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선교/전도
· ISBN : 9788934114901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15-10-01
책 소개
목차
추천사 1 송덕준 목사: 예수교대한성결교회 총회장/ 5
추천사 2 주삼식 박사: 성결대학교 총장/ 7
추천사 3 노윤식 박사: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회장/ 8
추천사 4 전석재 박사: 한국선교신학회 회장/ 9
서 문/ 11
저자 소개/ 14
제1장 한국 사회의 다문화 상황과 문제/ 구성모/ 19
제2장 구약에 나타난 다문화 이주민 선교신학/ 노윤식/ 51
제3장 신약에 나타난 다문화 이주민 선교신학/ 이수환/ 81
제4장 다문화 이주민을 위한 선교적 목회의 역할/ 이수환/ 111
제5장 이주민 집중지역의 이주민센터를 통한 목회 전략/ 신상록·구성모/ 143
제6장 다문화와 상담/ 서영원/ 191
제7장 다문화와 복지/ 윤승범/ 211
제8장 다문화와 선교 교육/ 윤승범/ 237
제9장 북한 이탈주민의 남한 사회적응과 실태/ 김보현/ 265
제10장 한국 교회의 이주민 선교 실태와 미래 방향/ 구성모/ 305
저자소개
책속에서
다종교 현상의 심화에 따라 종교 간의 긴장도 우려되고 있다. 이주민들을 기독교로 개종시키려는 급한 시도보다는 우리 사회의 구성원으로 존재 가치를 인정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타문화와 타종교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그들과 함께 살아가는 노력이 중요하다.
우리는 히브리 민족의 정체성에서 ‘힘이 없어 유리하며 고통당하는 이방인들이라 할지라도 하나님을 믿고 의지하는 자들을 이스라엘로 편입시키는 하나님의 뜻’에서, 다문화 이주민 선교신학을 찾을 수 있다.
한국 교회는 다문화 이주민들에 대한 갈등의 해소를 위해서 정부와 함께 파트너십을 발휘함과 동시에 다문화 한국어 교육, 다문화 성경 교육, 다문화 상담사의 역할, 사회복지 차원에서의 다양한 선교적 목회의 역할을 감당해야 한다. 한국 사회가 다문화 이주민들에 대한 변함없는 관심에 따라 가장 긴급한 과제는 한국 교회의 선교적 목회의 역할로 목회자와 그리스도인들이 그들에 대해 포용과 배려를 아끼지 않는 열린 마음과 다문화 이주민 선교를 위한 전문적인 사역자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