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24528
· 쪽수 : 768쪽
· 출판일 : 2022-08-20
책 소개
목차
추천사 1 이 후 정 박사 | 감리교신학대학교 총장 1
추천사 2 김 상 식 박사 | 성결대학교 총장 3
추천사 3 황 덕 형 박사 | 서울신학대학교 총장 6
머리말 본서의 목적 12
일러두기 26
들어가는 말 29
제1부 웨슬리의 독서와 저술에 대한 서론적 이해 44
제1장 웨슬리에 대한 오해와 진실 45
제2장 웨슬리의 대학생 시절(1720-1724) 73
제3장 대학원과 펠로우 시절(1725-1734): 10년간의 독서 목록 101
제4장 웨슬리의 독서에 대한 심층적 이해 156
제2부 웨슬리 신학의 발전기 176
제1장 독서와 저술에 대한 웨슬리의 소명과 특징 177
제2장 조지아 선교지에서의 독서와 다양한 경험(1735-1737) 187
제3장 올더스게이트 체험 이후의 독서와 출판(1738-1739) 223
제4장 야외 설교 현장에서의 독서와 출판(1740-1744) 247
제3부 메도디스트 연회 이후의 독서와 출판(1744-1787) 277
제1장 메도디스트 연회와 초기 웨슬리 신학의 형성(1744-1748) 278
제2장 웨슬리 신학의 발전기(1749-1769) 313
제3장 웨슬리 신학의 성숙기(1770-1787) 448
제4장 말년의 독서와 출판(1788-1791) 576
제4부 웨슬리의 주요 저작들의 요약과 평가 600
제1장 이성적이고 종교적인 사람들에게 하는 진지한 호소(1743) 603
제2장 그리스도인 문고(1749-1755) 612
제3장 신약성서 주해(1754-1755) 634
제4장 성경과 이성과 경험에 따른 원죄론(1757) 649
제5장 그리스도인의 완전에 대한 평이한 해설(1766) 679
제6장 알미니안 잡지 689
에필로그 708
참고 문헌(Bibliography) 713
색인 718
저자소개
책속에서
현재 우리에게 가능한 모든 자료, 즉 웨슬리의 일기와 저널과 편지 그리고 저술 등이 제공하는 웨슬리의 독서와 출판에 대한 정보는 그의 삶과 신학의 배경과 내용을 이해하기에 충분하다. 웨슬리와 동시대 사람들과의 관계를 알게 될 것이고, 웨슬리와 하나님과의 관계를 알게 됨으로써 결국 웨슬리가 어떤 사람인지, 그의 신학은 언제 어디에서 어떻게 형성되어 오늘날 우리에게 어떤 모습으로 전해졌는지 알게 될 것이다. 그 결과 우리는 웨슬리의 지성의 세계는 우리가 알고 있는 것보다 훨씬 깊으며, 그의 신학과 활동은 지적인 사람들뿐만 아니라 전혀 배우지 못한 사람들과도 소통하며 복음을 전할 정도로 스펙트럼이 넓다는 사실도 알게 될 것이다.
웨슬리 신학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이성과 믿음의 관계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즉, 웨슬리가 이성을 믿음 안에서 어떻게 이해했고, 또한 믿음을 이성 안에서 어떻게 수용했는지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즉, 웨슬리는 인간의 이성이나 믿음 모두 하나님의 은총이라는 확신을 가지고 그 둘이 조화를 이루며 하나님의 뜻을 드러내는 것이 성경적 가르침이라는 사실을 삶으로 보여 준 탁월한 신학자였다. 그런 의미에서 웨슬리는 반이성적 태도와 교리는 항상 기독교 신학에 독소라는 사실을 동료 메도디스트에게 강조했던 것이다.
웨슬리는 놀랍게도 당대 최고의 철학자들이나 과학자들의 저서를 깊게 이해하고 그들의 논리를 비판적으로 읽으며 배울 것은 배우고 문제가 있는 것은 날카롭게 지적하며 대안을 제시했다. 당대 최고의 신학자나 철학자들이나 과학자들과 논쟁하는가 하면 대중들과 깊은 교감을 나누며 인간 내면의 가장 깊은 곳에서 문제를 해결하고 구원을 이루기 위해 노력했는데 그런 모습은 시간이 흐르면서 더욱 진지해지고 구체화되었다. 웨슬리는 결코 이론을 위한 이론을 전개하지 않았다. 그는 언제나 인간의 삶 속에서 나타나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점을 두고 철학과 과학 등이 드러내 주는 통찰을 신학의 주제로 삼으며 가장 실제적 해법을 모색하는데 적극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