국과 조미수호통상조약을 체결했다. 그 후 조선(한국)은 일본, 청, 러시아 같은 주변 각국으로 인해 위기를 겪을 때마다 조미수호통상조약 제1조의 거중조정 조항에 의거하여 미국에 도움을 요청했다. 그러나 미국은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고 주변 여러 나라와 비교해서 이해관계가 적은 조선문제에 깊이 관여하는 것을 피했다. 1901년 대통령에 취임한 루스벨트는 러시아세력을 억제하고 일본과 관계를 증진하기 위해 한국에서 일본의 입장을 인정했고, 나아가 러일전쟁 후 1905년 11월에 단행한 한국 보호국화도 앞장서서 지지하고 승인했다.
(14쪽)

한국의 독립운동은 3?1운동 이후 이승만 등의 위임통치청원으로 분화와 대립의 양상이 점점 깊어졌다. 이러한 대립의 근본 원인은 미국 등에 대한 외교공작이 무의미하다는 생각과 더욱더 외교공작을 하자는 방법상의 차이였다. 또한 워싱턴회의에서 미국 등이 조선문제를 무시한 것과는 대조적으로, 극동노동자대회에서는 조선문제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자 외교공작의 무의미함을 주장하면서 이 대회에 참가했던 사람들은 자신들의 생각이 옳았음이 증명되었다고 생각했다.
(381~382쪽)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