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언약사상사

언약사상사

(정통 장로교, 스코틀랜드 언약도들의 신학전통)

서요한 (지은이)
기독교문서선교회(CLC)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500원 -10% 0원
1,250원
21,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개 22,5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언약사상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언약사상사 (정통 장로교, 스코틀랜드 언약도들의 신학전통)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역사
· ISBN : 9788934120728
· 쪽수 : 496쪽
· 출판일 : 2020-01-28

책 소개

영국 대영 도서관 인증 박사논문. 언약사상은 개혁신학의 진수 중의 진수이다. 개혁신학의 진수를 채광(採鑛)하기 위해서는 과거 개혁자들의 신학을 살펴야 한다. 이 책은 세계에서 유일한 장로교 국가인 스코틀랜드의 교회사에 나타나는 언약신학의 몇몇 특징들을 규명하였다.

목차

추천사
김 명 혁 박사(前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역사신학 교수)
서 철 원 박사(前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조직신학 교수)

헌정사
한국어판에 부쳐
초판 저자 서문
개정판 저자 서문

본서의 요약
약어표

서 론
1. 본서의 제목, 목적 그리고 구조
1) 제목과 연구 분야
2) 연구 목적
3) 본론의 구조
2. 이 시기의 일반적 상황
1) 이 시기 유럽의 일반적 상황
2) 이 시기 스코틀랜드의 일반적 상황

제1부 언약 개념의 기원과 발전

제1장 스코틀랜드의 언약사상.그 배경과 역사적 발전
1. 언약 개념의 중요성
1) 언약의 성경적 개념
2) 언약의 사회-정치적 측면들
2. 언약 개념의 역사적 발전
1) 종교개혁 이전의 개괄적 이해
2) 종교개혁기 및 종교개혁 이후의 시기
3. 스코틀랜드교회에서의 언약 개념의 중요성
4. 요약

제2장 교회와 국가와의 갈등: 언약도들의 신학적 선언과 주요한 공헌들
1. 교회와 국가의 갈등: 주요 요인들
1) 왕권신수설이냐, 그리스도의 왕권이냐?
2) 데오도레 베자(eodore Beza)와 장로교
3) 존 낙스와 종교개혁의 원리
2. 이 기간에 스코틀랜드 국왕들의 통치
1) 제임스 6세와 찰스 1세의 통치
2) 찰스 2세와 제임스 7세의 통치
3) 국왕 윌리엄 3세와 앤 여왕의 통치
3. 언약사상에 대한 언약도들의 신학적 선언
1) 참된 종교와 기독교인의 자유
2) 교회 정치에 대한 언약도들의 견해
3) 전통에 대한 언약도들의 견해들
4. 요약

제2부 언약사상의 역사적 발전과 신학적 강조점의 변화(1643-1723)

제3장 엄숙 동맹과 언약 및 웨스트민스터 총회
1. 엄숙 동맹과 언약(1643)
1) 역사적 배경
2) 국가 언약(National Covenant, 1638)과의 관계
3) 엄숙 동맹과 언약의 내용과 신학
2. 웨스트민스터 총회(1643-1648)
1) 웨스트민스터 총회의 역사적 개괄
2) 웨스트민스터 총회 기간 중의 신학적 논쟁
3)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4)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와 언약 개념
3. 요약

제4장 언약사상에 대한 언약도들의 논쟁과 선언(1648-1688년 명예혁명)
1. 언약도들과 국가 간의 논쟁기에 언약사상의 발전(1647-1661)
1) 1647-1648년 “약정”을 둘러싼 논쟁
2) 계급법들(1649-1650)
3) 결의파(교회파)와 항의파(저항파) 간의 논쟁(1651-1653)
4) 찰스 2세와 제임스 7세 때의 언약사상의 발전(1660-1688)
2. 역사적 문헌들 속에서의 언약사상의 발전
1) 1679년 5월 29일의 루터글렌 선언(Rutherglen Declaration)
2) 1680년 퀸스페리 문서와 샌퀴아르 선언
3) 스코틀랜드교회의 참된 장로교인들의 변론적 선언(1682년 1월)
4) 밀고자들과 고발자들에 대한 스코틀랜드의 참된 장로파들의 변증 선언과 훈계적 변호(1684년 11월)
3. 대중적 문서 속의 언약사상 및 정당한 반역 교리에 대한 상호 관계
1) 사무엘 루더포드(Samuel Rutherford, 1600-1661)
2) 도날드 카길(Donald Cargill, 1627-1681)
3) 리처드 카메론(Richard Cameron, 1648-1680)
4) 제임스 렌윅(James Renwick, 1662-1688)
4. 요약

