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조직신학 연구 방법론

조직신학 연구 방법론

로후스 레온하르트 (지은이), 장경노 (옮긴이)
기독교문서선교회(CLC)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1,500원 -10% 0원
1,750원
29,750원 >
31,500원 -10% 0원
0원
31,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개 28,85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조직신학 연구 방법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조직신학 연구 방법론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17650
· 쪽수 : 840쪽
· 출판일 : 2018-01-31

책 소개

조직신학이 방대하고, 난해해서 쉽게 포기할 수 있는 독자에게 조직신학을 쉽게, 적은 분량으로, 정확하게 이해하며, 관련 원전까지 소화할 수 있는 책이다.

목차

추천사 1 정홍열 박사(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조직신학 교수)
추천사 2 김도훈 박사(장로회신학대학교 조직신학 교수)
추천사 3 이준섭 박사(호남신학대학교 역사신학 교수)
재판 서문
역자 서문
머리말
.이 책의 구성
.이 책의 활용법

제1부 교리신학사적 개괄
제1장 고대 교회
1.1 헬라로마 세계와의 충돌
1.2 정통 신앙(Rechtglaubigkeit)을 두고 일어난 교회 내적 분쟁
1.3 기독교 교리 규범의 확정
제2장 아우구스티누스와 중세 기독교
2.1 아우구스티누스의 신학
2.2 로마와 비잔티움의 결별
2.3 중세 스콜라신학
2.3.1 스콜라신학 초기
2.3.2 스콜라신학 전성기
2.3.3 스콜라신학 후기
제3장 종교개혁과 그 이후
3.1 유럽 기독교의 종파화
3.2 로마가톨릭
3.2.1 트리엔트 공의회(1545-1563)
3.2.2 제1차 바티칸 공의회(1869-70)
3.2.3 제2차 바티칸 공의회(1962-1965)
3.3 성공회
3.4 루터교회
3.5 개혁교회
3.6 로이엔베르크 합의신조와 교회 연합
제4장 종교개혁에서 계몽주의까지
4.1 들어가는 말
4.2 구개신교 정통주의
4.3 독일 루터교 경건주의
4.4 영국의 이신론
4.5 독일 신신학의 전제 조건, 특징, 주창자
4.6 고트홀트 에프라임 레싱과 임마누엘 칸트
4.6.1 레싱과 단편 논쟁
4.6.2 칸트의 종교와 도덕 이해
제5장 19세기 개신교신학
5.1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
5.2 19세기 독일 개신교신학 학파
5.3 제국의 자유주의 신학
5.3.1 알브레히트 리츨
5.3.2 아돌프 폰하르낙
5.3.3 에른스트 트뢸취
제6장 20세기 개신교신학
6.1 1914/1918년 이후 신학의 새 출발
6.1.1 서론
6.1.2 종교 사회주의
6.1.3 루터 부흥운동
6.1.4 변증법적 신학
6.2 바르머(Barmer)신학 선언과 변증법적 신학 노선의 분열
6.3 전후 독일 개신교신학
6.3.1 비신화화의 문제점
6.3.2 독일 개신교 내의 ‘역사’ 재발견
6.3.3 해방신학과 여성신학

