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16219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17-02-28
책 소개
목차
추천사 1 (서철원 박사, 전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조직신학 교수) 5
추천사 2 (김재성 박사,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조직신학 교수) 8
편집자 서문 (고경태 박사, 광주 주님의교회 담임목사) 17
제 1 장
김세윤의 유보적 칭의론 유감 / 최덕성 박사 25
1. 새 관점 26
2. 유보적 칭의론 29
3. 나무와 열매 31
4. 질문 33
5. 나의 신앙고백 35
제 2 장
사도 바울에 대한 J. G. Machen과 김세윤의 이해 연구
- 『바울 종교의 기원』과 『바울 복음의 기원』을 중심으로 / 고경태 박사 38
1. 서론 38
2. 메이천과 김세윤의 저술 본문 비교 44
3. 결론 68
제 3 장
김세윤의 예수 이해
- 『그 ‘사람의 아들’ - 하나님의 아들』을 중심으로 / 고경태 박사 73
1. 서론 73
2. 김세윤의 신학의 기초: 역사성, 동시성, 진정성 75
3. 김세윤의 예수 이해 80
4. 결론 91
제 4 장
김세윤 신학에 대한 비평적 이해 / 임진남 목사 94
1. 김세윤은 ‘예수는 세례 요한의 제자’라고 주장한다 96
2. 김세윤의 신학의 전제는 성경에 대한 역사적 비평이다 100
3. 예수의 광야 시험은 단지 환상이다 105
4. 예수는 하나님의 ‘계시의 중계자’인가? ‘구원의 중보자’인가? 108
5. 김세윤은 정통 삼위일체를 인정하는가? 114
6. 김세윤의 구원은 ‘하나님과 같이 되는 것’이다 117
7. 김세윤은 성경의 무오성과 완전성을 부인한다 120
8. 김세윤은 여성 안수 주장을 위해 정통 성경 해석을 부인한다 123
9. 칭의에 대하여 개혁교회가 이미 배격한 사상을 주장하고 있다 131
10. 김세윤은 종교개혁의 칭의의 의미를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137
제 5 장
김세윤의 『칭의와 성화』 비평적 독서 / 고경태 박사 142
1. 김세윤은 전통적 칭의 개념을 수정하는 것을 목적한다 144
2. ‘칭의와 성화가 동의어’라는 것은 ‘칭의와 성화가 없는 것’이다 150
3. 법정적 칭의는 종교개혁(기독교)의 핵심사상 154
4. 김세윤은 원죄와 피의 속죄를 부정한다 160
5. 김세윤의 데살로니가전서 탁월한 칭의 이해(?) 그러나 죄사함의 복음은 없다 166
6. 김세윤의 고린도전·후서에서 칭의 이해: 깨달음으로 하나님과 관계에 들어간다 172
7. 김세윤의 하나님 나라의 백성되기 이해: 세례에서 시작함 177
8. 김세윤은 그리스도의 현재적 통치를 신비한 성령의 방식으로 이루어진다고 주장한다 181
9. 김세윤은 예수 그리스도의 종말 중보(중재) 역할함을 주장한다 184
10. 김세윤은 칭의와 성화를 동의어로 주장한다: 신자는 윤리준수와
사회변혁의 주체 186
11. 김세윤은 삼위일체적 하나님의 은혜로 사회, 선교, 문화 변혁을
주장한다 189
12. 하나님의 대행자 예수 그리스도의 현재 통치: 이중 사랑=사회 정의실현 193
13. 칭의/성화는 직업에서도 이루어진다? 196
14. 행위대로 심판을 주장함: 행위 구원과 긴밀하게 연관됨 201
15. 김세윤은 예정과 성도의 견인과 함께 탈락의 가능성을 둔다 205
16. 『칭의와 성화』 비평적 독서를 마무리하면서… 208
제 6 장
김세윤의 유보적 칭의론 인터뷰에 대한 비판 / 장부영 박사 213
1. 서론 213
2. 칭의 214
3. 칭의와 신앙행위 223
4. 칭의(중생)와 궁극적 타락 234
5. 신학적 접근 방법 241
6. 상급론에 대하여 247
7. 결론 250
제 7 장
왜 ‘이신칭의’ 교리를 지켜야 하는가? / 서문 강 목사 253
1. 들어가는 말 253
2. 이신칭의 교리의 대전제는 무엇인가? 257
3. 전적으로 절대적으로 하나님께만 속한 구원 264
4. ‘이신칭의’ 교리의 역설(逆說)과 그 핵심 265
5. 복음을 포괄적으로 표현한 ‘이신칭의’ 교리 267
6. 칭의의 효력의 영원성 268
7. 이신칭의 교리의 역동성 269
8. ‘이신칭의’ 교리에 대한 공격들의 패턴과 그에 대응하는 우리의 자세 272
9. 결론 275
제 8 장
김세윤의 칭의와 성화에 대한 관점 비판/ 이윤석 박사 277
1. 서론 277
2. 개혁주의 구원론이란? 279
3. 김세윤의 주장과 개혁주의 관점의 비판 287
4. 결론 302
제 9 장
칭의와 그리스도와의 연합 / 리차드 B. 개핀(Richard B. Gaffin Jr.) 박사 304
1. 『기독교 강요』 안에서 칭의: 1536-1559년 판까지 305
2. 그리스도와의 연합과 이중 은혜 309
3. 연합, 전가 그리고 칭의 323
부 록
1. 칭의를 주시는 분은 반드시 성화를 이루신다 / 정이철 목사 338
2. 속지말라, ‘유보적 칭의론’에 / 이경섭 목사 349
3. 종교개혁 500주년, 흔들리는 ‘구원론’ / 김진영 기자 356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김세윤의 칭의론은 ‘언약적 신율주의’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우리는 그리스도의 복음을 믿을 때, 의인이라고 칭함(Justification by Faith, 이신칭의[以信稱義])을 받는다고 믿는다. 그러나 ‘언약적 신율주의’는 종말론적 유보 곧 구원이 벌써 이루어졌지만 아직 완성되지 않았다는 구조 속에서 구원론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고 한다. 칭의와 성화, 곧 칭의와 윤리의 관계로 구원 도식을 제시했다.
김세윤의 유보적 칭의론의 핵심 전제는 예수 믿는 자, 즉 구원받은 자의 탈락 가능성이다. 의롭다고 칭함을 받은 자라도 순종이라는 기본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으면 구원에 이르지 못한다고 한다. 칭의의 현재 요소는 성화이다. 이 과정에서 하나님 나라의 백성이며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의 통치에 순종하는 기본자세를 가지고 살지 않는 사람은 탈락한다. 과거에 믿음으로 예수를 주로 고백하여 칭의 또는 구원을 받았다고 하더라도(롬 10:9-10), 종말의 칭의 또는 구원의 완성에 이르지 못하고 탈락한다고 주장한다.
메이천과 김세윤 모두가 그 논의의 시작점이 바울로 보이지만, 사실 두 사람의 시작점은 전혀 다르다. 메이천의 목적은 “기독교의 기원 문제”(the problem of the origin of Christianity)을 논의하는 것이지만, 김세윤은 “다메섹의 바울의 경험”에 대해 논의한다. 메이천의 목적은 자유주의 신학(바울의 복음이 유대 계열이라고 주장하는 브레데와 브룩크너, 이방계열이라고 주장하는 뷰셋)에 대해서 반박하면서 역사적으로 기독교 기원을 밝히는 것이라면, 김세윤의 목적은 바르트(Karl Barth)에게 부족한 복음 개념을 개진시키기 위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