제5장 1688-1690년 명예혁명과 1717-1723년의 마로우 논쟁
1. 역사적 상황의 변화와 언약사상의 발전(1688-1723)
1) 장로교 체제 정착 시기의 문헌들
2) 앤 여왕 때의 언약사상의 발전(1702-1714)
2. 마로우 논쟁과 언약신학(1717-1723)
1) 마로우 논쟁의 기원과 배경
2) 『현대신학의 정수』(The Marrow of Modem Divinity)에 대한 논쟁
3) 마로우 논쟁과 그 교리적 문제들
3. 요약

제3부 결론 및 평가

제6장 결론 및 평가
1. “그리스도의 왕권과 언약을 위하여”
1) 교회와 국가에 대한 그리스도의 머리 되심
2) 교회 정치와 그리스도인의 삶
3) 그리스도인과 양심의 자유
4) 스코틀랜드 국민과 언약신학
2. 적용과 평가의 몇 가지 요점들

부록 1 스코틀랜드 자유교회의 신학적 전통 소고
-1834년부터 1843년까지, 그 10년간의 투쟁-

부록 2 토마스 찰머스의 생애와 신학사상 소고

참고문헌

저자소개

서요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시인 서요한은 총신대학교(신학과)와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를 졸업한 후, 유학길에 올라 영국 런던신학교와 스코틀랜드, 에든버러 자유교회대학, 애버딘대학교(.M., 역사신학), 남웨일스 글라모르간대학교(Ph.D., 역사신학),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그린 칼리지(Post-Doctoral, 현대신학과 기독교윤리) 등에서 공부하고 귀국한 후 총신대학교 및 신학대학원에서 교수(역사신학)하였다. 현재는 청교도신학원에서 강의하고 있다. 2009년 문학21 안도섭 선생의 추천으로 등단하여 2013년 시집 1권 『내 가슴에 타는 불은』을 출간했다. 그밖에 전공 관련 저서로는 『초대 교회사』,『중세 교회사』, 『종교개혁사』, 『개혁신학의 전통』,『스코틀랜드 교회와 한국 장로교,『청교도 유산』,『근현대교회사』,『제자훈련의 원리와 실제』가 있다. 그리고『만화 초대 교회사』와『만화 중세 교회사』,『만화 종교개혁사』시리즈는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특별히 역작 『언약사상사』는 한국인 최초로 영국 대영 도서관 인증 박사 논문으로 등재되었다. 시인은 성가곡과 찬송가, 서정 가곡 작사가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바, 대표곡으로는 〈그리운 금 강산〉의 작곡가 雲山 최영섭 선생님이 곡을 붙인 〈아 설악산아〉와 〈강 건너 봄이 오듯〉의 작곡가 創音 임긍수 선생님의 〈나의 조국 대한민국〉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우리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언약이라는 말은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었다. 이 말은 개인과 하나님 사이의 개인적 언약을 위해 사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하나님과 그분의 교회와 국가 간의 언약을 가리키는 말로도 사용되었다. 여기에서 주목해야 할 중요한 사항이 있다. 그것은 자신들이 어떤 언약의 지지자들이라고 말할 때, 그 의미가 무엇인지 정확한 구별을 할 수 없게 하는 것은 바로 언약 체결의 다른 형식과 다양성, 특별히 언약 체결의 복수성이다.
그중에서 언약의 복수성, 예를 들면, 각양의 개인적 언약을 포함하여 교회와 국가의 언약 등을 주장하는 사람들이 은혜 교리를 각자의 신앙 일부로 받아들였다는 것이다. 그러나 시대적 상황에서 정치적 언약이 점차 강조됨으로써 은혜언약에 대한 실제적이며 경험적인 관심이 줄어들었다.


언약도들은, 하나님께서는 주권적으로 당신의 계시된 뜻과 말씀의 순종에 따라서 인간과의 언약을 은혜로 세우셨다고 주장하였다. 1643년 8월, 런던에서 열린 웨스트민스터 총회에 참석한 스코틀랜드 신학자들의 주된 목적은 하나님의 백성이 은혜와 행위라는 두 가지 중요한 요소들과 함께 이 언약 가운데 있다는 사실의 중요성과 함축적 의미들을 밝히는 것이었다. 여기서 행위는 하나님께서 그리스도 안에서 인간에게 부어주신 분명한 은혜에 대한 반응으로 간주되었다. 스코틀랜드인들은 언약신학의 여러 면에 관하여 영국의 청교도들과 독립교회파(Independents), 에라스티안파와 약 6년여 동안 치열한 논쟁을 벌였다. 이들은 영국의 청교도들과 성공적으로 싸웠으며, 이후 스코틀랜드인들에게 자신들의 결과를 의미 있게 제공하였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