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선교/전도
· ISBN : 9788934116684
· 쪽수 : 216쪽
· 출판일 : 2017-06-15
책 소개
목차
추천사 1 / 김삼환 목사_ 명성교회 004
추천사 2 / 조용중 박사_한국세계선교협의회 사무총장 005
추천사 3 / 강석형 목사_은현교회 006
추천사 4 / 임성빈 박사_장로회신학대학교 총장 007
저자 서문 008
제1장 _ 이슬람과 꾸란에 대하여 명확하게 이해하고 있는가?
1. 이슬람의 관점에서 본 이슬람 018
2. 기독교 관점에서 본 이슬람과 꾸란 041
3. 제1장 요점: 이슬람과 꾸란의 이해 060
제2장 _ 이슬람과 무슬림에 대한 적절한 태도는 무엇인가?
1. 이슬람에 대한 서구와 한국 그리고 무슬림의 태도 064
2. 이슬람에 대한 기독교인의 태도 088
3. 제2장 요점: 꾸란의 해석 098
제3장 _ 무슬림 커뮤니티에서 어떻게 그리스도를 따를 것인가?
1. 여는 글 102
2. 이슬람 사회가 말하는 이슬람의 온전한 개념 104
3. 무슬림 커뮤니티에서 그리스도를 따르기 위한 지침들 123
4. 1-3장 요점: 관점과 태도와 접근법 153
제4장 _ 한국 이주 무슬림의 현황과 특징
1. 여는 글 157
2. 한국 이주 무슬림의 실태 169
3. 중앙아시아,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이주 무슬림의 특징 173
부록 _ 꾸란학과 하디스학, 시라 나바위야
1. 꾸란학에 대하여 188
2. 하디스학에 대하여 194
3. 시라 나바위야에 대하여 202
저자소개
책속에서
오늘날 이슬람 세계의 여러 문제 특히 IS 등 테러조직이 미국 때문이라고 주장하는 무슬림 엘리트들이 있다. 꾸란이 모든 무슬림들의 법이 되고 있으므로 꾸란을 자의적으로 해석한다면 그들의 테러가 정당화될 수 있다. 그런데 이슬람이 타종교에 대하여 관용과 아량이 있다고 주장하는 무슬림은 꾸란에서 이런 내용과 관련된 구절에 집중하여 기독교인과 공존하자는 말을 얼마든지 할 수 있다. 여기서 우리는 무슬림들 안에서 이슬람에 대한 이해가 서로 다르다는 명확한 사실을 알 수 있다.
순나는 무함마드의 말, 행동과 묵인 사항들이므로 모든 무슬림 남녀는 무함마드가 명한 것과 금한 것을 따라야 한다고 했다. 무함마드는 이슬람이 가져다 준 윤리대로 사람이 살면 고상한 생활을 할 수 있다고 했다. 이슬람은 사람들에게 중용과 중도를 가르쳐준다고 하고 순나는 사람들을 복종하게 가르친다고 한다. 순나는 알라가 진노하는 것을 멀리하게 하고 이슬람에서 지하드는 가장 높은 등급의 예배라고 했다. 따라서 오늘날 꾸란과 순나에서 멀어져버린 무슬림들은 이슬람에서 벗어난 것이다. 결국 이슬람의 본 이미지가 분해되어 버려서 이슬람의 참 이미지가 무슬림들에게서 사라져버렸다.
어휘적 의미에서 무으민과 어근이 같은 ‘이만’은 신뢰라는 뜻이다. ‘이만’의 이슬람 법적 의미는 꾸란과 순나에 여러 차례 사용된다. 교리(아끼다 또는 이으티까드)는 이만과 동의어로 사용된다. 꾸란과 순나에 사용된 이만의 의미는 종교 원리의 책들에 나오는 이만의 개념과 다르다. 꾸란과 순나에서 ‘알이만 빌라히’(al-’imān billāhi)는 알라의 존재하심을 신뢰하고 인정하고 고백하는 것이다. 그리고 ‘알이만 릴라히’(al-imān lillāhi)는 알라에게 순종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슬람’이란 말은 ‘알이만 릴라히’와 같은 의미이고 ‘알이만 빌라히’의 의미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