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신앙생활 > 예배/기도/묵상(QT)
· ISBN : 9788934120735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20-01-31
책 소개
목차
추천사
박 해 정 박사 | 감리교신학대학교 예배학 교수
김 운 용 박사 | 장로회신학대학교 예배/설교학 교수, 신학대학원장
조 기 연 박사 | 서울신학대학교 예배학 교수, 신학대학원장 겸 부총장
저자 서문
역자 서문
제1장 디지털 세상과 예배 연구 왜, 어떻게, 무엇을 연구할 것인가?
1. 왜 연구해야 하는가?
2.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3. 무엇을 연구할 것인가?
제2장 가상의 몸, 디지털 프레전스, 온라인 참여
1. 가상의 몸들이 온라인 예배에 참여할 수 있는가?
2. 디지털 공간으로의 능동적 참여
3. 예배의 과거 돌아보기
4. 디지털의 위험성 대면하기
제3장 온라인 예배 공동체
1. 실재하는 가상의 기도 공동체
2. 온라인 공동체와 사회성의 확장
3. 사이버 공간 예배: 공간적 근접성 없는 동시성
4. 시각적 증거: 공간적 근접성을 넘어서는 영적 교감
5. 무엇이 교회를 만드는가?
6. 사이버 공간에서의 권위
제4장 가상의 물질: 물질성-시각성-사운드 스케이프
1. 예배의 물질 문화
2. 화상(pixels)의 세상에서 예배 기호들 재(再)매개하기
제5장 성례전의 비트와 바이트
1. 질문 탐구
2. 이야기 말하기
3. 미디어, 매개, 성례전
4. 디지털로 매개되는 성찬 예배
5. 디지털로 매개되는 세례식?
제6장 디지털 현재와 예배의 미래
1. 온라인 예배의 핵심적 특징
2. 디지털 시대에 예배의 주체성 형성
3. 예배 실행들과 예배학 연구의 실행
4. 화상 속에서 하나님 찾
5. 과거를 통해 미래를 보기
참고 문헌
디지털 자료와 출처
리뷰
책속에서
교황 집례 미사들을 둘러싼 질문들이 반드시 일상적인 예배 생활에 관한 질문들은 아니다. 그러나 앞에서 언급한 사례에서 그 질문들이 디지털 매개와 참석에 관한 문제들일 경우에는 일상의 중요한 부분이 된다. 왜냐하면, 우리는 이제 “디지털 시대”에서 살고 움직이고 존재하기 때문에 그러하다. 이런 현실이 이 책을 저술하게 된 기초적인 동기다.
예배의 과거를 돌아보는 일은 예배 출석과 참여에 대한 풍부하고 복잡한 개념들이 예배 전통에 낯선 것이 아니라는 점을 밝혀준다. 여기서는 몇 가지 예시(例示)로 만족해야 할 것이다. 이 예시들은 동시대의 일부 상대편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보다는 더 넓은 예배 출석에 대한 개념들을 포용하고 있는 전통을 일견하게 해 준다.
이 전환은 직접적인 대체 혹은 폐기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오히려 글쓰기의 마법을 디지털 미디어의 마법 안에서 “재매개”(remediation)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데니스 포드(Dennis Ford)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디지털 미디어는 단어들, 이미지들, 그리고 몸을 포함하는 미디어의 모든 이전 형식들을 포용(encompass-sic)하는 것, 즉 재매개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