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18794
· 쪽수 : 216쪽
· 출판일 : 2018-10-15
책 소개
목차
제1장 서론
1. 동기 및 목적
2. 주요 논지
3. 연구 방법 및 범위
제2장 공공신학에 대한 이해
1. 학문적 쟁점으로서 공공신학의 기반
2. 현대 신학자의 논의
3. 공공신학의 목회적 적용으로서 공적 영성
제3장 한국 초대 교회에 나타난 공적 영성과 그 사회적 영향
1. 초기 한국 선교사의 영향력과 공적 영성
2. 공적 영성으로 인한 사회적 영향
제4장 한국 교회의 공적 영성의 상실과 그 대안 모색
1. 공적 영성이 사라진 이유
2. 공적 영성의 회복을 위한 대안 모색
제5장 사례 연구
1. 용학교회
2. 오아시스교회
3. 리디머장로교회
제6장 결론
1. 내용 요약
2. 제언
참고 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런 측면에서 교회의 사명은 교인 개인에만 관심을 두고 개인 구원에만 초점을 맞추는 역할뿐 아니라, 세상을 변화시키기 위해 그리고 동시에 세상에 기본이 되는 각 사회의 구조까지 변화시키는 더 큰 책임과 연결되도록 이끈다. “교회의 선포는 반역적인 구조, 체제 그리고 제도가 치료되고 회복되어 하나님을 봉사하기 위하여 바른 위치에 이르게 한다.” 그러나 요즘 많은 신자 중에 신앙 생활을 자기 자신과 하나님과의 관계에 한정해서 여기에만 집중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런 신앙은 지나치게 협소하고 이분법적이고 사적이다. 월리스는 이와 같은 신앙은 성경적이지도 않다고 단정한다. “세상을 바꾸기 위해 노력하지 않고 개인에게만 초점을 맞추는 복음의 메시지는 세상을 바꿀 필요가 없는 사람들에게만 유효하다.” 그래서 여기서 중요한 점은 복음이 계시하는 하나님의 성품과 정반대의 직무를 갖는 잘못된 사회 구조를 분별해 내는 일이다. 그리고 잘못된 사회 구조로 인해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이 오히려 억압당하는 체제를 바꾸고자 하는 실천이다.
공공신학적 측면에서 리디머장로교회를 통해서 볼 수 있는 긍정적인 면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전 선언문에서 밝히고 있는 ‘복음운동을 통해 위대한 도시 건설을 이루겠다’는 가치와 전망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1989년 당시 뉴욕 시민의 교회 출석률이 1% 미만이었던 극히 저조한 도심에서 지역 복음화를 외친 것이다. 이렇게 가장 세속적인 도시의 한복판에서 교회를 시작하였다. 흔히 교회가 잘 되는 지역을 찾아, 바로 그 옆에 또 하나의 교회를 세우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이것은 팀 켈러 목사의 목회 철학과도 연결되는데, 그는 도시가 갖는 전략적 중요성을 잘 알고 있는 목회자다. 이 때문에, 지역 교회가 다양한 도시 문화에 참여해야 하고 또 그러기 위해서 도시를 진정으로 사랑하는 방법을 가르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