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선교/전도
· ISBN : 9788934117889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18-03-10
책 소개
목차
한글판 서문 이태웅 선교학 박사(한국글로벌리더십포커스 원장)
편집자 서문 박해와 순교에 관한 놀라운 이야기 / 윌리엄 테일러(전 WEA 선교위원회 대표)
편집자 소개 및 개관
윌리엄 테일러(전 WEA 선교위원회 대표), 레그 레이머(WEA 선교위원회 위원),
안토니아 반 데르 미르(브라질복음주의선교센터 개발 코디네이터 )
머리말_ 고난의 신학 / 아지트 페르난도(스리랑카 Youth for Christ 대표)
제1장 창세기에서 요한계시록까지 / 볼프강 해데
제2장 번영복음에 대한 성찰 / 페미 B. 아델리예
제3장 선교사 훈련 / 롭 브라인졸프슨
제4장 고난과 박해 그리고 순교에 대해 교회와 선교단체 준비시키기 / 스티븐 판야 바바
제5장 교회와 현지 선교사들을 준비시키기 북반구 / 폴 에스타브룩스
제6장 교회와 현지 선교사들을 준비시키기: 남반구 / 브라질의 관점 파울로 모레이라 파일로?
제7장 선교단체를 준비시키기(미국의 관점) / S. 켄트 팍스
제8장 선교사 가정(준비와 지지, 그리고 회복) / 로라 매 가드너
제9장 순교한 선교사의 자녀들 이야기(경험하고, 회복하고, 돌아오다) / 데이빗 톰슨
제10장 순교자의 소리, 캐나다
제11장 정책 추천 국제 위기 컨설팅
제12장 박해받는 교회들을 향한 사역의 베스트 프랙티스 / 종교적 자유 파트너십
제13장 박해받는 자들로부터 우리는 무엇을 배우는가? / 로널드 R. 보이드-맥밀란
제14장 인권과 박해(선교와 종교의 자유라는 틀) / 토머스 쉬르마허 & 토머스 K. 존슨
제15장 박해받는 자들을 위한 옹호 / 레그 레이머
제16장 신학, 전략, 참여에 관한 성찰 / 크리스 세이플
제17장 인간-유발트라우마 피해자상담 / 패트리샤 미어스마
제18장 끊임없는 기도(박해받는 교회로부터의 교훈들) / 민디 벨쯔
제19장 부르심(정확한 정보, 간절한 중보기도, 사려 깊은 옹호 그리고 용기 있는 행동) / 페이스 J. H. 맥도넬
제20장 우리 여정의 마지막 문을 향하여(또 다른 세상에 참여하기) / 윌리엄 D. 테일러, 안토니아 반 더 미르, 레그 레이머
부록 1 박해에 관한 웹상의 정보 / A. 스코트 모로우, 마이크 오리어
부록 2 멤버 케어 자원(고난과 박해 상황에 있는 자들을 위하여) / 해리 호프만, 프라밀라 라젠드란
저자소개
책속에서
의심할 여지 없이 세계 여러 지역에서 오늘날 기독교인이 된다는 것은 매우 높은 위험을 감수해야 하는 헌신이다.
그러나 이것이 새로운 사실인가?
역사적으로 볼 때 언제나 그래왔다. 기독교인들이 평화, 번영, 영향력 그리고 자신들의 신앙을 마음껏 표현하는 자유를 누리는 상황에서 살았던 적은 역사상 별로 없었다. 이런 ‘자유’는 기독교 역사에서 예외에 속한다. 오늘날 예수를 따르는 20억 명 이상의 사람들이 여러 형태의 괴롭힘과 온갖 박해와 순교의 가능성을 직면하는 상황에서 사는 것으로 추정된다.
투라키에 따르면 이러한 개척자적인 선교사들은 수단에 복음을 전하는 일에 착수하기 위해서 그들 앞에 있는 어떤 어려움이나 위험도 직면할 수 있는 영적 준비가 되어 있었다. 진실로 그들은 그랬다. 초창기 개척 선교사 3명 중 2명은 오늘날 나이지리아가 된 땅에서 1년도 채 안되어 죽었다.
그러나 하나님은 섭리적으로 롤란드 빙햄(Roland Bingham)을 살리셨고 그는 모든 난관을 거슬러 전진했으며 마침내 SIM 교회들을 세웠다. 이 교회들은 현재 ECWA(Evangelical Church Winning All, 모든 사람을 구원하는 복음주의 교회)라고 불리는 5,000개의 교회로 확장되었고 전 세계적으로 교인들이 600만 명을 넘는다.
188명의 선교사들이 의화단의 난 때 죽었으며, CIM은 가장 많은 죽음으로 고통을 받았지만 허드슨 테일러는 어떤 청구도 하지 않았으며 어떤 보상금(서구 열강들이 중국에게 바치라고 요구했던)도 받기를 거절했다. 그는 그러한 행동이 복음과 반대되는 행동이라고 간주했다. 선교 사역은 의화단의 난 이후에도 사라지지 않았다. 오히려 더욱 큰 열정으로 지속되었다.
사역자의 수는 그 다음 10년 동안 4배가 뛰었다(Hefley 1994). 그는 새로 모집된 자들이 당면할 위험과 고난에 대해서 물으면서 1865년 브라이톤 비치에서 이미 주님과 씨름을 했었기 때문에 이 엄청난 비극을 받아들일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