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10842
· 쪽수 : 399쪽
· 출판일 : 2010-04-16
목차
추천사
머리말
역자 서문
약어표
서론: 해석학은 구원받을 수 있을까?
제1부 해석학에 대한 복음적 서두
서론
제1장 해석학의 필요성
1. 아무것도 아닌 것에 야단법석?
2. 해석학은 무엇인가?
3. 해석학의 필요성
4. 의사소통과 그 원칙
5. 하나님의 의사소통
6. 해석학의 측면들
제2장 독서와 이해에 대한 전제
1. 역사에서 전제들이 바뀜
2. 신학연구에서 대안으로 제시하는 전제
3. 전제의 불가피성
4. 복음적 전제의 기본
5. 은혜만
6. 그리스도만
7. 성경만
8. 믿음만
9. 네 가지‘만이’와 삼위일체
10. 복음적 교리의 기능
11. 존재론
12. 인식론
13. 기독론과 해석학
제3장 복음중심 해석학
1. 복음의 전제
2. 복음과 지적인 구원
3. 그리스도께서 중보자이심은 복음이 성경을 해석하는 데
규범이 된다는 뜻
4. 부활과 해석학 76
5. 그리스도의 중심은 그리스도 일원론이 아니다.
제4장 해석의 성경신학으로
1. 성경신학의 방법
2. 창조와 타락
3. 토라(오경)
4. 지혜서
5. 선지서
6. 복음서
7. 사도행전
8. 서신서
9. 계시록
10. 결론
제2부 복음적 해석학에 대한 도전
서론
제5장 초대교회에서 복음의 가리움
1. 해석학의 배경
2. 속사도시대
3. 알레고리와 알렉산드리아인들
4. 모형론과 안디옥 사람들
5. 평가
제6장 중세교회에서 복음의 가리움
1. 중세 해석의 전주곡
2. 중세 후기
3. 스콜라 신학자들
4. 평가
제7장 로마 가톨릭에서 복음의 가리움
1. 신학적 선구자
2. 토마스 아퀴나스와 트렌트 공의회의 가톨릭교
3. 현대 가톨릭교
4. 평가
제8장 자유주의에서 복음의 가리움
1. 계몽주의
2. 계몽주의라는 자유주의 개신교
3. 슐라이어마허 이해의 해석학
4. 평가
제9장 철학적 해석학에서 복음의 가리움
1. 절충주의자가 되는 것에 대하여
2. 해석학의 퇴보
3. 현대이후주의: 전체적인 가리움?
4. 평가
제10장 역사비평에서 복음의 가리움
1. 방법의 문제
2. 역사비평 방법의 성장
3. 에른스트 트뢸취
4. 역사의 문제
5. 복음의 역사적 측면에 대한 도전들
6. 신해석학과 역사비평
7. 현대이후주의와 역사
8. 평가
제11장 문학비평에서 복음의 가리움
1. 문학 비평의 자리
2. 현대 문학적 해석학
3. 저자 중심 접근방법
4. 본문 중심 접근방법: 신비평과 구조주의
5. 현대이후주의와 독자 중심 접근방법
6. 평가
제12장 복음주의에서 복음의 가리움
1. 해석학적 완전주의
2. 정적주의(quietism): 복음적 가현설
3. 문자주의: 복음적 시온주의
4. 율법주의: 복음적 유대교
5. 결단주의: 복음적 불트만주의
6. 주관주의: 복음적 슐라이어마허주의
7. ‘예수 내 심령 내주주의’: 복음적 가톨릭주의
8. 복음적 다원주의
9. 복음적 실용주의
10. 평가
제3부 복음적 해석학을 재구성함
서론
제13장 계몽주의 전과 후의 복음적 해석
1 복음적 신앙에 대한 계몽주의의 전시대의 배경
2. 계몽주의이후 시대의 복음적 학문
3. 개혁신학 원리의 현재적 재평가
제14장 복음과 문학적 측면
1. 성경의 문학성
2. 문학에 대한 성경신학적 배경
3. 문학에 대한 교의신학적 배경
4. 주석의 본질
5. 언어학
6. 화행이론(speech-act theory)
7. 결론
제15장 복음과 역사적 측면
1. 기독교 신학의 역사철학
2. 복음 그리고 역사에 대한 하나님의 관점
3. 복음 그리고 신자들의 역사관
4. 역사와 성경해석학
제16장 복음과 신학적 측면(1): 신구약과 모형론
1. 구약과 신약의 관계
2. 해석사에서 통일성과 다양성
3. 최근 성경신학에서 통일성과 다양성
4. 신약과 구약 사이에서 주제의 양극단
5. 모형론 토론: 모형론의 기초와 본질
6. 예수님과 실재
7. 성경계시에 있는 실재의 측면들
제17장 복음과 신학적 측면(II): 성경신학과 조직신학
1. 복음적 성경신학의 기초
2. 성경신학의 해석학적 역할
3. 조직신학의 해석학적 역할
4. 성경신학과 조직신학의 관계
제18장 복음과 상황화
1. 문화와 이해
2. 상황화의 현대 출현
3. 상황화에 따르는 문제점
4. 상황화에 대한 성경신학은 있는가?
5. 번역에서 상황화
제19장 그리스도의 해석학
1. 요약 355
2. 그리스도 인격의 해석학
3. 그리스도 사역의 해석학
4. 그리스도 영광의 해석학
5. 그리스도 영의 해석학
6. 그리스도인들과 그들의 성경: 실제적인 해석학
후기
참고문헌
인명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