제2부 신학 주제의 체계적 전개
제1장 종교철학적 서문
§1. 종교
1.1 ‘종교’ 개념의 유래와 근대적 특징
1.1.1 ‘종교’(religio)의 어원과 의미
1.1.2 근대적 종교 개념과 종파주의 시대
1.1.3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의 종교에 대한 새로운 이해
1.2 기독교와 타종교의 관계
1.2.1 기독교의 절대성 주장과 에른스트 트뢸취의 문제 제기
1.2.2 그리스도 계시의 이름 아래 이루어진 칼 바르트의 종교 비판
1.2.3 현대 가톨릭에서 본 기독교회와 비기독교 종교
1.3 세속 종교 이론
1.3.1 19세기 종교 비판: 루트비히 포이에르바흐와 칼 마르크스
1.3.2 20세기 사회철학적 종교 이론: 헤르만 뤼베
제2장 기초신학
§2. 신학
2.1 신학 분과로서의 조직신학 또는 교의학
2.2 신학(조직신학 또는 교의학)의 대상
2.3 학문으로서의 신학
2.3.1 과제에 대한 더 정확한 이해
2.3.2 하위 학문으로서의 신학 - 토마스 아퀴나스
2.3.3 신학 진술은 학문적 가설인가? - 빌프리트 왜스트와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
2.3.4 모든 학문은 학문 이전의 확신에 의존한다 - 아일러트 헤름스
§3. 계시
3.1 성경적 증거와 관련 교의학적 문제점
3.2 계시의 포괄적 이해와 배타적 이해
3.2.1 포괄적 계시 이해
3.2.2 배타적 계시 이해
3.2.3 모든 자연신학을 거부한 칼 바르트
3.3 슐라이어마허의 계시 개념 변형과 현대신학적 의미
§4. 신앙(믿음)
4.1 서론
4.2 행위로서의 믿음과 믿음의 내용
4.2.1 고대 교회와 중세의 전통
4.2.2 종교개혁의 믿음 이해
4.3 신앙과 이성
4.3.1 계몽주의가 이해한 신앙과 이성
4.3.2 근현대신학이 이해한 신앙과 이성
§5. 성경
5.1 서론
5.1.1 경전으로서의 성경의 형성
5.1.2 초대 교회와 중세 시대의 성경
5.2 성경의 규범적 의미
5.2.1 종교개혁의 성경 교리
5.2.2 로마가톨릭의 성경 교리
5.2.3 역사-비평 방법의 관철과 이것이 개신교신학에 대해서 갖는 의미
5.3 현대신학에서 성경의 권위
5.3.1 기독교 정경 안에 유대교 경전이 들어오다
5.3.2 현대 개신교 안에서 종교개혁의 성경 원리
5.3.3 현대 에큐메니칼 대화에서 이해된 성경의 권위
제3장 교의학의 개별 주제
§6. 신론 I: 신의 존재, 본질, 속성
6.1 철학적 신 존재 증명
6.1.1 신 존재 증명의 의미와 그 유형
6.1.2 존재론적 신 존재 증명: 캔터베리의 안셀모와 르네 데카르트
6.1.3 토마스 아퀴나스의 우주론적 신 존재 증명
6.2 신 존재 증명의 근대적 위기와 현대적 의미
6.2.1 신 존재 증명에 대한 임마누엘 칸트의 비판
6.2.2 신 존재 증명에 대한 현대신학과 철학의 판단
6.3 하나님의 본질과 속성
6.3.1 하나님 본질 규정의 출발점 - 신 인식의 난해성
6.3.2 하나님 본질 규정의 출발점 - 하나님의 계시
§7. 신론 II: 삼위일체 하나님
7.1 서론
7.2 삼위일체 교의의 내용
7.2.1 교의 형성 이전의 입장
7.2.2 삼위일체 안에서의 구별
7.2.3 아우구스티누스의 삼위일체 신학에 대한 공헌
7.3 삼위일체론에 대한 비판과 현대 삼위일체론
외론(外論) 1. 기독교 초상학(Ikonographie)의 삼위일체 묘사
1. 동일하게 그려진 세 인물
2. 은혜의 의자
§8. 하나님의 창조와 세계 통치
8.1 서론
8.2 기독교 창조 교리의 핵심 사상
8.2.1 삼위일체 하나님의 자유로운 행위로서의 창조
8.2.2 무 전제의 창조
8.3 창조 신앙과 자연 과학
8.4 하나님의 사역
외론(外論) 2. 신정론 문제
1. 문제 서술
2. 신정론에 대한 라이프니츠의 해결책
3. 신정 문제에 대한 기독교와 신학의 입장
§9. 인간과 죄
9.1 창조(피조 세계) 안의 인간
9.1.1 비가시적 피조물(천사의 세계)
9.1.2 가시적 세계
9.1.3 인간
9.2 하나님의 형상과 죄인인 인간
9.3 현대신학의 인간과 죄 이해
9.3.1 20세기의 신학적 인간학
9.3.2 현대신학의 죄론
§10. 예수 그리스도(기독론)
10.1 서론
10.2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과 사역에 대한 고대 교회의 교의
10.2.1 성육신한 말씀(Logos)의 신성과 인성
10.2.2 성육신한 말씀의 구원 사역
외론(外論) 3. 중세 예술에 반영된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
10.3 종교개혁 신학의 기독론의 특징
10.3.1 그리스도의 인격에 대한 교리
10.3.2 그리스도의 이중적 신분에 대한 교리(비움과 높임)
10.3.3 그리스도의 세 가지 직분에 대한 교리(선지자, 제사장, 왕)
10.4 현대 기독론의 문제
10.4.1 기독론 교의에 대한 현대적 비판
10.4.2 역사적 예수에 대한 질문
10.4.3 부활의 역사성
외론(外論) 4. 로마가톨릭교회의 마리아 교리(마리아학)
1. 마리아, 하나님의 어머니
2. 마리아의 평생 동정
3. 마리아의 원죄 없는 잉태
4. 마리아의 승천
§11. 인간의 구원(구원론)
11.1 성령(성령론)
11.2 죄인의 칭의
11.2.1 아우구스티누스에서 중세 후기까지
11.2.2 마르틴 루터의 칭의론
11.2.3 트리엔트 공의회의 칭의론
11.2.4 칭의에 대한 공동 선언
11.3 하나님이 미리 정했다는 교리(예정론)
§ 12. 구원의 수단
12.1 율법과 복음
12.1.1 서론
12.1.2 종교개혁 신학의 관점에서 본 율법과 복음
12.1.3 율법과 복음에 대한 20세기의 이해
12.2 성례
12.2.1 성례 개념의 일반적 이해
12.2.2 세례
12.2.3 성만찬
12.3 로마가톨릭의 성례론 개요
§13. 교회에 대한 교리(교회론)
13.1 신약 성경과 신앙고백의 교회 이해
13.2 종파간 교회 이해의 차이
13.2.1 로마가톨릭의 교회 이해
13.2.2 종교개혁의 교회 이해
13.2.3 신앙이 살아가는 공간으로서의 기독교 교회
13.3 교회와 국가 또는 종교와 정치의 관계
13.3.1 고대 교회로부터 정치적 아우구스티누스주의의 종말까지
13.3.2 종교개혁의 신학적 관점에서 본 교회와 국가
13.3.3 다원주의 속의 개신교회
§14. 마지막 일들에 대한 교리(종말론)
14.1 서론: 기독교 종말론의 성경적 배경과 그 주제
14.2 고대 교회 종말론의 문제점과 그 안에서 내려진 근본 결정
14.2.1 서구 기독교 종말론의 토대를 정립한 아우구스티누스
14.2.2 중세 종말론의 문제점
외론(外論) 5. 중세 문학과 표현 예술에 표현된 종말론
14.2.3 종교개혁의 종말론
14.3 현대 종말론의 문제점
14.3.1 종말론과 역사
14.3.2 종말론과 인간론
제4장 윤리학
§15. 교의학과 윤리학의 관계
15.1 종교개혁 이전의 기독교가 고대 덕 윤리를 비판적으로 수용하다
15.1.1 기독교 이전의 덕 이론 계승 - 암브로시우스
15.1.2 기독교 이전의 덕 이론에 대한 비판- 아우구스티누스
15.1.3 교리학의 응용 학문인 윤리학
15.2 종교개혁과 근대의 지평에서의 신학적, 철학적 윤리학
15.2.1 종교개혁 윤리학 안에서의 지상적 삶의 가치의 상향 조정
15.2.2 윤리와 종교의 분리 - 크리스티안 볼프와 임마누엘 칸트
15.3 근현대 개신교 내에서 교의학과 윤리학의 관계

