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선교/전도
· ISBN : 9788934124948
· 쪽수 : 520쪽
· 출판일 : 2022-11-10
책 소개
목차
추천사 1 서정운 박사︱장로회신학대학교 명예총장 1
추천사 2 강석형 박사︱은현교회 담임목사 2
추천사 3 김수완 박사︱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3
추천사 4 김아영 박사︱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 5
추천사 5 변창욱 박사︱장로회신학대학교 교수 6
추천사 6 서원모 박사︱장로회신학대학교 교수 7
그림 목록 14
무슬림들의 신앙과 실천 15
종교의 신앙과 실천 총서 17
제5판의 서언 19
역자 서문 21
서론 25
제1부 고전 이슬람의 형성 요인 31
제1장 이슬람 이전 역사 33
제2장 꾸란 52
제3장 무함마드 85
제2부 이슬람 정체성의 출현 108
제4장 정치적 행동과 이론 111
제5장 신학적 담론 131
제6장 법의 발전 154
제7장 종교의식의 수행 176
제3부 고전 이슬람 정체성의 대안적 비전 199
제8장 시아파 201
제9장 수피 수행 223
제4부 이슬람 정체성의 강화 243
제10장 지적 문화 245
제11장 이슬람의 중세기 비전 260
제5부 이슬람의 근대적 비전 282
제12장 근대성의 형성 284
제13장 무함마드와 근대성 319
제14장 꾸란과 근대성 363
제15장 정체성의 이슈: 종교의식과 정치 402
제6부 이슬람의 새로운 비전 438
제16장 여성, 지성 그리고 도전들 439
제17장 21세기 무슬림의 인식 476
용어 해설 498
색인 508
책속에서
금지(하람, ḥarām)와 허용(할랄, ḥalāl)의 이분법은 꾸란에 스며들어 이슬람 윤리의 기초적인 요소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꾸란에 대한 윤리적 세계관이 작동해 신성 모독이나 인간 존재에 대한 알라의 뜻, 극락에 갈 자격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는 도덕적 범주에 대한 이해와 통찰력을 제공한다.
다시 한번 언급하지만 무함마드의 대중적인 이미지는 그가 꾸란을 내려받는 자보다는 훨씬 더 중요한 사람으로서 공동체의 구원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슬람은 두 가지 권위의 원천인 꾸란과 무함마드를 중심으로 전개되며, 이 둘은 이슬람 이전 시대 아라비아 공동체에서 확고하게 자리를 잡아 갔다.
그래서 비록 모두 무슬림 시스템에서 전체의 일부이지만, 법과 도덕으로 간주될 수 있는 것 사이에 분리가 있다. 왜냐하면, 모든 법은 궁극적으로 개인이 내세에 잔나(극락)로 들어가도록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동시에 (역사상 한 시점에서 무으타질라파가 옹호했던) 선과 악의 이분법이 아니고, 다섯 가지 도덕적 범주의 행동이 채택된 것은 이슬람법의 현실적 성격을 보여 준다. 법은 모든 무슬림이 그들 행동의 모든 면에서 성자가 되는 것은 아니지만, 법이 제공할 수 있는 완전성을 추구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깨닫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