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선교/전도
· ISBN : 9788934120841
· 쪽수 : 440쪽
· 출판일 : 2020-03-31
책 소개
목차
추천사
김아영 박사(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선교학 교수)
박형진 박사(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선교학 교수)
타카미자와 에이코 박사(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선교학 교수)
저자 서문 14
감사의 글 16
제1부 서론
제1장 연구 문제 20
제2장 연구 목적 22
제3장 연구 및 면담 질문 23
제4장 용어 정의 24
제5장 가정 25
제6장 연구의 중요성 27
제7장 연구상의 제한 30
제8장 연구의 한계 32
제9장 방법론 33
제2부 선행 연구 및 관련 문헌
제1장 회심의 이해 35
제2장 디아스포라와 선교 64
제3장 디아스포라와 유학생 사역 78
제4장 국내 외국인 유학생 사역 83
제5장 한국 내 중국 유학생 사역 개관 86
제6장 기독교 관점에서 본 중국 전통 종교와 문화 이해 105
제7장 중국 역사에서 복음과 문화 119
제8장 연구 방법론에 관한 문헌 연구 124
제3부 연구 방법론
제1장 자료 수집 145
제2장 연구 참가자 147
제3장 표집 148
제4장 면담 절차 150
제5장 자료 분석 153
제6장 분석 과정 160
제4부 연구 결과
제1장 참가자 인적 사항 167
제2장 참가자의 복음을 접하기 이전의 삶 169
제3장 참가자를 교회로 인도한 자 203
제4장 교회에 가게 된 개인적인 동기 209
제5장 교회의 첫인상 216
제6장 회심의 장애 요인 229
제7장 장애 극복의 요인 242
제8장 하나님을 믿기로 결심한 이유 259
제9장 영향을 미친 사람들 279
제10장 기독교의 가장 매력적인 특징들 289
제11장 특별한 종교적 체험 308
제12장 기독교로 회심 이후 현저한 변화 322
제13장 기독교에의 헌신 346
제14장 주요 범주들의 비교 분석 360
제15장 이론적 코딩 373
제5부 결론
제1장 절차 요약 394
제2장 본 연구에 기반을 둔 회심 이론 396
제3장 중국 지식인의 회심에 관한 선행 연구와의 논의 403
제4장 적용 411
제5장 미래 연구를 위한 제언 416
부록 419
참고 문헌 425
저자소개
책속에서
회심은 바울과 같이 매우 희소한 경우를 제외하고 단순하고 순간적인 사건이기보다는 더욱 복합적인 과정이다. 회심한 새사람과 회심 이전의 옛사람 간에는 계속성(continuity)과 불연속성(discontinuity)이 모두 존재한다. 비록 옛사람이 지나갔을지라도, 그 속성은 새사람에게 계속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새로 회심한 사람은 지속적인 제자 훈련으로 세워져야 할 필요가 있다.
기독교 회심은 사람의 마음과 생각과 영에 심각하게 영향을 미치는 경험이다. 그 어떤 종교적 경험도 순전한 기독교 회심(authentic christian conversion)의 기준이 될 수 없다.
마넨이 “현상학은 경이, 단어들, 세계에 관한 것이다”라고 기술할 때, 그는 현상학적 방법론이 어떻게 특별한 상황에서 연구자와 참가자의 단어들을 사용하여 연구자와 독자 모두에게 경이로운 경험이 될 산 경험을 탐구하는가를 제대로 설명한다.