참고문헌
신학 용어 해설
주제 색인

저자소개

로후스 레온하르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일 Kirchliche Hochschule in Naumburg/Saale u. Leipzig(1. theologisches Examen) -독일 Universitat Rostock(Dr.theol./Habilitation) -독일 Universitat Leipzig 조직신학 교수 저서 -Religion und Politik im Christentum(Baden-Baden: Nomos, 2017) -Hier stehe ich, ich kann nicht anders!: Zu Martin Luthers Staats-verstandnis(Baden-Baden: Nomos, 2015) 공저 -Erinnerte Reformation(Berlin: de Gruyter, 2008) 공저 -Skeptismus und Protestantismus(Tubingen: Mohr Siebeck, 2003) 외 다수
펼치기
장경노 (옮긴이)    정보 더보기
총신대학교(B.A.) 독일 Eberhard Karls Universitat Tubingen(Magister Theologiae) 목사 안수(한국 기독교대학 신학대학원 협의회) 한어울기독교신학연구소장
펼치기

책속에서

트리엔트 종교회의가 종교개혁과의 결별을 의미했다면 제1차 바티칸 공의회는 계몽주의와의 결별을 뜻했다. 이것은 구체적으로 인간 이성의 통찰이라는 척도를 가지고 성경 및 모든 신학·교의적 진술을 비판적으로 검토해야 한다는 요구와의 결별이었다.
공의회는 이러한 요구에 대항하여 신앙의 진리를 강조했다. 이성의 지식 외에도 그것보다 더 광범위한 지식이 있다. 예컨대 사람과 세상의 근원과 목적을 알려 주는 진리가 그러한 것이다. 이러한 진리는 인간이 스스로 얻을 수 없고 오직 신적 계시에 근거해서만 접근이 가능하다(§ 4.3.2).
그런데 그리스도 사건에서 정점에 도달한 신적 계시의 내용은 교황을 수장으로 하는 로마가톨릭교회 안에 유일하게 보호·전승되었다. 따라서 교황의 오류 없는 교직의 책무는 교의와 삶에 대한 구체적인 질문과 관련해서 계시의 권위를 관철해야 한다(§ 13.2.1).


