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교회개척/성장론
· ISBN : 9791198949127
· 쪽수 : 210쪽
· 출판일 : 2025-09-25
책 소개
연구조사에 보면, 비개신교인 Z세대는 10명 중 8명은 ‘교회에 대하여 신뢰하지 않는다.’ 그리고 10명 중 7명은 ‘교회에 대한 호감도 매우 낮다’. 또한 ‘기독교를 종교로 가질 의향이 없는 Z세대’가 10명 중 8명이 넘는다. 이것은 무엇을 의미하고 있는가? 비기독교인 Z세대에게 ‘기독교와 교회’는 한마디로 ‘호감도와 매력’이 없다. 교회를 다니는 Z세대조차 ‘교회를 신뢰하지 않는다’가 10명 중 4명이다.
《2026 한국교회 Z세대 트렌드: Z세대 목회, 교육, 예배, 전도전략》는 이러한 고민을 담아내고 대안을 제시하였다. 각 분야의 전문가 교수들과 함께 집필을 설계하고, 함께 책을 출간하였다. 정재영교수는 “Z세대 트렌드 분석”을 하였고, 김선일교수는 “Z세대 목회와 교육,”를 담아냈다. 그리고 안덕원교수는 “Z세대 예배와 설교”에 집중하여 집필하였고, 전석재교수는 “Z세대 전도와 선교”초점을 맞추었다. 4명의 교수들은 각각 그 전공분야에서 이미 검증되고 탁월성을 인정받는 교수들이다.
《2026 한국교회 Z세대 트렌드: Z세대 목회, 교육, 예배, 전도전략》는 교회를 위한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Z세대 사역”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이제 4영역으로 나누어서 설명해 보겠다.
Z세대 현상 영역의 트렌드1장_ Z세대 그들은 누구인가? (Z세대를 향한 종교사회학적 이해)
Z세대를 분석하고 이해하는 매우 중요하다. 여기에서부터 그들을 향한 해석과 소통이 시작된다. Z세대는 1990년 대 후반에서 2000년대를 성인으로 맞이한 첫 세대를 의미한다. 이들은 디지털 환경에 익숙하다. 디지털 네이티브라고 한다. 최신 트렌드와 남과 다른 이색적인 경험을 추구한다. 그리고 민주화와 경제 발전에 따른 열매를 어렸을 때부터 누렸왔다. 궁핍했던 경험을 해본 적이 거의 없다. 그래서 가난을 겪어본 기성세대와 문화적 괴리가 크다.
Z세대는 교회의 중요한 의사결정에 참여를 원하고, 교회의 거버넌스와 공공성을 중요한 가치로 여긴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회가 그들을 향한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하였다.
Z세대 목회와 교육 트렌드와 과제 2장_ Z세대를 위한 목회와 교육, 어디로 가야하는가?
한국교회는 Z세대를 향한 목회와 교육을 어떻게 해야하는 가? 인공지능과 과학기술이 주도하는 4차 산업혁명 가운데, 다음시대 목회를 심각하게 고민해야한다. 그 중심에 Z세대가 있다. 여기에 그들에 대한 목회적 대안을 생각해 보자. Z세대 목회의 초점은 예전의 회복은 감각적이고 상징적인 것을 중시하는 이 세대이다. 복음의 깊이를 오감과 몸으로 경험하게 하는 중요한 경로를 만들어야 한다. 또한 참여적 교회 구조는 수동적인 청중이 아니다. 그것은 교회의 구성원으로서의 자기 정체감을 심어주는 방향성을 강조해야한다.Z세대 교육은 변증적 양육은 단순한 교리 교육을 넘어선다. 회의와 질문을 환대하는 교육 방식으로 이끌어야 한다. 복음은 이들의 진지한 질문에 응답해야 하고, 성경적 진리를 오늘의 현실 속에서 다시 말해야 한다. 이글에서 강조하는 것은 영성형성과 목회, 참여적 구조, 그리고 변증적 양육이다.
Z세대 예배와 설교 트렌드와 과제 3장 Z세대와 예배: 본질을 회복하고 세상과 소통하라!
Z세대를 향한 예배는 단순히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미디어가 만들어 낸 급속한 시대와 문화의 변화에 편승하는 차원이 아니다. 어떻게 하면 Z세대에게 기독교 예배의 본질을 지키면서 새로운 세대에게 설득력있는 연구와 실제적인 적용이 필요한 시점이다.
