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구약성서 탐구

구약성서 탐구

버나드 W. 앤더슨 (지은이), 김성천 (옮긴이)
기독교문서선교회(CLC)
4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6,000원 -10% 0원
2,000원
34,000원 >
36,0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3,600원
32,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구약성서 탐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구약성서 탐구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16646
· 쪽수 : 1024쪽
· 출판일 : 2017-05-31

책 소개

구약성서를 역사·문학·성서비평학·신학적 접근을 망라하여 통합적으로 다루면서 구약성서에서 이야기적 요소와 역사적 요소가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구약성서에 대한 기본적 사실을 잘 정리한 다양한 도표와 유물 사진들을 수록했다.

목차

추천사 1 _하경택 박사(장로회신학대학교 구약학 교수) 4
추천사 2 _김정훈 박사(부산장신대학교 구약학 교수) 6
추천사 3 _김구원 박사(개신대학원대학교 구약학 교수) 7
사진 및 보조 자료 목록 14
머리말 20
역자 서문 27

서론 29
1. 한 백성의 이야기 29
2. 히브리 성서와 구약성서 31
3. 성서가 전달하는 이야기 38

제1부: 이스라엘의 탄생 50
제1장 이스라엘의 시작 51
1. 전승의 특성 53
2. 구전 전승 58
3. 출애굽의 서막 63
4. 비옥한 초승달 지대의 인구 이동 67
5. 이스라엘 조상들의 하나님 81
6. 이집트로의 이주 86
7. 이집트에서의 압제 90

제2장 노예 생활에서의 해방 95
1. 모세의 역할 97
2. 하나님의 이름이 계시됨 104
3. 파라오와의 대결 116
4. 바다에서의 승리 127

제3장 광야에서의 계약 140
1. 광야에서의 인도 141
2. 시내 산 계약 149
3. 계약과 율법 155
4. 계약의 파기 168
5. 모세 시대의 신앙 173

제4장 약속의 땅 178
1. 젖과 꿀이 흐르는 땅 179
2. 40년의 광야 생활 182
3. 요단 동편 우회로 189
4. 가나안 진입 193
5. 이스라엘의 가나안 정복: 신명기 역사가의 관점 205
6. 가나안 정복에 관한 대안적 견해: 여호수아서의 나머지 본문와 사사기 1장 209
7. 가나안 점령의 성격 213
8. 지파 연맹의 형성 222

제5장 이스라엘 서사시 전승의 형성 234
1. 전승에서 작품으로 236
2. 고대 서사시 전승의 범위 240
3. 이스라엘 서사시의 개관 244

제6장 신앙과 문화의 충돌 276
1. 가나안 문화의 유혹 277
2. 위기 때의 지도자들 293
3. 지파 연맹 체제의 쇠퇴 303
4. 이스라엘의 마지막 사사 309

제2부 왕국을 형성하는 이스라엘 316
제7장 이스라엘의 통일왕국 317
1. 국제 상황의 호조 318
2. 이스라엘의 초대 왕 사울 319
3. 다윗, 이스라엘 국가의 설립자 329
4. 솔로몬의 영광 347
5. 신앙의 새로운 지평 359

제8장 분열 왕국과 예언자들의 활동: “이스라엘을 괴롭게 하는 자여” 364
1. 예언에 대한 기본적 이해 367
2. 분열 왕국 374
3. 미가야와 400명의 예언자 392
4. 디셉 사람 엘리야 397
5. 엘리사와 오므리 왕조의 말기 409

제9장 북이스라엘의 멸망: “처녀 이스라엘이 엎드러졌도다” 412
1. 예후의 혁명 413
2. 여로보암 2세 419
3. 드고아의 목자 아모스 428
4. 호세아의 예언 442
5. 사마리아의 멸망 460

제10장 남유다의 위기: “사망과 계약한 유다” 463
1. 웃시야 시대 464
2. 이사야서 467
3. 시골 출신의 예언자 미가 491
4. 이사야의 후기 활동 496

제11장 모세 율법의 재발견 512
1. 계약에 대한 상이한 견해들 513
2. 므낫세, 남유다 최악의 왕 515
3. 예언의 새로운 부흥 523
4. 신명기 개혁 운동 533
5. 신명기 538
6. 계약의 갱신 543
7. 신명기 개혁 운동의 한계 549
8. 하박국의 파수대 555
9. 신앙과 민족주의 557

제12장 왕국의 멸망 558
1. 고통 받는 예언자 예레미야 559
2. 예레미야서 560
3. 여호야김 시대 567
4. 예레미야의 고백록 579
5. 시드기야 시대 587
6. 심판의 날 너머 601

제3부 새로운 계약 공동체 607
제13장 바벨론의 강가에서 608
1. 흩어진 유대인 609
2. 제사장 에스겔 610
3. 애가와 애곡과 재앙 618
4. 새로운 시작에 대한 약속 630
5. 바벨론 포로 생활 635
6. 전승의 보존 638
7. 제사장 전승의 관점 645