고대 교회 이래로 사람들은 교회의 교리와 실천이 그 기준이 되는 성경적 진술과 일치하는지를 지속적으로 물었다. 한편에서는 교회 안에 전승된 사도적 전통(Tradition)이 일찍부터 성경을 적합하게 해석하기 위한 열쇠로 고려되었다(테르툴리아누스에 대한 언급, 1.2). 다른 한편에서는 교회 내적인 논쟁을 하면서 주장의 근거로 성경을 제시하기 시작했는데 그것은 항상 전통을 비판하기 위해서였다.
루터는 교회의 마땅한 선포 내용이 오직 성경에 의해서(라. sola scriptura) 결정된다고 주장하면서 교회의 교리와 실천에 대한 성경의 비판 기능을 매우 강조했다. 이로써 종교개혁 과정에서 교회와 성경의 관계에 대한 질문은 그때까지 알지 못했던 폭발력을 드러냈다. ‘오직 성경으로’라는 주장으로 루터는 성경의 권위에 대한 전통적 교리를 두 측면에서 극단화했다.

(1) 구원에 필요한 모든 것이 성경에 있다.
루터는 집중적인 성경연구를 통해서 아주 개인적으로 이러한 통찰에 이르렀다. 루터는 신학적 측면에서 그리스도가 성경의 유일한 내용임을 확신했다. 달리 말하면 성경이 최종적이며 결정적으로 말하는 것은 인간을 부르는 하나님이다.
성경은 죄인임에도 불구하고 그리스도를 통해서 은혜로 받아들여진 것을 믿고 신뢰하도록 인간을 부르는 하나님을 이야기한다. 성경이 선포하는 것이 구원에 결정적인 의미를 갖기 때문에 성경 자체가 실제로 말하도록 하고 신학 논쟁에서 성경을 최종적 권위와 규범적 판결 기구로 인정하고 인간의 모든 해석을 성경에 종속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구원론(그. soteria)은 인간의 구원에 대한 교리다. 더 정확히 말하면 구원은 하나님이 죄와 죽음에 떨어진 인간을 구원하는 것이다. 따라서 구원론의 대상은 인간 삶에 실제적으로 참여하면서 인간을 구원하는 하나님의 행위다.
이 같은 대상 규정에서 구원론이 기독교 교의학의 다른 주제와 맺는 내용상 중요한 연관이 드러난다.

⑴ 하나님의 세계통치 교리와의 연관. 인간을 구원하는 하나님의 행위가 현실화되는 것은 하나님의 의지 안에 확정된 인간에 대한 구원결정(Heilsbeschluss)을 전제한다. 그리고 이 구원결정은 구원을 향하도록 정해진 인간에 대한 규정을 포함한다.
⑵ 삼위일체론과의 연관. 각 사람에게 미치는 삼위 하나님의 구원 행위 곧 성령의 파송을 통한 인간의 성화(sanctificatio)는 우선적으로 성령에게 귀속되는 삼위의 외적 사역이다(§ 7.2.2).
⑶ 기독론과의 연관. 구원론은 하나님의 보편적 구원 의지가 각 사람에게 실제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다루는데 이 구원 의지는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과 사역에서 계시되었다(§ 10.2). 따라서 높아진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세계통치에 참여한다(§ 10.3.3).
⑷ 신앙과의 연관. 하나님의 계시에 대한 인간의 응답인 신앙은 하나님이 선사한 구원의 관계 안으로 인간이 신뢰하며 들어가는 사건이다(§ 14.1).
⑸ 종말론과의 연관. 그리스도의 사건이 지니는 구원의 의미를 믿는 그리스도인은 이미 현재에서부터 미래에 완성되길 소망하는 하나님의 종말론적 구원에 참여한다(§ 14.1)
이 연관들에서 다음과 같은 구원론의 주제가 드러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