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예배, 사회과학을 만나다

예배, 사회과학을 만나다

(예배 연구의 새 지평)

네이선 D. 미첼 (지은이), 안선희 (옮긴이)
기독교문서선교회(CLC)
1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9,000원 -10% 2,500원
500원
11,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예배, 사회과학을 만나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예배, 사회과학을 만나다 (예배 연구의 새 지평)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신앙생활 > 예배/기도/묵상(QT)
· ISBN : 9788934118657
· 쪽수 : 200쪽
· 출판일 : 2018-09-14

책 소개

오늘날 의례학자들은 의례의 뿌리와 역할을 재평가하기 위해 사회과학적 통찰을 이용하여 의례의 다중적 의미를 재해석한다. 본서의 저자인 네이선 D. 미첼은 의례학자들의 이러한 탐구들을 검토하여 독자들에게 소개한다.

목차

추천사 1 _김순환 박사(서울신학대학교 예배학 교수)
추천사 2 _김상구 박사(백석대학교 실천신학 교수)
추천사 3 _최승근 박사(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예배학 교수)
추천사 4 _문화랑 박사(고려신학대학원 예배학 교수)
역자 서문.12

제1장 _예배와 의례 연구의 뿌리.16
1. 의례를 어떻게 볼 것인가?.16
2. 초기의 연구들.22
3. 반의례주의 vs 의례주의.39
4. 지배적 견해의 출현.57
5. 요약.71

제2장 _고전적 견해에 대한 비평.77
1. 의례의 황무지?.77
2. 새로운 의례의 출현.84
3. 빅터 터너 다시 평가하기.109
4. 요약.134

제3장 _의례와 예배 연구의 새 방향.138
1. 의례 그리고 자기의 테크놀로지.140
2. 의례와 비판인류학.173

저자소개

네이선 D. 미첼 (지은이)    정보 더보기
네이선 D. 미첼은 St. Meinrad College(B. A.)와 Indiana University(M. A.)를 졸업했다. University of Notre Dame에서 박사 학위(Ph. D.)를 받았고, 동 대학교에서 예배학을 가르쳤다. 은퇴 후 명예 교수로서 동 대학교 부속 예전연구소에서 연구와 출판을 담당하는 부소장으로 일하고 있다. 1998년 북미 예전학회의 베라카 상을 수상했으며, 80년 전통의 저명한 저널 「예배」(Worship)의 편집장을 역임하였다. 주요 저서 Cult and Controversy (Collegeville, MN: Liturgical Press/A Pueblo Book, 1982) Eucharist as a Sacrament of Initiation (Chicago; Liturgy Training Publications, 1994) Liturgy and the Social Sciences (Collegeville, MN: Liturgical Press, 1999) Real Presence: The Work of Eucharist (new and expanded edition; Chicago: Liturgy Training Publications, 2001) Meeting Mystery (Maryknoll, NY: Orbis Books, 2006) The Mystery of the Rosary: Marian Devotion and the Reinvention of Catholicism (New York: New York University Press, 2009) 주요 논문 “The Liturgy of the Word: The Theology of the Latin Text and Rite” in A Commentary on The Order of Mass, The Roman Missal (Collegeville, MN: The Liturgical Press, 2011).
펼치기
안선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기독교학과 교수이다. 이화여자대학교 기독교학과와 독일 프랑크푸르트대학교 개신교 신학부에서 공부했으며 세부 전공은 예배학이다. 저서 『삶이 예배가 되는 우리 교회 공동 기도』 (CLC, 2023, 기도집) 『참 보기 드문 아름다운 사람』 (CLC, 2023, 기도집) 『예배이론·예배실천』 (바이북스, 2013, 예배학 이론서) 『담담하게 단단하게』 (바이북스, 2013, 젊은이를 위한 말씀집) 『예배 돋보기』 (바이북스, 2011, 평신도를 위한 예배지침서) 역서 『예배, 해석학을 만나다』 (CLC, 2021) 『예배, 디지털 세상을 만나다』 (CLC, 2020) 『예배, 사회과학을 만나다』 (CLC, 2018) 『예배, 신비를 만나다』 (바이북스, 2014)
펼치기

책속에서

그리스도교 예배에의 의식적(conscious)이고, 능동적(active)이며, 완전한(full) 참여란 명상적인 것이나 공동의 것이고, 개인적인 것이나 공적인 것이며, 내적인 것이나 육화된 것이라고 과르디니는 느꼈다.


의례는 “효율적”이거나 “실용적”인 행동 방식이 아니다. 반대로 의례적 행동들은 특질상 모호하고, 감염되기 쉬우며, 다양한 의미를 지닐 수 있다. 그래서 한눈에 명백하게 보이거나 이해 가능한 것이 아니다. 대체로 의례들은 비(非)구술적 행위들이다. 따라서 텍스트들이 아니다. 의례들은 거슬리는 설명 혹은 해석 없이 “마음으로 행해지는 수행들”이다. 더욱이 의례는 참여자들의 믿음(교리)뿐만 아니라 그들의 행위(윤리)에 대해서도 규범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캐서린 벨이 “의례와 그 사회적 역할에 관한 널리 퍼져있는 학문적 가설들”이라고 이름을 붙인 “대표적인 의견 일치”는 제1장에서도 논했듯이, 이전에는 결코 시도된 적이 없는 그 무엇, 곧 의례적 행위에 대한 일종의 “정치학”을 창출해 보려는 과감한 전략의 일부로서 형성된 것이었다. 의례적 행위에 대한 일종의 정치학이란 인간 사회들이 의미들과 가치들을 의례적으로 전유하고 정기적으로 검토하고 갱신함으로써 그들의 결집력과 생존을 어떻게 확보하는가에 관한 체계적 연구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