제14장 새 시대의 여명 665
1. 새로운 세계의 지평 666
2. 제2이사야의 예언 671
3. 아름다운 소식을 전하는 자 676
4. 창조자와 구원자 682
5. 열방을 향한 빛 690
6. 야웨의 종 694
7. 고난을 통한 승리 703
8. 종과 메시아 709
9. 계속되는 이사야 전승 711
10. 전체로서의 이사야서 714

제15장 제사장의 나라 718
1. 고레스 칙령 720
2. 역대기 역사가들의 저작 723
3. 싹, 스룹바벨 729
4. 재건과 개혁 737
5. 유대교의 설립자 에스라 745
6. 유대 총독 느헤미야 750
7. 율법과 예언자들 753

제16장 이스라엘의 찬양 760
1. 시편 762
2. 예배하는 이스라엘 769
3. 이스라엘의 순례 절기 785
4. 전체로서의 시편 796

제17장 지혜의 시작 800
1. 동방의 지혜 800
2. 이스라엘의 지혜 문학 802
3. 잠언서 809
4. 전도서의 회의주의 819
5. 욥기 829
6. 절망에서 신앙으로 838

제18장 끝나지 않은 이야기 850
1. 유대교 내부의 긴장들 851
2. 헬레니즘 시대 861
3. 지혜 전통의 발전 865
4. 저항 운동 871
5. 다니엘의 묵시 879
6. 하나님이 통치하는 나라 884
7. 히브리 성서를 넘어서 901
8. 이스라엘의 순례 916

연대표 917
참고문헌 928
주제 색인 986
구약성서 책별 논의 목록 1001
별면 사진 1003

저자소개

버나드 W. 앤더슨 (지은이)    정보 더보기
버나드 앤더슨은 예일대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고, 구약을 중점적으로 연구한 학자이자 교수였다. 콜게이트 대학교,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드류 대학교, 인디애나 대학교를 거쳐 마지막에는 프린스턴신학교 구약학 명예교수를 역임했다. 은퇴 후에도, 앤더슨은 보스턴 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1990년대 초까지 강의를 계속하면서 저술 활동을 이어갔다. 앤더슨은 이 책 『구약성서 이해』를 통해 뛰어난 구약학자로 널리 인정받았다.
펼치기
김성천 (옮긴이)    정보 더보기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M.Div.) 미국 The University of Chicago Divinity School(M.A.) 현, 미국 Brandeis University(Ph.D. Cand.) 역서 『고대 근동 문학 선집』(CLC, 2016)
펼치기

책속에서

오경이 몇 개의 문서 전승들로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하더라도, 이러한 자료비평적 분석은 어디까지나 오경 전승의 역동성을 이해하는 데 일차적인 출발점일 뿐이다. 출애굽 이야기가 문서로 정착되기 시작하던 시기(아마도 이스라엘의 왕정 시대)에 앞서, 오랜 시간 동안 시인이나 이야기꾼에 의해 구전으로 전달되었던 구전 전승의 단계가 있었을 것이다. 출애굽 이야기가 왕실이나 제사장 계층에서 문서화된 이후에도 구전 전승은 백성들 사이에서 지속되었다.


고대 이스라엘 및 가나안에서 문자를 이용해 기록을 남기는 기술은 매우 일찍부터 알려져 있었다. 대표적인 가나안 문서로, 오늘날 시리아 북부에 위치한 라스샴라(Ras Shamra)에서 기원전 14세기의 문서들이 발굴되었다. 아마도 새로운 고고학적 발굴을 통해, 고대 이스라엘에서의 문서 기록도 성서에 비쳐진 인상(출 17;14; 24:4; 수 24:26)보다 더 보편화되어 있었다는 증거를 발견하게 될 수도 있다. 한편, 고대 이스라엘에도 기록된 문서가 존재했었다는 간접적 증거가 있다. 고대의 책 제목이 언급된다든지 책의 일부가 인용되는 사례들이 종종 있다. 예를 들어, 민수기에는 “야웨의 전쟁기”라는 책이 언급되어 있다(민 21:14). “야살의 책”은 그 내용 일부가 성서 곳곳에 인용되어 있다. 태양이 중천에 종일토록 머물러 있었다는 기록(수 10:13), 다윗이 요나단의 죽음을 슬퍼하며 지었다는 애가(삼하 1:18-27), 그리고 솔로몬의 성전 봉헌식(왕상 8:13)5이 대표적 예이다.


오므리에 대한 고고학 자료들이 많이 발굴되었는데, 이 고고학 자료들은 그에 대한 성서의 단편적인 기록보다 더 많은 양의 정보를 우리에게 제공해 주었다.22 루브르박물관에는 모압의 왕 메사(왕하 3:4)가 세운 모압 석비(Moabite Stone)가 전시되어 있다. 메사는 북이스라엘 왕 아합(오므리 왕조의 마지막 왕) 때 모압을 다스리던 왕이었다. 아합 왕이 죽자 메사는 북이스라엘의 오랜 지배에서 벗어나게 되었고 이를 기념하기 위하여 석비를 세웠는데, “모압 석비” 또는 “메사 비문”(Mesha Inscription)으로 알려져 있다. 모압 석비에서 메사 왕은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