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17391
· 쪽수 : 496쪽
· 출판일 : 2017-11-30
책 소개
목차
추천사 1 (유재경 박사┃영남신학대학교 실천신학 교수)
추천사 2 (홍인종 박사┃한국목회상담협회 회장, 장로회신학대학교 실천신학 교수) 외
역자 서문
기고자 소개
머리말 / 조지 H. 갤럽
서론 / 올리버 J. 모건, 멀 R. 조던
제1부 맥락 설정하기
제1장 중독과 영성의 역사 / 올리버 J. 모건
제2부 임상적 관점들
제2장 영적 질병의 증상으로서 물질사용장애 / 해럴드 E. 도웨이코
제3장 중독적인 마음 치유하기 / 리 잼폴스키
제4장 영성에 대한 체계적 관점: 가족치료의 자원으로서 하나님과 12단계 프로그램 / 데이비드 베렌슨
제5장 중독의학의 실제에서 영성에 대한 저항의 문화적 요소들을 극복하기 / 데이비드 E. 스미스, 리차드 B. 시모어
제6장 여러 개의 길, 하나의 여정: 진실을 향한 한 여성의 길 / 샬럿 캐슬
제3부 목회-임상적 그리고 회복의 관점들
제7장 무조건적인 내어맡김 / 로버트 앨버스
제8장 회복의 영성: 회복은 사랑하는 법을 배우는 것이다 / 어니 라슨
제9장 도박꾼들을 위한 영성: 도박 회복에서 자존감의 역설 / 조셉 W. 시아로키
제4부 목회자들과 영적 지도자들
제10장 사랑에 사로잡힌 바 되어 / 린 G. 브레이크먼
제11장 금단을 넘어 영적 통합을 향하여 / 하워드 J. 그레이
제12장 유대인의 관점으로 본 중독과 회복 / 캐롤 글래스
제5부 결론과 반추
제13장 중독과 영성: 임상적-신학적 반추 / 올리버 J. 모건, 멀 R. 조던
책속에서
우리가 해리 티이보의 연구에서 살펴보았듯이, 회복에서 영성적 요소의 역할에 대한 초기의 관심은 중독과 관계되는 ‘내어맡김’과 ‘회개’와 같은 현상에 대한 어떤 이해를 가져왔다. 이것들은 전통적으로 과학보다는 종교에 더 친숙한 용어들이다. 그러나 그것들은 중독과 회복을 연구하는 데 있어서 결정적인 어떤 것을 가리킨다.
나는 나의 삶에서뿐만 아니라 중독을 다루는 심리학자의 한 사람으로서 중독 행위가 알코올 혹은 다른 약물들에 대한 의존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화학물질들에 대한 중독은 현재 우리 인간의 상태에 대한 하나의 은유라는 것이 나의 믿음이다.
중독의 뿌리는 그것이 약물이든, 관계이든, 혹은 빛나는 새 차이든, 우리 자신 밖에 있는 어떤 것에서 행복을 추구하려는 데서 발견할 수 있다. 우리가 자신의 마음이 아니라 세상에서 행복을 찾으려고 하는 한, 우리는 중독의 심한 고통에 빠질 수 있다. 우리의 마음이 중독의 악순환 속에 있다면, 마음의 평화에 이를 수 없다.
중독이 전인적인 현상이라는 사실과 중독자의 영적 상태가 중요한 현실이라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중독자들에 대한 “영적 평가”는 그 질병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요인이다. 편의상, 이 글에서는 알코올중독이 중독의 범주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