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20759
· 쪽수 : 920쪽
· 출판일 : 2020-02-10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조 종 남 박사 / 한국 웨슬리학회 명예회장
장 기 영 박사 / 서울신학대학교 웨슬리신학외래교수
이 은 재 박사 / 감리교신학대학교 역사신학 교수
머리말
서론 13
제1부 웨슬리신학 방법론과 자료에 대한 평가
제1장 전통적 웨슬리신학 방법론 비판
제2장 웨슬리의 삶과 신학에 대한 자료의 문제
제2부 웨슬리의 출생과 신학적 배경
제1장 영국 국교회의 태동과 신학의 형성
제2장 웨슬리 가문과 수잔나 가문의 신학적 배경
제3장 웨슬리의 어린 시절
제4장 웨슬리의 청소년기
제5장 성직 안수 과정(1724-1728)
제3부 메도디즘의 태동과 발전:신성회에서 올더스게이트 체험까지
제1장 메도디즘의 기원:신성회의 태동과 활동(1729-1735)
제2장 메도디즘 태동의 두 번째 단계:조지아 선교(1735-1738)
제3장 메도디즘 태동의 세 번째 단계: 페터레인신도회(Fetter Lane Society)
제4장 올더스게이트에서의 특별한 체험
제5장 유럽 여행과 헤른후트 방문
제4부 페터레인신도회의 분열과 파운더리신도회의 설립:갈등과 분열
제1장 페터레인신도회에서의 성령 체험과 분열
제2장 야외설교와 갈등과 분열
제3장 파운더리신도회 시대와 웨슬리신학의 정체성 형성
제5부 메도디스트 운동의 조직과 성장: 1742-1744년
제1장 메도디즘의 확장과 조직
제2장 핍박과 어머니의 죽음
제3장 메도디스트연회와 웨슬리신학의 정체성 확립
제4장 1744년 최초의 메도디스트연회와 정리되는 웨슬리신학
제5장 메도디스트들에 대한 비판을 통해 드러난 웨슬리신학의 특징
제6장 1748년-1755년까지 웨슬리의 활동과 연회 5
제6부 후기 웨슬리신학의 형성과 그에 대한 비판
제1장 1756년-1760: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문제들
제2장 1761-1769: 완전성화의 교리 논쟁과 신도회 내의 갈등
제3장 웨슬리신학에 대한 자체 수정
제7부 웨슬리신학의 확장과 한계: 아메리칸 감독교회의 탄생, 영국 국교회와의 관계, 동료 목회자들과의 갈등
제1장 영국 내 메도디스트들의 문제와아메리칸 메도디스트들의 등장
제2장 메도디스트의 부흥과 도전받는 웨슬리의 권위
제3장 1783-1790년까지: 아메리칸 메도디스트들과 갈등, 영국 국교회와의 관계
제4장 웨슬리의 죽음과 그가 남긴 신학적 과제
에필로그 884
부록 1 “그리스도인의 완전” 교리와 20세기 웨슬리안신학의 흐름 888
부록 2 년도 별로 정리한 설교(Sermons in Chronological Sequence) 897
부록 3 웨슬리의 주요 연대(Chronology of John Wesley) 903
색인 907
참고 문헌(Bibliography) 913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존 웨슬리(John Wesley)의 삶과 신학에 대한 자료는 크게 웨슬리 자신이 남긴 것과 웨슬리에 대해 타인들이 남긴 것으로 구분되는데, 웨슬리 자신이 남긴 자료들조차도 비평적으로 평가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웨슬리는 자신만의 느낌을 극단적으로 표현하는 경우가 많았고, 또한 자신의 주장을 시기와 장소에 따라 달리 표현했는가 하면, 자신의 주장을 중도에 교정하거나 그 이전의 자기 뜻과는 달리 설명한 데도 다수 발견되기 때문이다.
“거룩한 본질의 회복”이란 내용은 웨슬리신학에서 가장 논란거리가 되는 내용이다. 어거스틴 이후 서양의 기독교신학은 인간을 전적으로 타락한 죄인이라고 규정해 왔다. 그러나 웨슬리는 인간이 죄인으로 태어나서 죄인으로 살다가 죄인으로 죽는다고 하는 것은 곧 절망의 복음이라고 생각했다. 그러한 죄인도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새로운 피조물, 즉 죄가 없는 의로운 존재로 사는 것이 하나님의 뜻이라고 믿었다.
웨슬리는 날이 갈수록 속회가 성경적인 제도라고 믿게 되었는데, 반면에 신도회 중심으로 활동하던 사람들은 속회의 운영을 반대했다. 웨슬리는 너무 비대해진 조직 안에서는 회원들 간에 친목도 없고, 효과적으로 양육할 수 없었기 때문에 좀 더 효과적이고 성경적인 방법을 찾는 것이라고 설득했다. 한 반대자가 “성경 어느 곳에도 속회에 대한 언급이 없습니다”(There is no Scripture for the classes)라고 말하자, 웨슬리는 “성경 어느 곳에도 속회에 대해 반대하지 않습니다”(There was no scriptures against it)라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