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선교/전도
· ISBN : 9788934122982
· 쪽수 : 212쪽
· 출판일 : 2021-05-31
책 소개
목차
일러두기 5
머리말 6
제1장 꾸란의 아랍어 10
제2장 꾸란의 해석 26
제3장 꾸란학과 해석의 원리 37
제4장 꾸란 해석자의 요건 46
제5장 꾸란의 구조 52
제6장 꾸란 해석의 단계 68
제7장 꾸란의 이스라일리야트 78
제8장 20세기의 꾸란 해석 92
제9장 꾸란 해석의 현대적 성향 98
제10장 서구의 꾸란학 연구 동향 106
제11장 이상적인 꾸란 해석법 114
제12장 꾸란의 새로운 읽기와 타즈디드 해석 122
제13장 꾸란의 ‘나싸라’는 기독교인들인가? 134
제14장 꾸란의 ‘자히르’는 성경의 ‘literal’인가? 154
제15장 꾸란의 ‘타우라와 인질’은 구약과 신약인가? 166
용어 해설 186
색인 209
저자소개
책속에서
따라서 꾸란의 아랍어와 현대 아랍어가 어순과 어휘, 구문과 의미에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꾸란 해석자들은 꾸란의 아랍어 문법이 현대 아랍어 문법과 차이가 나는 부분을 확인해 봐야 한다. 꾸란에는 오늘날 무슬림이 알고 있는 낱말의 의미와 전혀 다른 의미가 있는 어휘들이 있다.
아랍인들이 꾸란을 잘못 해석하는 이유 중의 하나는 아랍인들이 현대 아랍어와 꾸란의 아랍어가 의미에서 차이가 나는 부분을 잘 모르기 때문이다. 특히 꾸란의 문맥에 따라 달라지는 의미나 문맥에서 밝혀지는 통사적 시제를 간과하는 경우 그리고 수사법을 몰라서 단어를 그냥 외적 의미로 해석할 때 오류가 생긴다.
꾸란학은 꾸란을 위해 기여하는 것들을 다루고 그 의미를 찾는데 관심을 두지만, 해석의 원리는 알라의 책에 대한 올바른 해석을 이끌어주는 규칙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그런데 해석의 방법은 전수적인 방법이든 이성적인 방법이든 암시적인 방법이든 알라의 의도를 찾기 위하여 해석자가 행동하는 방식이다.
19세기의 과학과 이성이라는 근대성(모더니티)의 도전으로 인도와 이집트에서 꾸란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 등장했다. 순나를 다시 생각하는 새로운 풍조가 곧 꾸란의 의미를 다시 생각하는 결과로 연관되었다. 새로운 해석 방식에서는 꾸란의 고전 주석서들을 너무 과도하게 의존하지 않는 방식을 따랐다. 순나에 대한 이런 비평은 무슬림들이 꾸란을 다소 다르게 해석하는 결과를 낳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