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성경의 이해
· ISBN : 9788934119326
· 쪽수 : 552쪽
· 출판일 : 2019-02-28
책 소개
목차
추천사 류호준 박사(백석대학교 신학대학원 구약학 교수)1
차준희 박사(한국구약학연구소 소장, 한세대학교 구약학 교수)1
홍성혁 박사(서울신학대학교 구약학 교수)2
저자서문9
역자서문11
웹 자료14
제1부 서론
101 구약성서에 접근하는 방법16
102 정경으로서 구약성서19
103 하나님의 말씀 자체로서 구약성서 읽기22
104 구약성서의 책들25
105 구약성서는 어떻게 기록되었는가?27
106 구약성서의 이야기와 역사30
107 구약성서의 연대33
108 구약성서에 있어서 사실과 진실36
109 역사가 아닌 비유로서 구약성서39
110 근대 이전, 근대, 근대 이후 관점에서의 구약성서 읽기42
111 가나안의 지형45
112 중동의 지형47
113 구약성서는 어떻게 정경이 되었는가?49
114 구약성서의 연대 및 신뢰성52
115 구약성서 역본 및 각 역본에 나타난 하나님의 이름55
116 이스라엘 백성, 히브리인, 유대인; 이스라엘, 유다, 에브라임58
117 구약성서를 들여다보기 위한 신약성서의 렌즈61
118 외경 또는 제2정경65
119 웹 자료68
제2부 토라
201-5 서론70
206-11 창세기 1-11장85
212-17 창세기 12-50장103
218-21 출애굽기 1-18장121
222-30 출애굽기 19장-레위기-민수기 10장133
231-34 민수기160
235-38 신명기169
239-44 토라에 대한 회고 184
245 웹 자료201
제3부 선지서
301 선지서 서론205
302-5 여호수아-열왕기208
306-12 여호수아 219
313-16 사사기239
317-22 사무엘상하250
323-28 열왕기상하269
329 후기 선지서286
330 이사야289
331-37 이사야 1-39장292
338-40 미가, 요엘, 호세아313
341-43 아모스, 오바댜, 요나322
344-49 예레미야331
350 나훔, 하박국, 스바냐349
351-53 에스겔352
354-57 이사야 40-66장361
358-59 이사야에 대한 회고373
360 학개, 스가랴, 말라기379
361-62 선지서에 대한 회고382
363 웹 자료388
제4부 성문서
401 성문서 개요392
402-3 에스라-느헤미야395
404-5 역대상하401
406-7 에스더407
408-9 룻기413
410-26 시편420
427 예레미야애가471
428 구약성서의 지혜서474
429-30 잠언477
431 아가483
432-34 욥486
435-36 전도서495
437-41 다니엘501
442 웹 자료516
제5부 전체 구약성서 되돌아보기
501-3 전체 구약성서 되돌아보기 520
504-6 정경 내 본문 상호 간의 대화532
506 구약성서와 신약성서의 관계540
507 웹 자료544
508 참고문헌545
책속에서
우리는 성경의 역사가 우리에게 신실한 삶을 사는 백성의 사례를 제시하며 그들의 메시지를 더욱 분명하게 해 줄 것이라고 기대한다. 그러나 여호수아와 사사들 및 사무엘은 그렇게 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우리는 하나님이 우리에게 보여 주시고 싶어 하는 것에 대한 관점을 바꾸고 왜 하나님이 그런 것을 보여 주고 싶어 하시는지를 물어보아야 할 것이다. 하나님은 훌륭한 이야기(예를 들어, 한나)뿐만 아니라 이처럼 부정적인 이야기(예를 들어, 레위인의 첩)를 통해 우리의 사고와 삶 및 하나님과의 관계를 바꾸고 싶어 하시는 것이다.
사무엘상 8-12장에는 왕에 대한 양면성이 나타난다. 본문은 왕이 있어야 한다는 생각을 비판하지만, 한편으로는 야훼께서 왕을 세우는 일에 관여하심을 보여 준다. 이러한 양면성은 구약성서 전체에 나타나는 광범위한 양면성을 반영한다.
구약성서에 포함된 저마다의 책들은 그 관점과 강조점이 각기 다르다. 그렇다고 해서 그 책들을 기록한 저자들이 논쟁을 벌이고 있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우리는 그 저자들이 한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서로 대화를 나누고 있다는 것을 얼마든지 상상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