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18435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18-09-10
책 소개
목차
추천사 1 / 김의원 박사(前 총신대학교 총장)
추천사 2 / 나용화 박사(前 개신대학원대학교 총장)
추천사 3 / 왕샤오차오(王.朝) 박사(중국 칭화대학교 철학과 교수)
저자 서문 / 오동일 박사(장로회신학대학교 교양학과 조교수) 8
서론 12
1. 문제 제기와 목적 12
2. 방법론과 범위 18
제1장 한어신학의 형성 배경 25
1. 중국 “기독교 학문”의 형성 27
2. “문화그리스도인”과 정체성 논쟁 50
3. 홍콩 “한어기독교문화연구소”와 한어신학 운동 88
제2장 중국 한어신학 구상 102
1. 한어신학의 개념적 의미 102
2. 한어신학의 방법론 108
3. 한어신학의 핵심 개념 논쟁 158
제3장 류샤오펑의 한어사상: “기독교사회이론” 181
1. 류샤오펑의 “기독교사회이론”의 인문학적 기초:
“현대성 이론” 184
2. 류샤오펑의 “기독교사회이론” 분석 210
3. 류샤오펑의 “기독교사회이론”에 대한 평가 291
결 론 314
1. 본서의 요약 314
2. 한어신학의 의의 317
3. 한어신학의 과제 324
참고문헌 333
저자소개
책속에서
“한어신학”(漢語神學, Hanyu theology)이라는 용어는 1994년에 중국 대륙 학자 류샤오펑((刘小枫, Liu Xiaofeng)이 홍콩의 양시난(杨熙楠, Yang Xinan)과 함께 홍콩 도풍산(道風山)기독교연구센터에서 기독교 저널 「도풍」(道風)을 복간할 때 “한어신학 저널”이라는 부제를 달면서 시작되었다. 여기서 한어신학은 한어(漢語)로 진행되는 신학 연구를 총칭한다.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을 받아들였으나 교회에는 출석하지 않았는데, 이들은 “세례 받지 않은 그리스도인”이라고 불리다가 후에 “문화그리스도인”이라고 불렸다. 류샤오펑은 처음에 이 명칭을 불편하게 생각하다가 후에는 이 명칭을 받아들임으로써, 신앙의 교회성보다는 개체성을 강조하는,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을 받아들인 중국 대학의 학자들을 지칭하는 전문 용어로 사용되었다.
문화그리스도인들은 하나의 문화적 군체(文化群體)로서 종교적인 방식과 차원에서 “현대성 문제”(the problem of modernity)를 다루고 있다. 종교는 하나의 문이고, 그들이 제기한 한어신학의 구상도 현대성에 대한 자각에 근거한 것이다. 그들은 서양의 신성(神性)의 정신문화를 통하여, 중국의 전통문화의 정신적 품성이 갱신되어야 함을 발견하게 되었던 것이다. 그들은 종교정신을 통해, 세속화 사회의 도덕적 기초를 재건하려는 데 목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