Z세대 예배와 삶이 상호소통하는 참된 예배자의 삶이 요청된다. 예배 형식은 늘 변해왔으며 문제도 상존한다. 형식은 어제와 오늘이, 저곳과 이곳이 동일할 수도 없고 동일해야 할 이유도 없다. 예배에서 결국 지켜야 할 가치가 무엇인가에 대한 진지한 사유이다. 이 글에서는 에배의 본질에 대한 회복 방안의 모색하여 제시한다. 한국교회가 이런 예배의 본질의 회복을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 지 답을 주고 있다.
Z세대 전도와 선교 트렌드와 과제 4장 Z세대와 전도: 세상을 향해 다리놓기를 시도하라.
불안시대를 살아가는 이들, 취업과 진로, 입시로부터 심각한 압박을 받고 있다. 그들은 삶의 문제를 고민하며, 신비적이고 영적인 것을 추구하고 있다. 이 글에서 강조하고 있는 것은 Z세대를 향한 다리놓기를 어떻게 할 것인지, 그들과 소통하기 위해서 교회는 어떻게 해야하는 지 추적해 보았다. 또한 교회가 그들을 향한 reach out를 어떻게 해야 하는 지 살펴보았다. 다음시대를 리딩 할 Z세대는 한국교회 미래이다. 앞으로 한국교회에는 Z세대에게 집중하여야 한다. 이 책은 연구조사를 통한 분석과 해석으로 Z세대 목회, 교육, 예배 전도를 다루었다.
《2026 한국교회 Z세대 트렌드》는 Z세대 4명의 전문가 교수들이 전략과 대안을 논의하였다. Z세대를 향한 세상과의 ‘다리놓기’ 그리고 목회전략, 예배전략, 선교전략을 담아내고자 노력하였다. 한국교회가 미래를 걱정한다. 교회마다 청년과 학생, 어린이들이 없다고 아우성이다. 이 책에서는 한국교회의 다음시대 Z세대에 깊은 고민과 함께 연대하여 풀어야 할 과제를 제시하며, 빠르게 변화하는 그들을 향해 교회가 어떻게 사역해야 할 지 설명하고 있다.
목차
추천사
프롤로그
1장 Z세대, 그들은 누구인가?
세대란 무엇인가?
Z세대의 등장
Z세대의 사회학적 특징
소비 형태로 본 Z세대의 특징
세대 담론에 가려진 척박한 현실
Z세대와 종교
Z세대와 교회
기성세대와 다른 Z세대의 신앙관
참여를 원하는 Z세대
청년들이 참여하는 교회 거버넌스
영적인 ‘커스터마이징’이 필요한 교회
2장 Z세대를 위한 목회와 교육, 어디로 가야하는가?
Z세대의 정의와 현황
Z세대 구분과 시대적 배경
글로벌 및 한국 사회의 특징
정신건강, 정치 성향, 소비 가치
Z세대의 세계관
디지털 환경과 다중 정체성
다양성, 공정성, 실용성에 대한 감수성
느슨한 관계와 새로운 공동체 감각
Z세대의 종교성과 영성
미국과 한국의 비종교화
제도 밖에서 표현되는 영성
공감 중심 신앙과 디지털 영성
정서적 안전에 대한 갈망
Z세대를 위한 목회적 이슈
디지털 시대, 깊이를 회복하는 제자도
자기중심 시대 속 정체성 회복
루틴 기반 영성 훈련의 회복
Z세대 신앙 부흥의 사례들
에즈베리 부흥: 진정성 중심의 자발적 예배
영국의 조용한 부흥: 공동체 기반 신앙 회복
한국의 디지털 콘텐츠와 온라인 사역 사례
교회를 모르는 세대를 위한 새로운 선교적 접근
한국 교회의 Z세대 사역 방향 사례
디지털 시대에 적합한 신앙 공동체 설계
질문과 회복을 환영하는 설교와 목회
경제적 불안 속 돌봄 공동체로서의 교회
수평적 참여 구조와 청년 중심 거버넌스
3장 Z세대와 예배: 본질을 회복하고 세상과 소통하라!
예배의 의미와 본질의 회복
예배의 의미에 충실한가?
예배와 일상의 관계-예배의 수평적 속성
Z세대를 위한 예배 형식과 내용에 대한 제언
전통인가 현대인가?
온라인과 현장 예배
예배의 민주화
다양한 예배 경험의 제공
공감과 소통의 설교
4장 Z세대와 전도: 세상을 향해 다리놓기를 시도하라!
Z세대 특징과 관심사
디지털 네이티브
Flex 문화
공정함의 가치
불안한 세대
영적인 것의 추구
한국교회 Z세대를 향한 전도전략
관계를 통한 전도
문화콘텐츠를 통한 전도
미디어 사역
멘토링과 코칭
지역과 함께하는 선교공동체
사랑의 환대와 필요중심적 전도
미 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